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명" 프로젝트: 6학년 주제중심 통합학습 = The Retrospection of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6th Grader: "Life"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17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간표에 따라 국어, 사회, 수학, 과학으로 하던 일상적인 수업을 ``생명``이라는 이름을 붙여 34차시를 연속·연계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주제중심 통...

      시간표에 따라 국어, 사회, 수학, 과학으로 하던 일상적인 수업을 ``생명``이라는 이름을 붙여 34차시를 연속·연계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주제중심 통합학습 실행 경험에 대한 회고이다. 회고를 통해 통합수업에 대한 경험이 시사하는 바, 즉 통합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학습 실행을 통해 갖게 된 네 가지 질문에 대해 성찰하였다. 첫째, 나는 ``생명``프로젝트를 제대로 실행했는가? 둘째, 나는 통합적 교수경험을 했다고 볼 수 있는가? 셋째, 내가 ``생명``을 통해 얻은 통합에 대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넷째, ``생명``프로젝트가 시사하는 통합의 의미는 무엇인가? ``생명``중심의 일련의 학습은 아동에게 생명적 관점에서 교과내용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도록 계속적인 계기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 방식은 아동의 통합적 학습 경험이 발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학습의 맥락을 유지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lass of the study integrating method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attempted with a name called ``life project``. The preparation process was gone through execute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and the integration learni...

      The class of the study integrating method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attempted with a name called ``life project``. The preparation process was gone through execute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and the integration learning was done over the 34th tim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retrospect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the execution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I was tried to look for the meaning of integration suggests through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learning. A reflection was tried about 4 questions after the integration learning operation. First, Did I practice the ``life project`` properly? Second, Did I obtained the integrated instruction experience? Third, What was the meaning of experience about the integration learning through the ``life`` project? Fourth, What was the meaning of the ``integration`` which the ``life project`` gives implications? The integrated learning was finished and then organized the integrated learning modes of the teacher and child, and the structure of the life project. Execution of the integrated learning was provide the continuous turning point to the child through the integrated learning operation in the life point of view. Accordingly, this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approach can maintain the connection of the relevant context of learning so that the experience of the learning moment could be emerged to the chi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onna M. Wolfinger,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7

      2 Drake, S. M, "통합교육과정" 원미사 2004

      3 정광순,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381-402, 2010

      4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별책2]" 2007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한솔사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한솔사 2008

      7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2007

      8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1997

      9 이언주, "초등교사의 프로젝트 학습 수행 체험연구" 서울교대 2007

      10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별책1]" 대한교과서 2007

      1 Donna M. Wolfinger,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7

      2 Drake, S. M, "통합교육과정" 원미사 2004

      3 정광순,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381-402, 2010

      4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별책2]" 2007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 한솔사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한솔사 2008

      7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2007

      8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1997

      9 이언주, "초등교사의 프로젝트 학습 수행 체험연구" 서울교대 2007

      10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별책1]" 대한교과서 2007

      11 이화여대 부속초등학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6학년" 학지사 2005

      12 강충열,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12 (12): 5-29, 1998

      13 교육인적자원부, "수학 6-가 초등학교교사용 지도서" (주)두산 2008

      14 교육인적자원부, "사회 6-1 초등학교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 2004

      15 교육인적자원부, "국어 6-1 초등학교교사용 지도서" 교학사 2006

      16 정광순, "교육과정에 기초한 초등통합교과지도" 양서원 2010

      17 Nesin, G., "교육과정 통합: 20가지 질문과 대답" 한국학술정보(주) 1999

      18 교육인적자원부, "과학 6-1 초등학교교사용 지도서" 대한교과서 2006

      19 Ingram, J. B.,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ergamon Press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