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생물과 식물에 의해 생성된 탄산칼슘의 광물학적 특성 관찰 = Mineralogical Observation of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Properties by Bacterial and Plant Ure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5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과 식물이 가지는 요소분해효소 작용에 의해 침전되는 탄산칼슘(CaCO3)의 광물학적특성을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산성 토양에서 분리한 Sporosarcina sp. KM-01, KM-07, KM-12 등의 박테리아 균주 및 Canavalia ensiformis 식물 추출액에 의해 침전되는 CaCO3를 X-선회절분석(XRD) 및 전자현미경(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침전되는 CaCO3은 바테라이트가 주 광물상이었으나,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CaCO3의 주 광물상은 방해석으로 확인되었고, 일부 바테라이트가 검출되었다. 박테리아의 경우 진화적 요인에 의해 낮은 pH에 잘 적응된 균주의 요소분해효소 특이적 활성의 차이로 바테라이트가 생성되고,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바테라이트 결정 구조와 특정 아미노산의 영향으로 해당 구조가 유지되었을 가능성을 예상할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생광물화작용 및 토양환경복원 등의 분야에 적용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과 식물이 가지는 요소분해효소 작용에 의해 침전되는 탄산칼슘(CaCO3)의 광물학적특성을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산성 토양에서 분리한 Sporosarcina sp. K...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과 식물이 가지는 요소분해효소 작용에 의해 침전되는 탄산칼슘(CaCO3)의 광물학적특성을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산성 토양에서 분리한 Sporosarcina sp. KM-01, KM-07, KM-12 등의 박테리아 균주 및 Canavalia ensiformis 식물 추출액에 의해 침전되는 CaCO3를 X-선회절분석(XRD) 및 전자현미경(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박테리아 균주로부터 침전되는 CaCO3은 바테라이트가 주 광물상이었으나,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CaCO3의 주 광물상은 방해석으로 확인되었고, 일부 바테라이트가 검출되었다. 박테리아의 경우 진화적 요인에 의해 낮은 pH에 잘 적응된 균주의 요소분해효소 특이적 활성의 차이로 바테라이트가 생성되고,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바테라이트 결정 구조와 특정 아미노산의 영향으로 해당 구조가 유지되었을 가능성을 예상할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생광물화작용 및 토양환경복원 등의 분야에 적용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lcium carbonate(CaCO3) can be precipitated by urea hydrolysis by bacterial and plant ureases. Sporosarcina sp. KM-01, KM-07, and KM-12 strains were shown to be able to precipitate CaCO3 using urea amended with calcium chloride. Also, an extract of the plant, Canavalia ensiformis, was shown to produce CaCO3 as an effective biomaterial. The mineralogical formation of CaCO3 using bacteria was compared to that of plant urease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urease in the Canavalia ensiformis extracts precipitated mainly calcite, however, the ureases in the bacterial strains produced vaterite in liquid-state cultures. Considering acidic habitats of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s, these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ir evolutionary capabilities or the addition of specific amino acid. This makes the general application of biomineralization process based on stimulation of urea hydrolysis and potentially useful for a variety of soil bio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bioremediation.
      번역하기

      Calcium carbonate(CaCO3) can be precipitated by urea hydrolysis by bacterial and plant ureases. Sporosarcina sp. KM-01, KM-07, and KM-12 strains were shown to be able to precipitate CaCO3 using urea amended with calcium chloride. Also, an extract of t...

      Calcium carbonate(CaCO3) can be precipitated by urea hydrolysis by bacterial and plant ureases. Sporosarcina sp. KM-01, KM-07, and KM-12 strains were shown to be able to precipitate CaCO3 using urea amended with calcium chloride. Also, an extract of the plant, Canavalia ensiformis, was shown to produce CaCO3 as an effective biomaterial. The mineralogical formation of CaCO3 using bacteria was compared to that of plant urease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urease in the Canavalia ensiformis extracts precipitated mainly calcite, however, the ureases in the bacterial strains produced vaterite in liquid-state cultures. Considering acidic habitats of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s, these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ir evolutionary capabilities or the addition of specific amino acid. This makes the general application of biomineralization process based on stimulation of urea hydrolysis and potentially useful for a variety of soil bio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bioremed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강진, "해수에서 urease 양성 Photobacterium sp. Strain HA-2의 분리 및 동정" 한국수산과학회 42 (42): 531-536, 2009

      2 이민나, "전통 누룩으로부터 호산성 Urease 생산 효모의 분리 및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308-314, 2012

      3 남인현, "요소분해효소 기반 식물추출액을 이용한 광산폐기물 내 중금속 오염 저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 (20): 56-64, 2015

      4 한춘, "분사법으로 제조된 침강성 탄산칼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업화학회 17 (17): 67-72, 2006

      5 박성식,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광물질이 고결모래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 27 (27): 75-84, 2011

      6 송성문, "기액반응에서 형성된 탄산칼슘 결정의 다형성에 미치는 Aspartic acid와 Lysine의 영향" 한국화학공학회 49 (49): 109-113, 2011

      7 Kabalah-Amitai, L, "Vaterite crystals contain two interspersed crystal structures" 340 : 454-457, 2013

      8 Koper, T.E, "Urease-encoding genes in ammonia-oxidizing bacteria" 70 (70): 2342-2348, 2004

      9 Shivkumara, C, "Synthesis of vaterite CaCO3 by direct precipitation using glycine and L-alanine as directing agents" 41 (41): 1455-1460, 2006

