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식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가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rvice Convenience and Perceived Value on Satisfaction with Eating out in Social Commerce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22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상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의 소셜미디어와 온라인미디어를 연계하는 소셜커머스는 소비자 인맥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전자 상거래의 새로운 유통채널이라고 볼 수 있다. 소셜커머스의 활성화를 인해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용의도, 불평행동, 신뢰 등에 관점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소셜커머스 이용에 대한 서비스 편의성과 소비자들이 지각한 가치를 통한 만족에 대한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분야를 대상으로 소셜커머스에 적합한 서비스 편의성을 평가하고, 서비스 편의성과 지각된 가치, 서비스 만족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여, 소비자 행동에서 그들이 인지하는 서비스 편의성과 지각된 가치를 통한 정보 제공을 통해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에 따르면, ‘거래 편의성’, ‘접근 편의성’, ‘편익 편의성’은 ‘지각된 가치(경제적 가치, 심리적 가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성립하였고, 지각된 가치는 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인지와 외식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온라인상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의 소셜미디어와 온라인미디어를 연계하는 소셜커머스는 소비자 인맥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전자 상거래의 새로운 유통채널이라고 볼 수 있다....

      온라인상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의 소셜미디어와 온라인미디어를 연계하는 소셜커머스는 소비자 인맥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전자 상거래의 새로운 유통채널이라고 볼 수 있다. 소셜커머스의 활성화를 인해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용의도, 불평행동, 신뢰 등에 관점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소셜커머스 이용에 대한 서비스 편의성과 소비자들이 지각한 가치를 통한 만족에 대한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분야를 대상으로 소셜커머스에 적합한 서비스 편의성을 평가하고, 서비스 편의성과 지각된 가치, 서비스 만족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여, 소비자 행동에서 그들이 인지하는 서비스 편의성과 지각된 가치를 통한 정보 제공을 통해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에 따르면, ‘거래 편의성’, ‘접근 편의성’, ‘편익 편의성’은 ‘지각된 가치(경제적 가치, 심리적 가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성립하였고, 지각된 가치는 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인지와 외식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onvenienc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in social commerce service for eating out.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service conven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which in turn affects satisfaction with social commerce servic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service convenience includes five dimensions such as decision convenience, transaction convenience, access convenience, benefit convenience, and post-benefit convenience; perceived value has two dimensions of economic value and psychological value. In this survey, 355 valid survey response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and also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n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hypothesized model was obtained with a good model fit, som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convenience (i.e., transaction, access, and benefit) and perceived value (i.e., economic value and psychological value) a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onvenienc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in social commerce service for eating out.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service conven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onvenienc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in social commerce service for eating out.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service conven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which in turn affects satisfaction with social commerce servic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service convenience includes five dimensions such as decision convenience, transaction convenience, access convenience, benefit convenience, and post-benefit convenience; perceived value has two dimensions of economic value and psychological value. In this survey, 355 valid survey response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and also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n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hypothesized model was obtained with a good model fit, som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convenience (i.e., transaction, access, and benefit) and perceived value (i.e., economic value and psychological value) a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재, "호텔고객의 지각된 서비스가치가 전환비용과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20 (20): 209-225, 2011

      2 손화정, "호텔고객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및 전환비용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116-129, 2008

      3 주혁균,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이용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3 (23): 225-248, 2012

      4 윤설민, "청계천의 이미지, 지각된 가치,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관계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41-57, 2012

      5 김영국, "척도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동향: 『관광학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2 (32): 297-315, 2008

      6 변정우, "지역 특1급 호텔의 다차원적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9 (19): 55-72, 2010

      7 이봉구, "음식 소비 관련 서비스 질, 지각된 가치, 만족, 향후 행동 의도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춘천 닭갈비 및 막국수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0 (30): 257-276, 2006

      8 현용호, "온라인 관광객 의사결정과정에서 웹기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직간접 웹접속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관광학회 28 (28): 291-312, 2004

      9 최웅, "약선음식의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2 (12): 149-169, 2009

