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된 통계 수치로는 현 루마니아 인구의 1/2 그리고 최근 수십 년간 전체인구의 10%에 이르고 있는 루마니아 디아스포라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회주의 시대에 이루어진 루마니아의 디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67544
2016
-
920
KCI등재
학술저널
129-153(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누적된 통계 수치로는 현 루마니아 인구의 1/2 그리고 최근 수십 년간 전체인구의 10%에 이르고 있는 루마니아 디아스포라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회주의 시대에 이루어진 루마니아의 디아...
누적된 통계 수치로는 현 루마니아 인구의 1/2 그리고 최근 수십 년간 전체인구의 10%에 이르고 있는 루마니아 디아스포라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사회주의 시대에 이루어진 루마니아의 디아스포라와 체제전환 이후의 디아스포라는 ‘개별’과 ‘집단’이라는 대조된 특징을 가진다. 사회주의 시절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디아스포라는 본인의 선택에 관계없이 내몰린 삶의 환경과 유전적 보존이라는 당위성을 전제 하지만, 경제와 삶의 질이 담보된 집단적 디아스포라는 합리적 결정을 기반으로 한 개인의 선택에 기반을 둔다. 19세기 말까지 이어진 초기 마니아인의 해외 체류가 성직자 그룹의 유학이 주를 이루는 개별적 성격이
강하다면, 집단적 디아스포라를 의미하는 오늘날 근현대적 개념의 디아스포라는 19세기말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시작되었고, 2차 세계대전 전후 루마니아가 사회주의 체제를 받아들이면서 수많은 지식인들이 조국을 등지고 떠난 유럽에서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마니아 디아스포라 연구는 공간적 측면에서는 유럽과 북미를, 그리고 시간적 측면에서는 체제전환 이전과 이후를 분석과 비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역사적 사건, 1947년 사회주의 체제 수립과 1989년 혁명은 모두 루마니아 디아스포라의 커다란 물결을 일으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사회주의 시절 루마니아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은 자연발생적이며 민족성 토대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었다면, 1989년 체제전환 이후의 모습은 그전과는 상반된 흐름을 보여준다. 1989년 혁명을 통한 체제전환은 그동안 루마니아가 가졌던 폐쇄된 민족주의를 포기하고 문호를 개방할 수 있는 동기를 마련해주었다. 또한 이민을 가거나 오는 것에 대한 개념에도 변화가 생겨 민간교류뿐만 아니라 국제자본의 이동도 활성화되었다. 특히 개인의 외화 송금과 외국의 국내 투자는 당시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루마니아의 경제발전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지만, 사회구조나 외교 분야에서 예기치 못했던 많은 문제들도 도출하였다. 해외이주는 개인적으로 가족의 해체를 그리고 국가적으로는 두뇌유출, 국내 인구의 감소와 같은 사회구조상의 부정적 결과를 도출한 바 있고, 저렴한 해외노동력의 유입으로 인한 체류국의 취업난 등 외교마찰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오늘날의 디아스포라는 난민, 망명과 같은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 사실상의 국제적인 경제활동을 전제로 한 탈영토화의 과정 속에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manian diaspora amounting to 1/2 of the total Romania’s population in the cumulative statistics and 10% in recent decades is still ongoing. Romanian diaspora in socialist era and the diaspora after transition have a contrasting feature of each ...
Romanian diaspora amounting to 1/2 of the total Romania’s population in the cumulative statistics and 10% in recent decades is still ongoing. Romanian diaspora in socialist era and the diaspora after transition have a contrasting
feature of each ‘individual’ and ‘collective’. If the diaspora of the socialist era is subject to the justification of environment of life and genetic preservation which are made individually without one’s own choice, the collective Diaspora which secured the quality of life and economy is based on individual choice above the rational decision.
