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대학생의 케이팝 수용과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 = The Consumption of K-pop by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nd Its Impact on Japanese Perceptions of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겨울연가의 폭발적인 인기와 2010년 이후의 케이팝의 인기로 일본 사회의 한국인에 대한 친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일본 사회의 한국 문화에 대한 경계심의 확...

      2003년 겨울연가의 폭발적인 인기와 2010년 이후의 케이팝의 인기로 일본 사회의 한국인에 대한 친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일본 사회의 한국 문화에 대한 경계심의 확대와 한일 관계의 악화와 함께 한국인에 대한 친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한류의 확산과 관계없이 한일관계는 악화되고 있으며 한류를 통한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는 일시적, 표층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것이 기존 연구들의 입장이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본 연구는, 현재의 케이팝을 수용하는 소위 ‘신한류팬’들은 기존의 한류팬들과 매우 다른 소비양상을 보이고, 그에 따라 그들의 케이팝 수용과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변화는 기존 한류팬들과는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 신한류의 주요 소비층인 대학생들의 케이팝 수용이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변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일본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양식의 특징에 주목하면서 그러한 특징들이 그들로 하여금 어떻게 한국사회에 대한 시각을 형성하게 하였고 바꾸게 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케이팝 팬의 한국 대중문화의 소비 양식의 특징을 주목한 결과, 대학생 케이팝 팬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은 한국 사회에 대한 이미지가 형성되기 이전인 청소년기에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한국어 학습과 진로선택, 한국 아이돌의 라이프스타일 공유, 반복적인 한국 방문 등의 광범위한 한국 문화 접촉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주로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케이팝을 소비하고 있었으며, 인터넷을 이용하여 한국사회와 관련한 정보를 입수하며 한국인 일반 사람들의 의견 또한 직접 접함으로서 TV나 신문과 같은 전통적 매스미디어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대학생 케이팝 팬의 한국 대중문화의 수용 시기와 소비 양식의 특징으로 인해 한국 문화 접촉 분야의 확장과 빈도의 증가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 사회에 대한 관심과 한일 관계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구축해가는 과정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s since 2003 and the consumption of K-Pop since 2012 in Japanese society were expected to bring about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 people. However, due to political factor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feeling of intima...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s since 2003 and the consumption of K-Pop since 2012 in Japanese society were expected to bring about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 people. However, due to political factor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feeling of intimacy Japanese have had toward Korean people has dropped significantly. Regarding this phenomen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has had little with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us the change in perceptions of Korean people from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has been transient and superficial. Regarding this, we propose that the current K-Pop fans of the so-called ‘New Korean Wave Fandom’ exhibit very different patterns of cultural consumption.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Pop consumption of New Korean Wave fans and perceptions of Korean society will b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onventional Korean Wave fans who love Korean dramas. To test this proposition, we focused on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group of the ‘New Korean Wave Fandom’ and analyzed how the consumption of K-Pop has created a new image of Korean society and changed the former image of Korean soci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Pop fans among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enjoyed K-Pop since their period of adolescence, long before they formed their images about Korea. Their consumption of K-Pop as youth has led them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share the lifestyles of Korean idols, and visit Korea frequently. They consume K-Pop via social media and get information about Korea through the Internet. By doing so, they have their own images about Korea, different from the negative images created by the conventional media such as TV and newspapers. In this sense, based on their increasing frequency of coming into contact with Korean culture, the new K-Pop fans among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re developing their own images of Korea, a process that can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 in Japanese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설정 Ⅲ. 일본 한류 현상의 전개 양상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설정 Ⅲ. 일본 한류 현상의 전개 양상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惠媛(신혜원), "「新大久保」 の誕生: 雑誌が見た地域の変容" 29 : 44-55, 2016

      2 후쿠시마 미노리, "케이팝과 일본의 청년들 : 트렌스네이션과 네이션 사이에서" 97 : 323-341, 2019

      3 한영균, "일본인의 한류수용에 따른 한국인식의 변화" 한일관계사학회 (48) : 383-420, 2014

      4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일본 한류 소비자 연구: 한류 마니아와 일반 소비자의 소비형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5

      5 한영균, "韓流展開における韓日両国の観点" 동아시아일본학회 (50) : 427-451, 2014

      6 斉藤慎一(사이토우 신이치), "韓流ブームと対韓意識: 韓流との関連で見た韓国·韓国人イメージおよび日韓関係に対する意識" 71 : 1-32, 2010

      7 長谷川典子(하세가와 노리코), "韓流ドラマ視聴による韓国人イメージの変容: 日本人学生へのPAC分析調査結果から" 48 (48): 13-33, 2011

      8 纓坂英子(오우사카 에이코), "韓流と韓国·韓国人イメージ" 36 : 29-47, 2008

      9 한영균, "近年における日本の韓流" 동아시아일본학회 (61) : 277-299, 2017

      10 金成洙(김성수), "消費者行動と文化の影響: 韓流について" 1 & 2 : 51-63, 2012

      1 申惠媛(신혜원), "「新大久保」 の誕生: 雑誌が見た地域の変容" 29 : 44-55, 2016

      2 후쿠시마 미노리, "케이팝과 일본의 청년들 : 트렌스네이션과 네이션 사이에서" 97 : 323-341, 2019

      3 한영균, "일본인의 한류수용에 따른 한국인식의 변화" 한일관계사학회 (48) : 383-420, 2014

      4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일본 한류 소비자 연구: 한류 마니아와 일반 소비자의 소비형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5

      5 한영균, "韓流展開における韓日両国の観点" 동아시아일본학회 (50) : 427-451, 2014

      6 斉藤慎一(사이토우 신이치), "韓流ブームと対韓意識: 韓流との関連で見た韓国·韓国人イメージおよび日韓関係に対する意識" 71 : 1-32, 2010

      7 長谷川典子(하세가와 노리코), "韓流ドラマ視聴による韓国人イメージの変容: 日本人学生へのPAC分析調査結果から" 48 (48): 13-33, 2011

      8 纓坂英子(오우사카 에이코), "韓流と韓国·韓国人イメージ" 36 : 29-47, 2008

      9 한영균, "近年における日本の韓流" 동아시아일본학회 (61) : 277-299, 2017

      10 金成洙(김성수), "消費者行動と文化の影響: 韓流について" 1 & 2 : 51-63, 2012

      11 纓坂英子(오우사카 에이코), "日本人の韓国イメージと韓流ブーム" 335-345, 2006

      12 尹秀美(이수미), "日本人の韓国に対するイメージに関する調査研究: 金沢大学学生の「初習言語」 学習者間の比較を通じて(その2)" 19 : 163-185, 2015

      13 毛利嘉孝(모우리 요시타카), "日式韓流−「冬ソナタ」と日韓大衆文化の現在" せりか書房 2004

      14 林夏生(하야시 나츠오), "戦後日韓関係の展開"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27-264, 2005

      15 内閣府大臣官房政府広報室(내각부대신관방정부광보실), "平成30年版外交に関する世論調査" 内閣府大臣官房広報室 2019

      16 三矢恵子 (미츠야 케이코), "世論調査からみた『冬ソナ』 現象: 『冬ソナ現象』 に関する調査" 52 (52): 12-22, 2004

      17 長谷川由起子(하세가와 유키코), "ハングル」能力検定試験の出願基準および出願内容への検討と提言" 37 : 119-143, 2007

      18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콘텐츠 산업통계" 한국콘텐츠 2011

      19 오양열, "'남북기본합의서' 문화분야 후속의제 개발 및 단계별 협력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8-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4 0.77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