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語의 起源에 대한 考察  :  檀君古記를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13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三國遺事」의 檀君神話는 魏書의 所引이라 하여 든 것인데 여기서 말하는 魏는 素漢 이후의 魏를 뜻하며 三國時代의 魏에 관하여는 魚奪의 魏略과 王沈의 魏書가 있고 또한 陳壽의 「三國志魏志」가 있다. 그러나 魏略이나 魏書는 모두 그 全文이 전하지 못하고 그 중의 몇 部分이 逸文으로 전하는 바 그 逸文에는 檀君에 관한 記載가 없고 魏志에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三國遺事」 所引의 魏書가 王沈의 魏書라 假定한다면 亡失된 어느 部分에서 引用된 것이 아닌가하는 推測도 할 수 있고, 또한 魏書 자체의 기록도 다른 古記錄에서 引用되었을 可能性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中國史書의 外族에 대한 기술은 第三者的인 입장에서 소개한 것이 아니라 다만 中國과의 直接的인 관련 면에서 다루어져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더더구나 考慮의 餘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三國遺事」의 檀君神話는 魏書의 所引이라 하여 든 것인데 여기서 말하는 魏는 素漢 이후의 魏를 뜻하며 三國時代의 魏에 관하여는 魚奪의 魏略과 王沈의 魏書가 있고 또한 陳壽의 「三...

      「三國遺事」의 檀君神話는 魏書의 所引이라 하여 든 것인데 여기서 말하는 魏는 素漢 이후의 魏를 뜻하며 三國時代의 魏에 관하여는 魚奪의 魏略과 王沈의 魏書가 있고 또한 陳壽의 「三國志魏志」가 있다. 그러나 魏略이나 魏書는 모두 그 全文이 전하지 못하고 그 중의 몇 部分이 逸文으로 전하는 바 그 逸文에는 檀君에 관한 記載가 없고 魏志에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三國遺事」 所引의 魏書가 王沈의 魏書라 假定한다면 亡失된 어느 部分에서 引用된 것이 아닌가하는 推測도 할 수 있고, 또한 魏書 자체의 기록도 다른 古記錄에서 引用되었을 可能性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中國史書의 外族에 대한 기술은 第三者的인 입장에서 소개한 것이 아니라 다만 中國과의 直接的인 관련 면에서 다루어져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더더구나 考慮의 餘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ourses of "Housing Improvement" in 「KaeByeok」 from 1920, June to 1926, August. They are produced by "Culture Movement" advocates, whose main concern was in improvement of housing as a social residence from traditional to modern style, rather than spacial improvement of housing itself. So the discourses dealt with housing as a installation or a supplement for modernization of family life, and insisted on improving traditional housing to support modern life style. These situation are understood as unique character of housing improvement discourses of early 1920s as well as distinguished property from those produced by architects after mid 1920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ourses of "Housing Improvement" in 「KaeByeok」 from 1920, June to 1926, August. They are produced by "Culture Movement" advocates, whose main concern was in improvement of housing as a social residence from tra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ourses of "Housing Improvement" in 「KaeByeok」 from 1920, June to 1926, August. They are produced by "Culture Movement" advocates, whose main concern was in improvement of housing as a social residence from traditional to modern style, rather than spacial improvement of housing itself. So the discourses dealt with housing as a installation or a supplement for modernization of family life, and insisted on improving traditional housing to support modern life style. These situation are understood as unique character of housing improvement discourses of early 1920s as well as distinguished property from those produced by architects after mid 1920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序言
      • 2. 韓民族의 始源과 韓國語
      • 3. 檀君古記의 言語學的 解釋
      • 4. 原始韓國語와 퉁구스語 및 古아시아語와의 관계
      • 5. 結言
      • 1. 序言
      • 2. 韓民族의 始源과 韓國語
      • 3. 檀君古記의 言語學的 解釋
      • 4. 原始韓國語와 퉁구스語 및 古아시아語와의 관계
      • 5. 結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