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체 활동 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Environment on Self-esteem and Emotion of You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8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between physical activity in natural environment and indoor physical activity of youth. The participants were 28 youth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both a group participat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activity and a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door environment physical activity through random allocation method. Exercise frequency,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time were set equal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expert opinion and previous research. The measurements were utilized both Rosenberg (1965) 's self esteem scale and profile of mood state (POMS) by Mcnair (1971). The self esteem of participants was analyzed as a single factor and mood (emotion) was measured by Total Mood Disturbance (TMD). This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was not found in self esteem. In both groups, physical activity increased self esteem of participants. Secondly, in the emotion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group and the period was not shown. In both groups,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decreased the negative emotions of participants and increased the positive emo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between physical activity in natural environment and indoor physical activity of youth. The participants were 28 youth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both a group participating in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between physical activity in natural environment and indoor physical activity of youth. The participants were 28 youth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both a group participat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activity and a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door environment physical activity through random allocation method. Exercise frequency,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time were set equal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expert opinion and previous research. The measurements were utilized both Rosenberg (1965) 's self esteem scale and profile of mood state (POMS) by Mcnair (1971). The self esteem of participants was analyzed as a single factor and mood (emotion) was measured by Total Mood Disturbance (TMD). This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was not found in self esteem. In both groups, physical activity increased self esteem of participants. Secondly, in the emotion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group and the period was not shown. In both groups,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decreased the negative emotions of participants and increased the positive emo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환경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와 실내 환경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청소년 2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선 할당 방식으로 자연환경 신체활동 참여집단과 실내 환경 신체 활동 참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두 집단은 운동 환경(자연환경 VS 실내 환경)만 다르게 설정되었으며, 운동빈도, 운동강도 및 운동 시간은 전문가의 의견과 선행연구 등을 근거하여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갑 검사지와 McNair(1971)의 기분상태 검사지(POMS: profile of mood state)이다. 측정도구는 예비검사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사용되었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단일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기분상태(정서)는 정서 방해 척도 값(TMD: Total Mood Disturbance)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설계는 집단과 시기의 이원반복분산 측정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상호작용과 주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신체 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신체 활동 참여가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환경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와 실내 환경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청소년 2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선 할당 방식으로 자연환...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환경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와 실내 환경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청소년 2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선 할당 방식으로 자연환경 신체활동 참여집단과 실내 환경 신체 활동 참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두 집단은 운동 환경(자연환경 VS 실내 환경)만 다르게 설정되었으며, 운동빈도, 운동강도 및 운동 시간은 전문가의 의견과 선행연구 등을 근거하여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갑 검사지와 McNair(1971)의 기분상태 검사지(POMS: profile of mood state)이다. 측정도구는 예비검사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사용되었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단일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기분상태(정서)는 정서 방해 척도 값(TMD: Total Mood Disturbance)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설계는 집단과 시기의 이원반복분산 측정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상호작용과 주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신체 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신체 활동 참여가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긍정적 정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중길, "표현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57-74, 2007

      2 문익수, "청소년 씨름선수의 스포츠 행복 지각 척도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129-147, 2009

      3 김남진, "직장여성들의 운동실천이 신체적․정신적․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40 (40): 2001

      4 한이석,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자의 목표지향과 사회적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 13 (13): 175-190, 2000

      5 전태준, "신체적 여가 활동 및 생활기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09-120, 2015

      6 이근모, "스포츠클럽 참가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67-79, 2009

      7 이혁,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625-635, 2008

      8 정영자, "무용-동작요법이 우울 청소년들의 정서반응과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지선, "멘토링을 통한 등산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0

      10 최영옥, "도시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참여와 사회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19 (19): 125-139, 2000

      1 박중길, "표현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57-74, 2007

      2 문익수, "청소년 씨름선수의 스포츠 행복 지각 척도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 (20): 129-147, 2009

      3 김남진, "직장여성들의 운동실천이 신체적․정신적․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40 (40): 2001

      4 한이석,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자의 목표지향과 사회적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 13 (13): 175-190, 2000

      5 전태준, "신체적 여가 활동 및 생활기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09-120, 2015

