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카약 스프린트 종목에서 패들 그립너비가 카약 전방 스트로크 동작과 보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addle Grip Width on Movement of Forward Stroke and Stability of Boat during Kayak Spr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3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that paddle grip width has to successful performance during the forward stroke movement pattern, and boat stability in kayak sprinting. Eight male elite kayak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that paddle grip width has to successful performance during the forward stroke movement pattern, and boat stability in kayak sprinting. Eight male elite kayak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Kayak athletes performed kayak sprinting with three grip width conditions (preferred grip(PGW); narrow grip(NG); wide grip(WG)) while stroke frequency, paddling distance, knee joint ROM and angular velocity, trunk rotation ROM, boat stability, integrated EMG(rectus femoris: RF, biceps femoris:BF)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kayak performance with preferred grip width condition is better than others. For the wide grip width, rotation of trunk is larger and iEMG of Biceps femoris. However, the boat stability was affected negatively. There were no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s, but some condition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ferroni’s post hoc test. Wide grip width helps make more rotation of trunk and more iEMG value of BF, but no good performance because of large ROM of boat roll angle. Large ROM of boat roll can be was a main factor reducing kayak velocity. The improvement of paddling technique to minimize ROM of rolling angle is needed for kayak athletes to use a wide grip wid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기정, "하드셀 카약 보트와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 및 선수의 수행력 비교 분석" 한국체육학회 52 (52): 531-541, 2013

      2 박창규, "카나디언 패들 그립위치가 스트로크 동작의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韓國體育大學校 大學院 1997

      3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체육지도자 훈련 지도서(카누)" 2010

      4 진성근, "역도 인상기술의 그립너비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과 근전도 비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류재진, "엘리트 카약 선수들의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로잉 동작 시 안장과 페달의 거리가 로잉 패턴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22 (22): 65-73, 2012

      6 이종훈, "숙련도에 따른 카약 전방 스트로크 동작의 비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89-1401, 2012

      7 박희홍, "벤치 프레스 운동 시 그립의 너비가 상체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8

      8 김종수, "대한 민국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의 운동 상해 요인과 기전에 대한 고찰" 7 (7): 309-333, 1998

      9 Kendal, S., "The technique of elite flatwater kayak paddlers using the wing paddle" 8 : 233-250, 1992

      10 Shephard, R., "Science and medicine of canoeing and kayaking" 4 (4): 19-, 1987

      1 남기정, "하드셀 카약 보트와 공기주입식 카약 보트의 성능 비교 및 선수의 수행력 비교 분석" 한국체육학회 52 (52): 531-541, 2013

      2 박창규, "카나디언 패들 그립위치가 스트로크 동작의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韓國體育大學校 大學院 1997

      3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체육지도자 훈련 지도서(카누)" 2010

      4 진성근, "역도 인상기술의 그립너비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과 근전도 비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류재진, "엘리트 카약 선수들의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로잉 동작 시 안장과 페달의 거리가 로잉 패턴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22 (22): 65-73, 2012

      6 이종훈, "숙련도에 따른 카약 전방 스트로크 동작의 비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89-1401, 2012

      7 박희홍, "벤치 프레스 운동 시 그립의 너비가 상체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8

      8 김종수, "대한 민국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의 운동 상해 요인과 기전에 대한 고찰" 7 (7): 309-333, 1998

      9 Kendal, S., "The technique of elite flatwater kayak paddlers using the wing paddle" 8 : 233-250, 1992

      10 Shephard, R., "Science and medicine of canoeing and kayaking" 4 (4): 19-, 1987

      11 Ong, K. B., "Performance tolerance and boat set‐up in elite sprint Kayaking" 5 (5): 77-94, 2006

      12 Jackson, P., "Performance prediction for Olympic kayaks" 13 (13): 239-245, 1995

      13 "Olympic.org’s Canoe/ Kayak sprint equipment and history"

      14 Alacid, 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elite paddlers" 27 (27): 95-110, 2011

      15 Ackland, T. 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lympic sprint canoe and kayak paddlers" 6 (6): 285-294, 2003

      16 Ridge, B. 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lympic slalom canoe and kayak paddlers" 7 (7): 107-113, 2007

      17 Begon, M., "Lower limb contribution in kayak performance : modelling, simulation and analysis" 23 (23): 387-400, 2010

      18 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s Canoeing & Olympics"

      19 Fiore, D C, "Injuries in whitewater kayaking" 35 (35): 235-241, 2001

      20 Rademaker, S., "Flatwater kayaking: Paddle principles" 5 : 32-39, 1977

      21 Ong, K. B., "Equipment set‐up among Olympic sprint and slalom Kayak paddlers" 4 (4): 47-58, 2005

      22 Michael, J. S., "Determinants of kayak paddling performance" 8 (8): 167-179, 2009

      23 Plagenhoef, S., "Biomechanical analysis of Olympic flatwater kayaking and canoeing" 50 (50): 443-, 1979

      24 Chun, S. K., "A sensor-aided self coaching model for uncocking improvement in golf swing" 2013

      25 Baudouin, A., "A biomechanical review of factors affecting rowing performance" 36 (36): 396-402, 2002

      26 Mann, R. V., "A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Olympic-style flatwater kayak stroke" 12 (12): 183-,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