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시대에 따른 배우의 몸 훈련의 방향성, ‘비우기(emp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7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 날, 이른 바 ‘포스트드라마(post-drama)’ 시대로의 전환은 연극의 중심으로 여겨졌던 텍스트(text)의 변화와 배우 역할의 확장을 가져왔다. 텍스트의 고정된 세계가 중심이 되는 전통적인...

      오늘 날, 이른 바 ‘포스트드라마(post-drama)’ 시대로의 전환은 연극의 중심으로 여겨졌던 텍스트(text)의 변화와 배우 역할의 확장을 가져왔다. 텍스트의 고정된 세계가 중심이 되는 전통적인 드라마 연극에서의 배우는 등장인물의 세계를 진실하게 표현해야 하는 의무를 부여받는다. 그러나 포스트드라마 시대로 접어든 이후, 배우는 더 이상 텍스트의 고정된 의미를 해석하여 ‘전달’ 하는 존재가 아니라 관객을 만나는 ‘지금, 여기’에 유효한 의미를 ‘생산’ 하는 존재로 탈바꿈한다. 즉, 통일성과 종합성을 지니는 완성된 작품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 전통적인 배우, ‘actor’의 역할이었다면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는 스스로 내러티브의 주체가 되어 다양한 연극언어를 창조할 수 있는 ‘performer’로서 역할이 확장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간을 이루고 있는 텍스트를 통한 언어 중심(verbal-centered) 연기교육은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동시대의 연극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교육과 현장의 괴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연구자는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탈(脫)언어 중심 연기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며 ‘비우기(empty)’ 측면을 중심으로 배우의 몸 훈련에 대해 조명하고자 했다.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배우의 몸은 텍스트에 종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기호적 의미를 생산하는 것에 억압받지 않고 현상 그 자체로 인식되며 관객의 감각에 즉발적으로 지각되는 현존의 언어이다. 따라서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몸 훈련은 ‘채우는 것’ 보다는 ‘비우는 것’을 통해 개방성, 즉흥성을 습득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예지 그로토프스키(Jerzy Grotowski), 피터 브룩(Peter Brook), 자크 르콕(Jacuques Lecoq)을 중심으로 ‘비우기’ 측면에서의 몸 훈련을 비교분석했다. 공통적으로는 현존을 위해 개방된 몸의 상태를 강조했으며, 그로토프스키는 ‘역동성’을 브룩은‘섬세함’을 르콕은 ‘즉흥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였다.
      위 같은 사례를 통해 포스트드라마 시대에 따른 몸 훈련의 방향성으로서 ‘비우기’가 의미하는 바에 대해 ‘기술을 반복, 습득하기 위함이 아닌 현존을 위해 비워진 상태’, ‘오브제(object) 등 탈(脫)언어적 요소와 결합을 위해 준비된 상태’ 등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는 텍스트의 대리 전달자가 아닌 내러티브의 주체적 자아로 거듭난 ‘퍼포머’를 지향하는 배우훈련임을 강조했다.
      이에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연기교육은 텍스트와 언어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몸 훈련의 경우 배우의 고정된 상태를 만들어 내는 채우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극언어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비우기’를 지향해야 함을 주장하며 본고는 마무리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he transition to the era of “post-drama” brough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ext, which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play, and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actors. After entering the post-drama era, the actor no longer transforms hims...

      Today, the transition to the era of “post-drama” brough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ext, which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play, and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actors. After entering the post-drama era, the actor no longer transforms himself into “delivering” the fixed meaning of text, but “producing” the valid meaning of “now, here” meeting the audience. In other words, actors in the post-drama era have expanded their roles as “performers” who can become the subject of narratives themselves and create various theatrical languages.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actor"s role, verbal-centered actor training through text, which still forms the basis of acting education, does not satisfy the newly changing contemporary theatricality and creates a gap between education and the field. Therefore, the researcher argued that non-verbal-centered acting education needs to be discussed, and highlighted the actors" physical training on the “empty” side. The researchers first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heater people"s training methods from an “empty” perspective. Based on this, researchers abou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training “empty”. Furthermore, the study concludes with an emphasis on the direction of acting education in the post-drama era, which is free from language that can respond to stimuli and interact fre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혜, "피터 브룩의 ‘보편적 연극언어’ 실험: 《오가스트》공연(1971년)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24) : 251-285, 2004

