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교육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79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농업인은 이미 농가인구 가운데서 51.5%, 농림업 취업자 가운데서 47.5%를 점하고 있다. 또한 농가의 노동투하시간 가운데 여성 비율은 46.6%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농업에서 비록 여성농업인이 절반의 몫을 수행하고 있지만, 그들의 지위는 단순히 농작업의 보조자로서만 인식되어 왔을 뿐이다. 그들을 전문인력이나 농촌지도자로 배려하는 사회경제 풍토는 아직도 요원하기만 하다. 그러나 정보화와 지식기반 사회로 가는 21세기에는 특유의 창의성과 감성을 지닌 여성농업인의 전문농업인력화 없이는 농업의 지속과 발전을 꾀하기 어렵다. 바로 여기에 여성농업인들을 전문농업인력으로 육성해야 할 당위성이 놓여있다. 이 연구는 2차례의 실증조사를 통해 여성농업인들의 전문농업인력으로서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학력에 따라 여성농업인들의 농업경영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조사된 연령층 중에서 30대가 가장 경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능력 차이가 가장 확연히 나타나는 분야는 영농교육분야였고 가정관리 능력은 연령과 학력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젊고 고학력의 여성농업인일수록 독자적인 교육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와 같은 사실에 바탕하여 이 연구는 기존의 여성농업인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여성농업인 문제의 특수성과 그들의 높은 교육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그것은 곧바로 새로운 교육프로그램과 교재개발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여성농업인은 이미 농가인구 가운데서 51.5%, 농림업 취업자 가운데서 47.5%를 점하고 있다. 또한 농가의 노동투하시간 가운데 여성 비율은 46.6%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농업에서 비록 ...

      여성농업인은 이미 농가인구 가운데서 51.5%, 농림업 취업자 가운데서 47.5%를 점하고 있다. 또한 농가의 노동투하시간 가운데 여성 비율은 46.6%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농업에서 비록 여성농업인이 절반의 몫을 수행하고 있지만, 그들의 지위는 단순히 농작업의 보조자로서만 인식되어 왔을 뿐이다. 그들을 전문인력이나 농촌지도자로 배려하는 사회경제 풍토는 아직도 요원하기만 하다. 그러나 정보화와 지식기반 사회로 가는 21세기에는 특유의 창의성과 감성을 지닌 여성농업인의 전문농업인력화 없이는 농업의 지속과 발전을 꾀하기 어렵다. 바로 여기에 여성농업인들을 전문농업인력으로 육성해야 할 당위성이 놓여있다. 이 연구는 2차례의 실증조사를 통해 여성농업인들의 전문농업인력으로서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학력에 따라 여성농업인들의 농업경영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조사된 연령층 중에서 30대가 가장 경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능력 차이가 가장 확연히 나타나는 분야는 영농교육분야였고 가정관리 능력은 연령과 학력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젊고 고학력의 여성농업인일수록 독자적인 교육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와 같은 사실에 바탕하여 이 연구는 기존의 여성농업인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여성농업인 문제의 특수성과 그들의 높은 교육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그것은 곧바로 새로운 교육프로그램과 교재개발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man farmers occupied 51.5% in farm population, 47.5% in employed person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industry. And they makes up 46.6% in farm household labor input times. Though they are attend half duty in agricultural sector, they are only assistants not the main bodies. Social and economical atmosphere is far from as specialized labor or rural leaders. But in 21th century, societies based on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ensibility of woman farmers is necessary in agriculture development and sustaining. These is the reason that we should bring up of specialized agricultural labor. In this study we catch woman farmer`s possibility as specialized agricultural labor. As a result, woman farmer`s managerial abilities show characters istics according to ages and academic careers. Who in thirties of investigated woman farmers was the most executive group in managerial ability. Who had more higher in academic careers, they was educated more than poor academic careers. On the other hand, sharing and decision of housework had nothing to do with ages and academic careers. Persons who were more younger and better scholar, they hoped characteristic education for woman farmers. Basned on this results, it was demanded equipment of new education system which was solving the problems with woman farmer.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 materials were demanded.
      번역하기

      Woman farmers occupied 51.5% in farm population, 47.5% in employed person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industry. And they makes up 46.6% in farm household labor input times. Though they are attend half duty in agricultural sector, they are only ass...

      Woman farmers occupied 51.5% in farm population, 47.5% in employed person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industry. And they makes up 46.6% in farm household labor input times. Though they are attend half duty in agricultural sector, they are only assistants not the main bodies. Social and economical atmosphere is far from as specialized labor or rural leaders. But in 21th century, societies based on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ensibility of woman farmers is necessary in agriculture development and sustaining. These is the reason that we should bring up of specialized agricultural labor. In this study we catch woman farmer`s possibility as specialized agricultural labor. As a result, woman farmer`s managerial abilities show characters istics according to ages and academic careers. Who in thirties of investigated woman farmers was the most executive group in managerial ability. Who had more higher in academic careers, they was educated more than poor academic careers. On the other hand, sharing and decision of housework had nothing to do with ages and academic careers. Persons who were more younger and better scholar, they hoped characteristic education for woman farmers. Basned on this results, it was demanded equipment of new education system which was solving the problems with woman farmer.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 materials were deman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