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어린이 이미지의 발견과 번역·번안동화집 = A Study on the Discovery of Modern Children`s Images, and Translated and Adapted Fairy Tale Collecti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아동문학 형성기에 어린이와 문학을 근대적 시선으로 새롭게 발견할 수 있게 한 주요 동력은 번역이었다. 이 글은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동화집을 대상으로 하여 글(서문, 추천사, 수�...

      한국 아동문학 형성기에 어린이와 문학을 근대적 시선으로 새롭게 발견할 수 있게 한 주요 동력은 번역이었다. 이 글은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동화집을 대상으로 하여 글(서문, 추천사, 수록 동화 등)과 그림(표지, 내부 컷, 장식, 동화 삽화 등)에서 어린이와 아동문학에 대한 근대적 관념과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 표현되었는지 고찰하였다.
      『금방울』 (오천석)은 천진무구의 상징이자, `어린 구주(救主)`로서의 어린이 이미지를 시각화했고, 『사랑의 선물』(방정환)은 학대 받는 어린이 이미지를 전면화 하고 동정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하였다. 『천사의 선물』 (노자영)은 표지와 서문에서 동심주의를 피력했지만, 옛이야기 선집이기에 선정 동화와 삽화는 근대의 어린이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상투적 이미지에 머물렀다. 『세계일주동화집』(이정호)은 책 표지와 수록 동화, 편집 체제에서는 강렬한 민족주의를, `머리 말씀` 컷과 목차 컷 등에서는 낭만적 동심주의를 부각하였다. 『세계걸작동화집』(조광사)은 표지에서 활달하고 중성적인 소녀와 민족 코드를 부각했고, 『특선세계동화집』(전영택)은 표지에서 동심주의를 부각했지만, 수록 동화의 경우 청교도적 시각으로 어린이를 바라보는 시선이 강렬하다.
      아동문학 형성기에 번역 아동문학을 주도했던 핵심 그룹(민족주의 계열, 기독교 계열)의 이념적 지향에 따라 근대의 어린이 이미지와 동화관에는 낭만적 동심주의와 민족주의가 강렬하게 내재되어 있다.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에 구성된 어린이와 아동문학에 대한 특정 관념과 이미지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일반 통념으로 작동되어 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nslation was the main power behind the new discovery of children and literature from a modern perspective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how modern ideals and images regarding children and children`...

      Translation was the main power behind the new discovery of children and literature from a modern perspective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how modern ideals and images regarding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were formed and expressed in the writings (introductions, recommendations, included fairy tales) and pictures(covers, strips, decorations, illustrations) contained in translated and adapted fairy tale collections.
      Visualizing the child image of `little savior`, Geumbangul (Oh Cheon-seok) is the symbol of innocence, while Gift of Love (Bang Jeong-hwan) brought the children`s image to the forefront and highlighted images that stimulated the imagination of sympathy. The Gift of the Angel (Roh Ja-yeong) lays bare a theory of children`s innocence on its cover and introduction but fails to present a modern image of children in its selected fairy tales and illustrations, ending with a conventional image. The Around the World Fairy Tale Collection (Lee Jung-ho) highlights a powerful nationalism in its cover, fairy tales, and editorial design and a theory of romantic children`s innocence in its `preface` cut and table of content cut. The World Masterpiece Fairy Tale Collection (Chogwangsa) highlights a lively and androgynous girl and nationalistic code on its cover, while The Special World Fairy Tale Collection (Jeon Young-taek) highlights a theory of children`s innocence on its cover despite having a powerful view of children through a puritanical gaze in its fairy tales.
      Modern Children`s images and outlooks on fairy tales contained a romantic theory of children`s innocence and nationalism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core group (nationalistic line, Christian line) leading the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he particular ideals and images in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formed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ave functioned as a powerful general notion up to the pres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2004

      2 이인영, "한국 근대 아동잡지의 ‘어린이’ 이미지 연구: 『어린이』와 『소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2015

      3 전영택, "특선세계동화집" 복음사 1936

      4 노자영, "천사의 선물" 창문당서점 1929

      5 염희경,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 동화 앤솔러지의 탄생과 번역의 상상력(1)-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소년운동 그룹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9) : 211-249, 2012

      6 염희경,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 동화 앤솔러지의 탄생과 번역의 상상력(2)* .기독교 계열의 번역 동화 앤솔러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1) : 211-257, 2012

      7 Townsend, John Rowe, "어린이책의 역사 1" 시공사 1996

      8 서유리, "시대의 얼굴: 잡지 표지로 보는 근대" 소명출판 2016

      9 염희경,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경진출판 2014

      10 이정호, "세계일주동화집" 이문당 1926

      1 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2004

      2 이인영, "한국 근대 아동잡지의 ‘어린이’ 이미지 연구: 『어린이』와 『소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2015

      3 전영택, "특선세계동화집" 복음사 1936

      4 노자영, "천사의 선물" 창문당서점 1929

      5 염희경,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 동화 앤솔러지의 탄생과 번역의 상상력(1)-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소년운동 그룹의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9) : 211-249, 2012

      6 염희경, "일제 강점기 번역.번안 동화 앤솔러지의 탄생과 번역의 상상력(2)* .기독교 계열의 번역 동화 앤솔러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1) : 211-257, 2012

      7 Townsend, John Rowe, "어린이책의 역사 1" 시공사 1996

      8 서유리, "시대의 얼굴: 잡지 표지로 보는 근대" 소명출판 2016

      9 염희경,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경진출판 2014

      10 이정호, "세계일주동화집" 이문당 1926

      11 최인화, "세계동화집" 대중서실 1936

      12 장혁주, "세계걸작동화집" 조광사 1936

      13 방정환, "사랑의 선물" 개벽사 1928

      14 최인화, "기독교동화집" 교문사 1940

      15 오천석, "금방울" 광익서관 1921

      16 하마다 히로스케, "薔薇の小人" 1921

      17 구보다 만타로, "白い鳥の話" 1919

      18 스즈키 미에키치, "星の豫言" 1919

      19 李姃炫, "方定煥の童話と金の船" 동아시아일본학회 (22) : 375-398, 2007

      20 시마자키 도손, "小さな土産話" 1919

      21 日本國際兒童圖書評議會, "子どもの本·1920年代 (The Artists and the Picture Book: 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日本國際兒童圖書評議會 1991

      22 山戶道昭, "圖說 兒童文學飜譯大事典 1" 大空社 2007

      23 나카지마 코토, "グリム御伽噺" 富山房 1916

      24 장정희, "『사랑의 선물』 再版 과정과 異本 발생 양상" 인문학연구원 (51) : 293-32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 1.80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