      2 심재민, "포스트드라마의 몸: 현상학적인 몸의 현존 방식에 대한 레만의 해석" 한국연극학회 (42) : 157-191, 2010

      3 김기란,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기 개념과 배우의 정체성" 한국드라마학회 (59) : 5-36, 2019

      4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77-, 2011

      5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292-, 2011

      6 한스-티스 레만,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대미학사 31-, 2015

      7 장인숙, "자크 르콕의 중립가면 연구" 한국연극교육학회 22 (22): 205-234, 2013

      8 김형기, "일상의 퍼포먼스화 - 혹은 뉴 다큐멘터리 연극- 리미니 프로토콜의 연출작업을 중심으로" 한국헤세학회 (24) : 339-361, 2010

      9 손봉희, "오늘날 학교 연기예술 교육 방법에 대한 개선 모색 : 지도자 형(型)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271-278, 2018

      10 Brook, P., "열린문: 연기와 연극에의 사색" 평민사 33-, 1996

      1 김미혜, "피터 브룩의 ‘보편적 연극언어’ 실험: 《오가스트》공연(1971년)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24) : 251-285, 2004

      2 심재민, "포스트드라마의 몸: 현상학적인 몸의 현존 방식에 대한 레만의 해석" 한국연극학회 (42) : 157-191, 2010

      3 김기란,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기 개념과 배우의 정체성" 한국드라마학회 (59) : 5-36, 2019

      4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77-, 2011

      5 김형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푸른사상 292-, 2011

      6 한스-티스 레만,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대미학사 31-, 2015

      7 장인숙, "자크 르콕의 중립가면 연구" 한국연극교육학회 22 (22): 205-234, 2013

      8 김형기, "일상의 퍼포먼스화 - 혹은 뉴 다큐멘터리 연극- 리미니 프로토콜의 연출작업을 중심으로" 한국헤세학회 (24) : 339-361, 2010

      9 손봉희, "오늘날 학교 연기예술 교육 방법에 대한 개선 모색 : 지도자 형(型)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271-278, 2018

      10 Brook, P., "열린문: 연기와 연극에의 사색" 평민사 33-, 1996

      11 안치운, "연극, 몸과 언어의 시학" 푸른사상 47-48, 2015

      12 임도완, "신체 연기교육의 부재" 6 (6): 269-274, 2000

      13 서나영, "스타니슬랍스키 연기론의 비판적 고찰" 한국연극교육학회 30 (30): 97-130, 2017

      14 에리카 피셔-리히테,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30-31, 2017

      15 피터 브룩, "빈 공간" 걷는책 98-, 2019

      16 피터 브룩, "빈 공간" 걷는책 219-, 2019

      17 Brook, P., "배우훈련" 동인 208-, 2017

      18 앨리슨 호지, "배우훈련" 동인 286-, 2017

      19 조셉 체이킨, "배우의 현존" 현대미학사 54-, 1995

      20 김방옥, "몸의 연기론(Ⅱ)" 한국연극학회 (19) : 269-332, 2002

      21 자크 르콕, "몸으로 쓰는 시: 연극 창작을 위한 교육 지침서" 연극과 인간 44-, 2020

      22 자크 르콕, "몸으로 쓰는 시: 연극 창작을 위한 교육 지침서" 연극과 인간 72-, 2020

      23 Shepherd, S., "드라마, 씨어터, 퍼포먼스" 연극과 인간 314-, 2014

      24 안 위베르스펠트, "관객의 학교" 아카넷 209-211, 2012

      25 Grotowski, J., "공연과리뷰21" 현대미학사 177-193, 1999

      26 케네스 레아, "공연과리뷰" 현대미학사 209-217, 2004

      27 심재민, "강량원과 극단 동의 연극미학"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07-322, 2020

      28 Grotowski, J., "Towards a Poor Theatre" Methuen 41-, 1975

      29 Slowiak, J., "Jerzy Grotowski" Routledge 123-124, 2006

      30 Schechner, R., "6Axioms for Environmental Theatre" 12 (12): 41-64,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