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생태주의적 자아실현과 도덕교육 = An Ecological Self-Realization and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7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cological Self-Realization and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ral education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by reviewing debates about ecological self-realization. Arguments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are criticized in that these are psychological approaches based on empathy, embrace universal ethics which excludes particulars, and insist holism which does not distinguish self from nature. But these arguments acknowledge the relative autonomy of entities and advocate ecological sensitivity. And those acknowledge identification based rather on universal ethics than personal intimacy. These are the advantages of arguments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Thus, we have to choose and organize learning contents that encourage students to cultivate ecological sensitivity and virtues for coexistences of human and nature in moral education. And we should try to teach students to realize ecological self through experience in nature learning, role play and the activity of inquiry community.
      번역하기

      An Ecological Self-Realization and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ral education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by reviewing debates about ecological self-realization. Arguments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are criticized...

      An Ecological Self-Realization and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ral education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by reviewing debates about ecological self-realization. Arguments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are criticized in that these are psychological approaches based on empathy, embrace universal ethics which excludes particulars, and insist holism which does not distinguish self from nature. But these arguments acknowledge the relative autonomy of entities and advocate ecological sensitivity. And those acknowledge identification based rather on universal ethics than personal intimacy. These are the advantages of arguments for ecological self-realization. Thus, we have to choose and organize learning contents that encourage students to cultivate ecological sensitivity and virtues for coexistences of human and nature in moral education. And we should try to teach students to realize ecological self through experience in nature learning, role play and the activity of inquiry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주의 자아에 대한 논쟁들 검토함으로써 도덕교육이 생태주의 자아실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태주의 자아 논증은 공감에 기초한 심리학적 접근이고 특수성이 결여된 보편윤리이며 인간 자아와 자연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전체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존재들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하고 친밀성보다는 보편적인 윤리에 기초한 일체화와 생태학적 감수성을 옹호한다는 측면에서는 강점을 가진다. 이에 도덕교육에서도 인간과 자연의 공생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생태학적 감수성과 자연보전의 성품을 함양하는 내용을 선정 조직하고 이를 자연체험학습, 탐구공동체활동 등의 방법을 통해 가르쳐야 할 것이다.[주제어] 자아실현, 일체화, 개인초월적 자아, 도덕교육, 생태주의적 의식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태주의 자아에 대한 논쟁들 검토함으로써 도덕교육이 생태주의 자아실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태주의 자아 논증은 공감에 기초한 심리...

      본 연구는 생태주의 자아에 대한 논쟁들 검토함으로써 도덕교육이 생태주의 자아실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태주의 자아 논증은 공감에 기초한 심리학적 접근이고 특수성이 결여된 보편윤리이며 인간 자아와 자연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전체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존재들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하고 친밀성보다는 보편적인 윤리에 기초한 일체화와 생태학적 감수성을 옹호한다는 측면에서는 강점을 가진다. 이에 도덕교육에서도 인간과 자연의 공생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생태학적 감수성과 자연보전의 성품을 함양하는 내용을 선정 조직하고 이를 자연체험학습, 탐구공동체활동 등의 방법을 통해 가르쳐야 할 것이다.[주제어] 자아실현, 일체화, 개인초월적 자아, 도덕교육, 생태주의적 의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상준,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서울: 원미사 1999

      2 신중섭, "포퍼와 현대의 과학철학" 1992

      3 정범모, "인간의 자아실현" 서울: 나남출판 2000

      4 Cornell, J. B,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1" 서울: 우리교육 2005

      5 김성진, "생태문제와 인문학적 상상력" 서울: 나남 출판 1999

      6 Kurtines, W.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서울: 학지사 2004

      7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8 Aristotl, "니코마코스 윤리학" 1984

      9 안귀덕, "교육환경과 자아실현" 서울: 원미사 2003

      10 The Deep Ecology-Ecofeminism Debate, "from animal rights to radical ecology" Prentice-Hall Inc 1993

      1 남상준,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서울: 원미사 1999

      2 신중섭, "포퍼와 현대의 과학철학" 1992

      3 정범모, "인간의 자아실현" 서울: 나남출판 2000

      4 Cornell, J. B,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1" 서울: 우리교육 2005

      5 김성진, "생태문제와 인문학적 상상력" 서울: 나남 출판 1999

      6 Kurtines, W.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서울: 학지사 2004

      7 조난심,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8 Aristotl, "니코마코스 윤리학" 1984

      9 안귀덕, "교육환경과 자아실현" 서울: 원미사 2003

      10 The Deep Ecology-Ecofeminism Debate, "from animal rights to radical ecology" Prentice-Hall Inc 1993

      11 Cheney, Jim, "The Neo-Stoicism of Radical Environmentalism" 1989

      12 Gewirth, A, "Self-Fulfillment" Princet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13 Arne, "Outline of an Ec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4 Nina Witoszek, "Intuition Intrinsic Value, and Deep Ecology" Boston: Rowman & Littleland Publishers Inc 1996

      15 Anker, Peder, "From Skepticism to Dogmatism and Back: Remarks on the History of Deep Ecology" Boston: Rowman & Littleland Publishers, Inc. 1996

      16 Benson, J, "Environmental Ethics: an introduction with readings" london: Routledge 2000

      17 Warren, Karen, "Ecofeminist Philosophy and Deep Ecology" Boston: Rowman & Littleland Publishers, Inc. 1999

      18 Toward a Transpersonal Ecology, "Developing New Foundations for Environmentalism" 1990

      19 Sessions, G, "Deep Ecology for the 21st Century" Shambhala Publications 1995

      20 Fox, "A Response to Richard Sylvan' Critique of Deep Ecology University of Tasmania Center for Environmental Studies"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1.393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