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의인성 기관지담관 누공 1예 = A Case of Iatrogenic Bronchobiliary Fist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ronchobiliary fistula is a rare condition. It is defined by the presence of a passage between the biliary tract and the bronchial tree. Many conditions can give rise to the developement of such a communication. The patient was a 71-year-old man who had obstructive jaundice due to liver mass. At first, we inserted an uncovered metallic stent for biliary drainage. However, the bile duct was perforated due to the trapping of a catheter in the distal end of the deployed stent. The operation was performed immediately, but only the sump draingage was placed in the retroperitoneum because the perforation site could not be found. After 20 days from the procedure, the patient complained of bilioptysis because of a bronchobiliary fistula. We inserted a covered stent into the previous uncovered metallic stent. Bilioptysis rapidly resolved after the successful procedure. We report a case of iatrogenic bronchobiliary fistula which was managed by endoscopic biliary stenting.
      번역하기

      Bronchobiliary fistula is a rare condition. It is defined by the presence of a passage between the biliary tract and the bronchial tree. Many conditions can give rise to the developement of such a communication. The patient was a 71-year-old man who h...

      Bronchobiliary fistula is a rare condition. It is defined by the presence of a passage between the biliary tract and the bronchial tree. Many conditions can give rise to the developement of such a communication. The patient was a 71-year-old man who had obstructive jaundice due to liver mass. At first, we inserted an uncovered metallic stent for biliary drainage. However, the bile duct was perforated due to the trapping of a catheter in the distal end of the deployed stent. The operation was performed immediately, but only the sump draingage was placed in the retroperitoneum because the perforation site could not be found. After 20 days from the procedure, the patient complained of bilioptysis because of a bronchobiliary fistula. We inserted a covered stent into the previous uncovered metallic stent. Bilioptysis rapidly resolved after the successful procedure. We report a case of iatrogenic bronchobiliary fistula which was managed by endoscopic biliary sten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관지담관 누공은 담즙이 객담으로 배출될 때 의심할 수 있으며, 발생 원인으로는 외상, 간절제술, 담낭 담석의 횡격막 침식, 종양 등으로 다양하다. 71세 남자 환자가 간종괴와 폐쇄성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검사결과 간좌엽의 종괴에 의한 간문부 총담관 폐쇄로 판명되었다. 저자 등은 담관의 협착부를 확장시킨 뒤 스텐트를 삽입하였으며, 이의 합병증으로 담관에 미세한 천공이 발생하였다. 수술 결과 천공부위는 찾지 못한 채 후복막강에 배액관을 유치시키고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종괴에 의한 압박이 매우 심하여 스텐트가 다시 막히면서 기관지담관 누공이 발생하였다. 담도 협착부에서 유두부에 이르는 곳에 피막형 스텐트를 스텐트 내 스텐트 기법으로 재삽관하였으며, 이후 객담으로 배출되던 담즙이 사라졌다. 저자 등은 내시경적으로 스텐트를 삽관하여 누공을 치유한 기관지담관 누공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번역하기

      기관지담관 누공은 담즙이 객담으로 배출될 때 의심할 수 있으며, 발생 원인으로는 외상, 간절제술, 담낭 담석의 횡격막 침식, 종양 등으로 다양하다. 71세 남자 환자가 간종괴와 폐쇄성 황달...

      기관지담관 누공은 담즙이 객담으로 배출될 때 의심할 수 있으며, 발생 원인으로는 외상, 간절제술, 담낭 담석의 횡격막 침식, 종양 등으로 다양하다. 71세 남자 환자가 간종괴와 폐쇄성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검사결과 간좌엽의 종괴에 의한 간문부 총담관 폐쇄로 판명되었다. 저자 등은 담관의 협착부를 확장시킨 뒤 스텐트를 삽입하였으며, 이의 합병증으로 담관에 미세한 천공이 발생하였다. 수술 결과 천공부위는 찾지 못한 채 후복막강에 배액관을 유치시키고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종괴에 의한 압박이 매우 심하여 스텐트가 다시 막히면서 기관지담관 누공이 발생하였다. 담도 협착부에서 유두부에 이르는 곳에 피막형 스텐트를 스텐트 내 스텐트 기법으로 재삽관하였으며, 이후 객담으로 배출되던 담즙이 사라졌다. 저자 등은 내시경적으로 스텐트를 삽관하여 누공을 치유한 기관지담관 누공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간절제술 후 발생한 기관지 담도 누공 1예" 17 : 220-225, 1997

      2 "간암절제술 후 후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기관지담관루의 치료 1예" 23 : 127-131, 2001

      3 "The use of endoscopy to treat bronchobiliary fistula caused by choledocholithiasis" 98 : 490-492, 1990

      4 "Stent retriever for dilation of pancreatic and biliary duct strictures" 31 : 142-145, 1999

      5 "Management of bronchobiliary fistula as a late complication of hepatic resection" 64 : 873-876, 1998

      6 "Left hepatic duct injury and thoracobiliary fistula after abdominal blunt trauma" 47 : 1227-1229, 2000

      7 "Endoscopic treatment of bronchobiliary fistula:report on 11 cases" 43 : 293-300, 1996

      8 "Case in which hydatid were expectorated and one of suppuration of a hydatid cyst of the liver communicating with the lungs" 74 : 33-46, 1850

      9 "Bronchobiliary fistula.Review of the recorded cases other than those due to Echinococcus and amebic abscess" 16 : 697-754, 1928

      10 "Bronchobiliary fistula secondary to biliary lithiasis.Treatment by endoscopic sphincterotomy" 39 : 1994-1999, 1994

      1 "간절제술 후 발생한 기관지 담도 누공 1예" 17 : 220-225, 1997

      2 "간암절제술 후 후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기관지담관루의 치료 1예" 23 : 127-131, 2001

      3 "The use of endoscopy to treat bronchobiliary fistula caused by choledocholithiasis" 98 : 490-492, 1990

      4 "Stent retriever for dilation of pancreatic and biliary duct strictures" 31 : 142-145, 1999

      5 "Management of bronchobiliary fistula as a late complication of hepatic resection" 64 : 873-876, 1998

      6 "Left hepatic duct injury and thoracobiliary fistula after abdominal blunt trauma" 47 : 1227-1229, 2000

      7 "Endoscopic treatment of bronchobiliary fistula:report on 11 cases" 43 : 293-300, 1996

      8 "Case in which hydatid were expectorated and one of suppuration of a hydatid cyst of the liver communicating with the lungs" 74 : 33-46, 1850

      9 "Bronchobiliary fistula.Review of the recorded cases other than those due to Echinococcus and amebic abscess" 16 : 697-754, 1928

      10 "Bronchobiliary fistula secondary to biliary lithiasis.Treatment by endoscopic sphincterotomy" 39 : 1994-1999, 1994

      11 "Bronchobiliary fistula detected by cholescintigraphy" 32 : 136-138, 1991

      12 "A case of biliptysis" 20 : 49-53,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