      6 이근모, "스포츠클럽 참가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67-79, 2009

      7 이혁,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625-635, 2008

      8 정영자, "무용-동작요법이 우울 청소년들의 정서반응과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지선, "멘토링을 통한 등산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0

      10 최영옥, "도시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참여와 사회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19 (19): 125-139, 2000

      11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2

      12 Park, B.,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hinrin-yoku(taking in the forest atmosphere or forest bathing) : evidence from field experiments in 24 forests across Japan" 15 : 18-26, 2010

      13 Fjortoft, I.,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 The impact of outdoor play activities in pre-primary school children" 29 : 111-117, 2001

      14 Pretty, J.,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utcomes of green exercise" 15 : 319-337, 2005

      15 Barton, J., "The health benefits of walking in greenspaces of high natural and heritage value" 6 : 261-278, 2009

      16 Fletcher, G. F., "Statement on exercise : Benefits and recommendations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all Americans : A state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by the committee on exercise and cardiac rehabilitation of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86 (86): 340-344, 1992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307, 1965

      18 Morita, E.,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s on healthy adults : Shinrin-yoku(forest-air bathing, walking)as a possible method of stress reduction" 121 : 54-63, 2007

      19 McNair D, "Profile of Mood States (Manual)" EDITS 1971

      20 Cook, S., "Prevalence of a metabolic syndrome phenotype in adolescents :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157 : 821-827, 2003

      21 Ortega, B., "Physical fitnes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a powerful marker of health" 32 : 1-11, 2008

      22 Bouchard, C., "Physical activity, fitness and health: International Proceedings and consensus statement" Human Kinetics 1994

      23 Paffenburger, R. S., "Physical activity, all causes mortality, and longevity of College Alumni" 314 (314): 605-613, 1986

      24 Taylor, A.,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outledge 2000

      25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 Psychology,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benefits :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 Psychology position statement" 20 (20): 179-184, 1992

      26 Wells, N., "Nearby nature :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35 : 311-330, 2003

      27 Pretty, J., "Nature, childhood and life pathways" University of Essex 2009

      28 WHO, "Life course perspectives on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and diabetes" 2004

      29 Mersy, D. J., "Health benefits of acrobic exercise" 90 (90): 1991

      30 Kristjansson, A., "Health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dolescents :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ietary habits,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self-esteem" 37 : 51-64, 2010

      31 Taylor, A., "Growing up in the inner city" 30 : 3-27, 1998

      32 Pretty, J., "Green exercise in the UK countryside : effects on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lanning" 50 : 211-231, 2007

      33 Kling, K. C., "Gender differences in self-esteem : a meta-analysis" 125 : 470-500, 1999

      34 Snyder, "Family influence and involvement in sports" 44 (44): 243-249, 1974

      35 Barton, J., "Exercise, nature and socially interactive based initiatives improve mood and self-esteem in the clinical population" 1-8, 2011

      36 Brosse, A. L., "Exercise and the treatment of clinical depression in adults : rec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32 (32): 741-760, 2002

      37 Morgan, W. P., "Exercise and Mental Health" Heisphere Publishing 1987

      38 Dishman, T. K., "Exercise Adherence:It's Impact on Public Health" Human Kinetics Book 1990

      39 Wells, N. M., "Environment, design, and obesity. Opportunities fo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ve research" 39 : 6-33, 2007

      40 Calfas, K.,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psychological variables in adolescents" 6 : 406-423, 1994

      41 Natural England, "Childhood and nature: A survey on changing relationships with nature across generations" Natural England 2009

      42 Ekeland, E., "Can exercise improve self-esteem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 trials" 39 : 792-798, 2005

      43 Crews, D., "Aerobic physical activity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low-oncome hispanic children" 98 : 319-324, 2004

      44 Lerner RM, "Adolescent development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programs, and policies" 49 : 413-446, 1998

      45 ACSM., "ACSM: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3-8, 2006

      46 Fortier, M. S., "A self-determination process model of physical activity adoption in the context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8 : 741-757, 2007

      47 Wood C., "A randomised control trial of physical activity in a perceived environment on self-esteem and mood in UK adolescents" 23 (23): 311-32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