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다수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은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개인정보 제공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22557
2018
Korean
개인정보 ;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 개인정보보호 보증 ;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 신뢰 ; 전자상거래 ; 정보보호 ; 프라이버시 ;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 Privacy Seal ; e-Commerce ; Privacy ; Trust ; Data Breach Insurance ; Privacy Assurance
004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17(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대다수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은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개인정보 제공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
최근 대다수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은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개인정보 제공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통해 고객들에게 개인정보보호를 보장함으로써 신뢰를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실험 연구 결과,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혹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이 프라이버시 신뢰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의 경우, 프라이버시 신뢰를 매개로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신뢰 성향이 높은(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를 통해 보다 높은 신뢰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의 필요성을 입증함으로써 기업 경영진의 정보보호 투자 관련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ost online firms are trying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customer’s data. However, customers are reluctant to give their information to online firm because of concerns about data breach. Online firms are seeking to increase t...
Recently, most online firms are trying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customer’s data. However, customers are reluctant to give their information to online firm because of concerns about data breach. Online firms are seeking to increase their trust by ensur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customers through privacy seal (e.g. e-privacy) or data breach insurance.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privacy assurance(i.e. privacy seal, data breach insurance) on consumer behavior in online environment.
An experiment based on the hypothetical scenario was conducted using a between-subjects 2 (type of privacy assurance) + 1 (control) design. We found that both privacy seal and data breach insurance increased perceived privacy trust. In addition, privacy sea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perceived privacy trust. Finally,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a high (low) disposition to trust, higher perceived privacy trust is formed through privacy seal (data breach insuran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준, "정보유출배상책임보험의 가입 의무화에 관한 연구" (사)한국보험법학회 9 (9): 63-91, 2015
2 김은경, "정보유출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소고" 한국금융법학회 11 (11): 149-176, 2014
3 김진성,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반응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주인-대리인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8 (28): 1959-1984, 2015
4 김종기, "전자상거래의 프라이버시 정책 인식이 개인정보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8 (18): 185-207, 2016
5 신건훈, "전자상거래 보험의 시장현황 및쟁점에 관한 고찰" 한국통상정보학회 7 (7): 27-51, 2005
6 곽영암, "전자상거래 관련 보험 활성화 방안" 한국전자상거래학회 8 (8): 29-51, 2007
7 이동일, "인터넷 점포 신뢰구축과정에서 제3자 인증마크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3 (23): 49-70, 2005
8 김상욱, "온라인 인증마크의 유형 분류 및 효과 비교에 관한 연구 : 신호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1 (31): 1-15, 2013
9 김상욱, "온라인 인증마크의 신뢰 구축 효과에 관한 연구: 조절변수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0 (30): 149-159, 2012
10 김상욱, "온라인 인증마크 유형별 온라인 신뢰 구축 효과의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51-63, 2012
1 박영준, "정보유출배상책임보험의 가입 의무화에 관한 연구" (사)한국보험법학회 9 (9): 63-91, 2015
2 김은경, "정보유출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소고" 한국금융법학회 11 (11): 149-176, 2014
3 김진성,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반응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주인-대리인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8 (28): 1959-1984, 2015
4 김종기, "전자상거래의 프라이버시 정책 인식이 개인정보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8 (18): 185-207, 2016
5 신건훈, "전자상거래 보험의 시장현황 및쟁점에 관한 고찰" 한국통상정보학회 7 (7): 27-51, 2005
6 곽영암, "전자상거래 관련 보험 활성화 방안" 한국전자상거래학회 8 (8): 29-51, 2007