      10 김국선, "소셜커머스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11-321, 2012

      1 이인재, "호텔고객의 지각된 서비스가치가 전환비용과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20 (20): 209-225, 2011

      2 손화정, "호텔고객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및 전환비용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116-129, 2008

      3 주혁균, "한․중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이용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3 (23): 225-248, 2012

      4 윤설민, "청계천의 이미지, 지각된 가치,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관계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41-57, 2012

      5 김영국, "척도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동향: 『관광학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2 (32): 297-315, 2008

      6 변정우, "지역 특1급 호텔의 다차원적 서비스편의성과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9 (19): 55-72, 2010

      7 이봉구, "음식 소비 관련 서비스 질, 지각된 가치, 만족, 향후 행동 의도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춘천 닭갈비 및 막국수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0 (30): 257-276, 2006

      8 현용호, "온라인 관광객 의사결정과정에서 웹기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직간접 웹접속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관광학회 28 (28): 291-312, 2004

      9 최웅, "약선음식의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2 (12): 149-169, 2009

      10 김국선, "소셜커머스의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11-321, 2012

      11 KB 경영연구소, "소셜커머스에 대한 이해" 12 (12): 2012

      12 최문훈, "소셜커머스서비스(Social Commerce Service)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3 최인석, "소셜커머스 서비스 실패에 따른 소셜커머스 업체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변화 : 서비스 실패의 주체와 실패의 심각성 및 소셜커머스 업체 에쿼티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경탁,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소셜커머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3 (13): 135-161, 2011

      15 김수배, "병원의 편의지향성이 고객의 편의성과 성과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0 (10): 1-22, 2005

      16 이정학, "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한국관광학회 31 (31): 97-118, 2007

      17 공형일, "데일리 딜 서비스(Daily Deal Service)시장 동향과 전망" 22 : 65-74, 2010

      18 박상철, "관광 정보원천 전환행동을 위한 소셜미디어 이용에 관한 연구 -마이그레이션 이론 관점에서-" 한국관광학회 36 (36): 115-138, 2012

      19 김영국, "거래비용경제학의 적용(TCE)에 의한 인터넷 여행상품 구매의도 분석:구매고객과 잠재고객의 모형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2 (32): 251-282, 2008

      20 Berry, L., "Understanding Service Convenience" 66 (66): 1-17, 2002

      21 Dodds, W., "The Effect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luation" 28 (28): 307-319, 1991

      22 Bagozzi, R., "State versus action orientation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 an application to coupon usage" 18 (18): 505-518, 1992

      23 Parasuraman, A., "SERVQUAL : A Multiple-Item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88

      24 Seiders, K., "SERVCON : Development and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ervice Convenience Scale" 35 (35): 144-156, 2007

      25 Gwinner, K., "Relationship benefits in serviceindustries" 26 (26): 101-114, 1998

      26 Baker, D.,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Intentions" 27 : 785-804, 2000

      27 Ping Jr., "On assuring valid measures for theoretical modelsusing survey data" 57 (57): 125-141, 2004

      28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International 2006

      29 Tse, D.,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25 (25): 204-212, 1988

      30 Holt, D., "How consumers consume" 22 (22): 1-16, 1995

      31 McLeon, R., "Getting to Value" 43 (43): 25-29, 2002

      32 McDougall, G.,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s" 14 (14): 392-410, 2000

      33 Blackwell, R., "Consumer Behaviour" Harcourt 2011

      34 Leitner, P., "Collaborative shopping networks" 321-335, 2008

      35 한상린, "B2B 시장에서의 서비스 편의성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 관계적 요인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유통학회 16 (16): 65-93, 2011

      36 Wang, Y., "An integrated framework for customervalue and customer-relationship management performance" 14 (14): 169-182, 2004

      37 Zhang, X.,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Affecting e-Service Satisfaction" 25 (25): 279-291, 2006

      38 Oliver, 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Satisfaction Decisions" 17 (17): 460-468,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