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공적인 한·중 합작 영화를 위한 상호 협력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7143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영상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The study of mutual Cooperation system for succeddful Korean-Chinese co-prodution movie

      • 형태사항

        iv, 74장 : 삽화, 표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전병호
        참고문헌 : 60-61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 Since China has entered into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2002, Chinese film market has been opened, which has fully showed the due value of Chinese market with 1.3 billion people. Besides rapid increase, its market structure has also been changed greatly. With the inflow of large amount of foreign capital, Chinese dealers have also searched for numerous countermeasures in which co-production is a relatively mature mode for film production at present stage.
      This article mainly discussed the issues at present stage and feasible countermeasures for the modes of Korean-Chinese Co-production.
      Chapter Two mainl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film industry, including a series of policies, agreements and a series of characters of the object market audiences. Chapter Three mainly introduced the origin of the mode, its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concepts of related policies and film co-production. And a series of characters and the challenges of Korean-Chinese Co-production at present stage were also analyzed through discussion on material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Chapter Four mainly summarized the issues reporte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proposed some countermeasures.
      번역하기

      Ever Since China has entered into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2002, Chinese film market has been opened, which has fully showed the due value of Chinese market with 1.3 billion people. Besides rapid increase, its market structure has also been c...

      Ever Since China has entered into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2002, Chinese film market has been opened, which has fully showed the due value of Chinese market with 1.3 billion people. Besides rapid increase, its market structure has also been changed greatly. With the inflow of large amount of foreign capital, Chinese dealers have also searched for numerous countermeasures in which co-production is a relatively mature mode for film production at present stage.
      This article mainly discussed the issues at present stage and feasible countermeasures for the modes of Korean-Chinese Co-production.
      Chapter Two mainl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film industry, including a series of policies, agreements and a series of characters of the object market audiences. Chapter Three mainly introduced the origin of the mode, its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concepts of related policies and film co-production. And a series of characters and the challenges of Korean-Chinese Co-production at present stage were also analyzed through discussion on material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Chapter Four mainly summarized the issues reported in the previous chapter, and proposed some countermeas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대상 및 방법 4
      • 3. 연구 문제 6
      • Ⅱ. 중국의 영화 산업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대상 및 방법 4
      • 3. 연구 문제 6
      • Ⅱ. 중국의 영화 산업 8
      • 1. 중국 영화 산업의 현황 8
      • 가. 중국 영화 관객의 동향 8
      • 나. 중국 영화 시장의 규모 13
      • 다. 중국의 영화 정책 환경 15
      • 2. 중국의 영화 합작 17
      • 가. 중외 영화 합작의 방식 및 정의 17
      • 나. 중외 영화 합작의 발전 18
      • 1) 중외 영화 합작의 발전 과정 18
      • 2) 중외 영화 합작에 관련된 정책 20
      • 3) 중외 합작영화의 발전 현황 24
      • Ⅲ. 한국과 중국의 합작 영화 29
      • 1. 한중 합작영화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 조사 29
      • 가. 조사의 필요성 및 조사 방법 29
      • 나. 설문 조사 내용의 분석 29
      • 2. 한중 합작영화의 현황 35
      • 가. 한중 영화 합작의 전개 과정 35
      • 나. 한중 영화공동제작 협정의 체결 37
      • 다. 한중 합작영화의 성과 39
      • 3. 영화 무극사례 분석 44
      • 가. 영화 무극개요 44
      • 나. 영화 무극내용 46
      • 다. 영화 무극의 성과와 한계 48
      • Ⅳ.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60
      • ABSTRACT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