      10 Chen, Y.Y, "Streptococcus salivarius urease: genetic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in a dental plaque Streptococcus" 64 (64): 585-592, 1996

      1 김강진, "해수에서 urease 양성 Photobacterium sp. Strain HA-2의 분리 및 동정" 한국수산과학회 42 (42): 531-536, 2009

      2 이민나, "전통 누룩으로부터 호산성 Urease 생산 효모의 분리 및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308-314, 2012

      3 남인현, "요소분해효소 기반 식물추출액을 이용한 광산폐기물 내 중금속 오염 저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 (20): 56-64, 2015

      4 한춘, "분사법으로 제조된 침강성 탄산칼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업화학회 17 (17): 67-72, 2006

      5 박성식,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광물질이 고결모래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 27 (27): 75-84, 2011

      6 송성문, "기액반응에서 형성된 탄산칼슘 결정의 다형성에 미치는 Aspartic acid와 Lysine의 영향" 한국화학공학회 49 (49): 109-113, 2011

      7 Kabalah-Amitai, L, "Vaterite crystals contain two interspersed crystal structures" 340 : 454-457, 2013

      8 Koper, T.E, "Urease-encoding genes in ammonia-oxidizing bacteria" 70 (70): 2342-2348, 2004

      9 Shivkumara, C, "Synthesis of vaterite CaCO3 by direct precipitation using glycine and L-alanine as directing agents" 41 (41): 1455-1460, 2006

      10 Chen, Y.Y, "Streptococcus salivarius urease: genetic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in a dental plaque Streptococcus" 64 (64): 585-592, 1996

      11 이만형, "Staphylococcus epidermidis urease의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17 (17): 581-586, 2007

      12 Labigne, A, "Shuttle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s of Helicobacter pylori genes responsible for urease activity" 173 (173): 1920-1931, 1991

      13 Mulrooney, S.B, "Sequence of the Klebsiella aerogenes urease genes and evidence for accessory proteins facilitating nickel incorporation" 172 (172): 5837-5843, 1990

      14 Achal, V, "Remediation of copper-contaminated soil by Kocuria flava CR1, based on microbi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37 (37): 1601-1605, 2011

      15 Van Paassen, L.A, "Quantifying biomediated ground improvement by ureolysis:large-scale biogrout experiment" 136 (136): 1721-1728, 2010

      16 Jones, B.D, "Proteus mirabilis urease: nucleotide sequence determination and comparison with Jack bean urease" 171 (171): 6414-6422, 1989

      17 Gu, C.H, "Polymorph Screening: Influence of Solvents on the Rate of Solvent-mediated Polymorphic Transformation" 90 (90): 1878-1890, 2001

      18 Okwadha, G.D, "Optimum conditions for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81 (81): 1143-1148, 2010

      19 DeJong, J.T, "Microbially induced cementation to control sand response to undrained shear" 132 (132): 1381-1392, 2006

      20 Mobley, H.L, "Microbial ureases:significance, regu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53 (53): 85-108, 1989

      21 De Muynck, W,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s:A review" 36 (36): 118-136, 2010

      22 Whiffin, V. S.,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as a soil improvement technique" 24 (24): 417-423, 2007

      23 Tabatabai M.A, "Michaelis constants of urease in soils and soil fraction" 37 (37): 701-707, 1973

      24 Bremner, J.M, "Inhibition of urease activity in soil" 3 (3): 297-307, 1971

      25 Sondi, I, "Influence of the primary structure of enzymes on the formation of CaCO3polymorphs: A comparison of plant (Canavalia ensiformis)and bacterial (Bacillus pasteurii) ureases" 21 : 8876-8882, 2005

      26 Nam, I.H,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mine wastes using Canavalia ensiformis extract" 136 : 53-58, 2016

      27 Park, K.S, "Genetic characterization of DNA region containing the trh and ure genes of Vibrio parahaemolyticus" 68 : 5742-5748, 2000

      28 Terajima, R, "Fundamental study of siliceous biogrout for eco-friendly soil improvement" 65 (65): 120-130, 2009

      29 Kawasaki, S, "Effect of temperature on precipitation of calcium carbonate using soil microorganisms" 51 (51): 10-18, 2010

      30 Grasham, T.L.T, "Design and validation of ureC-based primers for groundwater detection of urea-hydrolyzing bacteria" 24 (24): 353-364, 2007

      31 Xie, A.J, "Crystal growth of calcium carbonate with various morphologies in different amino acid systems" 285 : 436-443, 2005

      32 De Koning-Ward T.F, "Characterization of the urease-encoding gene complex of Yersinia enterocolitica" 145 (145): 25-32, 1994

      33 박민정, "Characterization of Urease-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Heavy Metal Contaminated Mine Soil" 한국토양비료학회 47 (47): 391-397, 2014

      34 Manoli, F, "Calcium carbonate crystallization in the presence of Glutamic Acid" 222 : 293-297, 2001

      35 Nam, I.H, "Biotransformation of 1,2,3-tri- and 1,2,3,4,7,8-hexachlorodibenzo-p-dioxin by Sphingomonas wittichii strain RW1" 72 : 112-116, 2006

      36 Nam, I.H, "Bioremediation of PCDD/Fscontaminated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fly ash by a potent microbial biocatalyst" 157 : 114-121, 2008

      37 Mitchell, J.K, "Biological consideration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131 (131): 1222-1233, 2005

      38 Young, G.M, "A bifunctional urease enhances survival of pathogenic Yersinia enterocolitica and Morganella morganii at low pH" 178 (178): 6487-6495,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