7 이동일, "인터넷 점포 신뢰구축과정에서 제3자 인증마크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3 (23): 49-70, 2005
8 김상욱, "온라인 인증마크의 유형 분류 및 효과 비교에 관한 연구 : 신호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1 (31): 1-15, 2013
9 김상욱, "온라인 인증마크의 신뢰 구축 효과에 관한 연구: 조절변수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0 (30): 149-159, 2012
10 김상욱, "온라인 인증마크 유형별 온라인 신뢰 구축 효과의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51-63, 2012
11 이준기, "서비스의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염려도가 개인화 된 서비스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 12 (12): 37-51, 2007
12 이한준, "간편결제 서비스에서 전자금융사고 시 국내 사이버 배상책임보험의 한계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6 (16): 1-8, 2016
13 Rifon, N. J, "Your Privacy Is Sealed: Effects of Web Privacy Seals on Trust and Personal Disclosures" 39 (39): 339-362, 2005
14 Odom, M. D, "Web Assurance Seals : How and Why They Influence Consumers’ Decisions" 16 (16): 231-250, 2002
15 Gefen, D,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 An Integrated Model" 27 (27): 51-90, 2003
16 Park, S. J,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Electronic Commerce Insurance" 26 (26): 151-169, 2001
17 Bansal, G, "The Impact of Personal Dispositions on Information Sensitiv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in Disclos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49 (49): 138-150, 2010
18 Shim, J. Y, "The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Commerce Trust-enhancing Schemes and Guaranty Systems on Online Transactions" Yonsei University 2004
19 Chang, R. D, "The Effects of WebTrust Assurance on Consumers’ Web Purchase Decisions : An Experiment" 36 (36): 218-240, 2012
20 Wu, K. W, "The Effect of Online Privacy Policy on Consumer Privacy Concern and Trust" 28 (28): 889-897, 2012
21 Datanet, "Social Dating ‘cocoabook’, Data Breach Insurance"
22 Aju Economy, "Redcap tour, Information Security Best Practice"
23 Taylor, D. G, "Privacy Concern and Online Personaliza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Control and Compensation" 9 (9): 203-223, 2009
24 Grazioli, S, "Perils of Internet Fraud: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Deception and Trust with Experienced Internet Consumers" 30 (30): 395-410, 2000
25 Zarrai, R, "Perceptual and Personal Determinants of Trust on a Commercial Web Site" 2007
26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27 Malhotra, N. K,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15 (15): 336-355, 2004
28 Gefen, D, "E-commerce: The Role of Familiarity and Trust" 28 (28): 725-737, 2000
29 McKnight, D. H, "Developing and Validating Trust Measures for e-Commerce: An Integrative Typology" 13 (13): 334-359, 2002
30 Lee, H. K, "Consumer Damages Compensation Insurance in Consumer Protection Law on Electronic Commerce" 4 (4): 199-217, 2005
31 Pavlou, P. A, "Consumer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 Integrating Trust and Risk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7 (7): 101-134, 2003
32 Aiken, K. D, "Building Internet Trust : Signaling through Trustmarks" 1 (1): 251-267, 2004
33 Hoffman, D. L, "Building Consumer Trust Online" 42 (42): 80-85, 1999
34 Preacher, K. J,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40 (40): 879-891, 2008
35 Boo, E. F, "Assurance versus Insurance : A Study of Consumer Receptiveness in an e-Commerce Setting" 21 (21): 331-350, 2007
36 Dinev, T,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17 (17): 61-80, 2006
37 Mauldin, E,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Alternative Forms of Web Assurance for Businessto-Consumer e-Commerce" 16 (16): 33-54, 2002
38 Singh, J, "Agency and Trust Mechanisms i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Judgments" 28 (28): 150-167, 2000
39 Kim, D. J, "A Trust-based Consumer Decision-Making Model in Electronic Commerce : The Role of Trust, Perceived Risk, and Their Antecedents" 44 (44): 544-564, 2008
40 Lee, M. K, "A Trust Model for Consumer Internet Shopping" 6 (6): 75-91, 2001
41 Yoon, S. J,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Trust toward Shopping Mall Web Sites and Its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29 (29): 353-376, 2000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
사용자 리뷰 토픽분석을 활용한 모바일 쇼핑 앱 고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국내 금융 사이버보안 규제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전자거래학회지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 | 1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8 | 0.91 | 1.28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