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위기극복을 위한 실천전략 탐색 = Exploring practical strategies for overcoming academic crisis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9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3 years since the discussion on the crisis of American sociology of sport and the potential occurrence of similar problems in South Korea occurred in 2013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Korea sociology of sport has experienced critical academic crisis.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crisis factors that Korean sociology of sport is currently experiencing,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the authors’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And then, we proposed practic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academic crisis. First we found 1) people regard sociology of sport as a boring field and subject that does not contribute to getting a job, 2) reduction of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3) problem in getting a job of graduates, and 4) lack of national certificate of the field, as the factors of educational crisis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we proposed 1) invention of diverse subjects relating to sociology of sport, 2) applying a smart education system, and 3) introducing national certificate system. Second, as the crisis in research area, we found 1) lack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2) lack of domestic/international journals, 3) problems in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and 4) faction and occlusive tendency of the schola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factors, we proposed 1) having academic space where co-working with neighboring fields could be made, 2) exploring neighboring fields, 3) creating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4) expanding research topics, and 5) liberal interaction among scholars within the field. Third, as the crisis in social interaction, 1) lack of research topics close to the reality in sport, 2) distance between sport sociologists and the public, and 3) indifference on the topics related to social contribution were found.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we proposed 1) increasing research using reality-reflecting topics, 2) increasing interactions with social media and press, and 3) reinforcing activities in social volunteer area.
      번역하기

      After 3 years since the discussion on the crisis of American sociology of sport and the potential occurrence of similar problems in South Korea occurred in 2013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Korea sociology of sport h...

      After 3 years since the discussion on the crisis of American sociology of sport and the potential occurrence of similar problems in South Korea occurred in 2013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Korea sociology of sport has experienced critical academic crisis.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crisis factors that Korean sociology of sport is currently experiencing,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the authors’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And then, we proposed practical strategies to overcome the academic crisis. First we found 1) people regard sociology of sport as a boring field and subject that does not contribute to getting a job, 2) reduction of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3) problem in getting a job of graduates, and 4) lack of national certificate of the field, as the factors of educational crisis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we proposed 1) invention of diverse subjects relating to sociology of sport, 2) applying a smart education system, and 3) introducing national certificate system. Second, as the crisis in research area, we found 1) lack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2) lack of domestic/international journals, 3) problems in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and 4) faction and occlusive tendency of the schola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factors, we proposed 1) having academic space where co-working with neighboring fields could be made, 2) exploring neighboring fields, 3) creating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4) expanding research topics, and 5) liberal interaction among scholars within the field. Third, as the crisis in social interaction, 1) lack of research topics close to the reality in sport, 2) distance between sport sociologists and the public, and 3) indifference on the topics related to social contribution were found.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is, we proposed 1) increasing research using reality-reflecting topics, 2) increasing interactions with social media and press, and 3) reinforcing activities in social volunteer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제기된 북미스포츠사회학 위기의 전조적 현상과 한국 재현 가능 성에 대한 논의 이후 지난 3년 간 한국스포츠사회학은 학문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연구자의 경험과 관찰을 토대로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위기요인을 정리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실천전략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스포츠사회학의 교육적 위기는 재미없는 교과목, 취업에 도움 되지 않는 교과목이라는 인식, 학문 후속세대의 감소, 전공졸업생의 취업문제, 관련 국가자격증제도 부족 등으로 나타 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 개발, 스마트 교수법 적용, 국가자격증인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 다. 둘째, 연구영역의 위기는 다양하지 못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국내·외 학술지 부족, 학문후속세대 육성의 문제, 학자들의 당파성과 폐쇄성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접학문과의 학술적 공간의 마련, 인접학문으로의 탐색, 국제전문 학술지 발간 도전, 연구주제의 확장, 학자들의 자유로운 교류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사회봉사영역의 위기로서 현실적합성 연구주제의 결여, 스포츠사회학자들과 대중과의 유리 문제, 사회기여 주제에의 무관심 등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실 밀착형 주제연구 수행 증대, 사회언론활동 증대, 사회봉사영 역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2013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제기된 북미스포츠사회학 위기의 전조적 현상과 한국 재현 가능 성에 대한 논의 이후 지난 3년 간 한국스포츠사회학은 학문적 위기를 맞이하고...

