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Role of Blood Flow vs. O₂Consumption in Nicotinemide-induced Increase pO₂in a Murine Tum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41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Nicotinamide(NA)에 의한 종양내 산소 분압의 증가가 세포내 신진 대사의 변화 또는 산소 접근성의 변화에 기인하는지 규명하고자 NA의 세포내 산소 소모와 신진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여 보았다. 즉 시험관에서는 Adenylate Phosphates와 NAD⁺의 변화를 동시에 생체에서는 혈류의 변화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전 30분간 4mM(=500mg/kg) NA 처리시 세포내 산소 소모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는 4mM NA에서 세포내 Adenylate phophates와 NAD⁺치의 변화도 없었다. 종양내 혈류의 변화(적혈구 흐름)로 생체내에서 NA가 산소의 접근성의 증가를 가져오는지 평가하였다. 레이저 도플러로 적혈구 흐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종양의 크기와 비례해서, 150mm³ 크기의 종양에서 적혈구 흐름이 35%증가하였으며 500mm³ 종양에서 75%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관찰에서 FSaⅡ 생쥐 종양 모델에서 NA에 의한 종양내 산소 분압의 증가는 국소적 산소 소모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며, 국소 종양내 혈류의 증가가 종양내 산소 분압 증가의 주 기전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Nicotinamide(NA)에 의한 종양내 산소 분압의 증가가 세포내 신진 대사의 변화 또는 산소 접근성의 변화에 기인하는지 규명하고자 NA의 세포내 산소 소모와 신진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

      Nicotinamide(NA)에 의한 종양내 산소 분압의 증가가 세포내 신진 대사의 변화 또는 산소 접근성의 변화에 기인하는지 규명하고자 NA의 세포내 산소 소모와 신진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여 보았다. 즉 시험관에서는 Adenylate Phosphates와 NAD⁺의 변화를 동시에 생체에서는 혈류의 변화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전 30분간 4mM(=500mg/kg) NA 처리시 세포내 산소 소모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는 4mM NA에서 세포내 Adenylate phophates와 NAD⁺치의 변화도 없었다. 종양내 혈류의 변화(적혈구 흐름)로 생체내에서 NA가 산소의 접근성의 증가를 가져오는지 평가하였다. 레이저 도플러로 적혈구 흐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종양의 크기와 비례해서, 150mm³ 크기의 종양에서 적혈구 흐름이 35%증가하였으며 500mm³ 종양에서 75%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관찰에서 FSaⅡ 생쥐 종양 모델에서 NA에 의한 종양내 산소 분압의 증가는 국소적 산소 소모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며, 국소 종양내 혈류의 증가가 종양내 산소 분압 증가의 주 기전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evaluated the effect of nicotinamide on cellular O₂consumption and metabolic status i.e., adenylate phosphates and NAD⁻ in-vitro, and changes in blood flow in-vivo,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in cellular metabolism or increased oxygen availability, was responsible for increased tumor oxygenation. Thirty min. pre-incubation of cells with~4mM(=500mg/kg) nicotinamide resulted in no change in cellular O₂ consumption. Similarly, neither the adenylate phosphates nor the cellular NAD⁺ levels were altered in the presence of~4nM nicontinamide. In-vivo, nicotinamide(500mg/kg) increased O₂ availability as estimated by changes in relative tumor blood flow (RBC flux). The changes in RBC flux measured by the laser Doppler method, were tumor volume dependent and increased from~35% in~150mm³ tumors to~75% in~500mm³ tumors. In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indicate a reduction in local tissue O₂ consumption is not a mechanism of improved tumor oxygenation by nicotinamide in FSaⅡ murine tumor model. The primary mechanism of increased pO₂ appears to be an increased local tumor blood flow.
      번역하기

      We evaluated the effect of nicotinamide on cellular O₂consumption and metabolic status i.e., adenylate phosphates and NAD⁻ in-vitro, and changes in blood flow in-vivo,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in cellular metabolism or increased oxygen ava...

      We evaluated the effect of nicotinamide on cellular O₂consumption and metabolic status i.e., adenylate phosphates and NAD⁻ in-vitro, and changes in blood flow in-vivo,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in cellular metabolism or increased oxygen availability, was responsible for increased tumor oxygenation. Thirty min. pre-incubation of cells with~4mM(=500mg/kg) nicotinamide resulted in no change in cellular O₂ consumption. Similarly, neither the adenylate phosphates nor the cellular NAD⁺ levels were altered in the presence of~4nM nicontinamide. In-vivo, nicotinamide(500mg/kg) increased O₂ availability as estimated by changes in relative tumor blood flow (RBC flux). The changes in RBC flux measured by the laser Doppler method, were tumor volume dependent and increased from~35% in~150mm³ tumors to~75% in~500mm³ tumors. In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indicate a reduction in local tissue O₂ consumption is not a mechanism of improved tumor oxygenation by nicotinamide in FSaⅡ murine tumor model. The primary mechanism of increased pO₂ appears to be an increased local tumor blood flow.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