      2013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제기된 북미스포츠사회학 위기의 전조적 현상과 한국 재현 가능 성에 대한 논의 이후 지난 3년 간 한국스포츠사회학은 학문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연구자의 경험과 관찰을 토대로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위기요인을 정리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실천전략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스포츠사회학의 교육적 위기는 재미없는 교과목, 취업에 도움 되지 않는 교과목이라는 인식, 학문 후속세대의 감소, 전공졸업생의 취업문제, 관련 국가자격증제도 부족 등으로 나타 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 개발, 스마트 교수법 적용, 국가자격증인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 다. 둘째, 연구영역의 위기는 다양하지 못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국내·외 학술지 부족, 학문후속세대 육성의 문제, 학자들의 당파성과 폐쇄성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접학문과의 학술적 공간의 마련, 인접학문으로의 탐색, 국제전문 학술지 발간 도전, 연구주제의 확장, 학자들의 자유로운 교류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사회봉사영역의 위기로서 현실적합성 연구주제의 결여, 스포츠사회학자들과 대중과의 유리 문제, 사회기여 주제에의 무관심 등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실 밀착형 주제연구 수행 증대, 사회언론활동 증대, 사회봉사영 역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순, "한국의 인문학 위기와 인문학 대중화 담론 일고" 272-280, 2015

      2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50년사" 한학문화 2007

      3 강내희, "한국 인문학의 제도적 문제들" 23 : 5-28, 2008

      4 안민석, "체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39 : 129-138, 2001

      5 김경식,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1-25, 2015

      6 이종영, "응용스포츠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1-18, 1995

      7 박진경, "응용 스포츠 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5 : 2-10, 1994

      8 김우성, "스포츠정책에 대한 스포츠사회학 연구동향(토론)" 2009

      9 안영필, "스포츠사회학의 응용분야를 생각하며" 5 : 1-, 1994

      10 안민석,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사회학자, 그리고 선수협의회" 14 (14): 87-104, 2001

      1 신동순, "한국의 인문학 위기와 인문학 대중화 담론 일고" 272-280, 2015

      2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50년사" 한학문화 2007

      3 강내희, "한국 인문학의 제도적 문제들" 23 : 5-28, 2008

      4 안민석, "체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39 : 129-138, 2001

      5 김경식,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1-25, 2015

      6 이종영, "응용스포츠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1-18, 1995

      7 박진경, "응용 스포츠 사회학의 전망과 과제" 5 : 2-10, 1994

      8 김우성, "스포츠정책에 대한 스포츠사회학 연구동향(토론)" 2009

      9 안영필, "스포츠사회학의 응용분야를 생각하며" 5 : 1-, 1994

      10 안민석,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사회학자, 그리고 선수협의회" 14 (14): 87-104, 2001

      11 한준영,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와 관련 분야 학술지의 Impact Factor 비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523-537, 2008

      12 김경식, "스포츠사회학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와 연구생산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4 (24): 67-90, 2011

      13 전상진, "사회학의 위기에 대처하는 두 가지 방법: 공공사회학(public sociology)과 “전문적 사회학의 스트롱 프로그램(strong program in professional sociology)”에 대한 체계이론적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7) : 229-255, 2010

      14 정태석, "사회학의 위기 논쟁과 비판사회학의 대응" 비판사회학회 (88) : 94-119, 2010

      15 임승엽, "미국 스포츠사회학 위기의 전조적 현상과 한국 재현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181-200, 2015

      16 임수원, "델파이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 기법을 활용한 ‘0교시 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1-22, 2015

      17 안양옥, "교육의 길을 달리다 : 안양옥의 교육생각" 레인보우북스 2015

      18 조욱연,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6 (26): 1-23, 2013

      19 Gouldner, A. W., "The coming crisis of Western sociology" basic Books 1981

      20 이종영,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49-69, 2010

      21 Anselmo, K., "Media Training: Publicly Engaged Sociology of Sport" 60 : 2016

      22 Andrews, D. L., "Assessing the sociology of sport: On the hopes and fears for the sociology of sport in the US" 50 (50): 368-37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9 1.14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