The early Romanians abroa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ad a strong individual personality based on the clergy’s study abroad. However, the diaspora of today’s modern and contemporary concept that refers to the collective diaspora began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it can be noticed that the wave became seriously in Europe where numerous Romanian intellectuals left the country, while Romania accepted the socialist system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refore, the study of Romanian diaspora should make target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n the spatial aspects, and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in the temporal aspects for the analysis and comparison. Two historic events,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t government in 1947 and the revolution in 1989 are an opportunity that caused a huge wave of Romanian Diaspora. If the identity of Romanian diaspora in the socialist era was spontaneous and deeply rooted in the foundation of ethnicity, the state of
transition since 1989 shows the opposite flow unlike before. The transition through the revolution in 1989 laid the motivation to give up the closed nationalism and to open the door. Furthermore, the private exchanges as well as the mobility of international capital were revitalized while the concept of immigration and emigration changed. The personal remittance of foreign currency and domestic investment by foreign countries have given great help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Romania which was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then, but in the same time, it derived many unexpected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and diplomatic affairs. The emigration has made the breakdown of the family in the personal level, and also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social structure, such as the reduction of the domestic population and the brain drain in the national level. And the immigration has caused the diplomatic friction like the unemployment crisis in the country of residence due to the influx of cheap foreign labor. The diaspora of today is in the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has the precondition like the international economic activity in fact, except in the case of a small number such as refugees, asyl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기, "루마니아 디아스포라 문학" 외국문학연구소 (16) : 29-57, 2004
2 Patterson, James, "The persistence of White Ethnicity in Canada: The Case of the Romanians" 19 (19): 493-500, 1986
3 Quffa, Wedad Andrada,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on post-decembrist Romanian society" 42 : 238-250, 2014
4 Gârdan, Gabriel-Viorel, "The Romanian E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until the First World War. Revisiting Opportunities and Vulnerabilities" 11 (11): 256-287, 2012
5 Trandafoiu, Ruxandra, "The Geopolitics of Work Migrants: The Romanian Diaspora, Legal Rights and Symbolic Geographies" 1 : 130-149, 2006
6 Zawadiuk, D. K., "Romanians in Alberta 1898-1998" Canadian Romanian Society of Alberta 1998
7 Neag, Maria-Antoaneta, "Romanian Migration through Europeans’ Eyes" 2 : 71-95, 2012
8 Popescu-Boteni, Stelian, "Relaţii între România şi S.U.A până în 1914" Dacia 1980
9 Barton, Josef, "Peasants and Strangers. Italians, Rumanians, and Slovaks in an American City, 1890-1950" Harvard Univ. Press 1975
10 Culic, Irina,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Romanian Immigrants in Canada" 57 (57): 27-49, 2012
1 김성기, "루마니아 디아스포라 문학" 외국문학연구소 (16) : 29-57, 2004
2 Patterson, James, "The persistence of White Ethnicity in Canada: The Case of the Romanians" 19 (19): 493-500, 1986
3 Quffa, Wedad Andrada,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on post-decembrist Romanian society" 42 : 238-250, 2014
4 Gârdan, Gabriel-Viorel, "The Romanian E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until the First World War. Revisiting Opportunities and Vulnerabilities" 11 (11): 256-287, 2012
5 Trandafoiu, Ruxandra, "The Geopolitics of Work Migrants: The Romanian Diaspora, Legal Rights and Symbolic Geographies" 1 : 130-149, 2006
6 Zawadiuk, D. K., "Romanians in Alberta 1898-1998" Canadian Romanian Society of Alberta 1998
7 Neag, Maria-Antoaneta, "Romanian Migration through Europeans’ Eyes" 2 : 71-95, 2012
8 Popescu-Boteni, Stelian, "Relaţii între România şi S.U.A până în 1914" Dacia 1980
9 Barton, Josef, "Peasants and Strangers. Italians, Rumanians, and Slovaks in an American City, 1890-1950" Harvard Univ. Press 1975
10 Culic, Irina,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Romanian Immigrants in Canada" 57 (57): 27-49, 2012
11 Lull, James, "Media, Communication, Culture: A Global Approach" Polity Press 1993
12 Popescu, I. L., "Lnad of Promise. Romanian Stories of Canadian Prairies" The Romanian Association 1986
13 Sandu, Dumitru, "Living Abroad on a temporary Basis – The Economic Migration of Romanians: 1990-2006" Fundaţia pentru o Societate Deschisă 2006
14 Piru, Al., "Literatura română premodernă" Ed.pt.Literatură 1964
15 Firan, Florea, "Literatura diasporei" Macedonski 1996
16 Eliade, Mircea, "Jurnal. I" Humanitas 1993
17 Culic, Irina, "Immigrating Ethnicity : Configuring Romanianness in North America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4 : 29-46, 2012
18 Neagoş, Iuliana, "Idenditate Românească în America. Emigraţia în Canada" 2 : 210-216, 2013
19 Ifrim, Nicoleta, "History and Identity in Post - Totalitarian Memoir Writing in Romanian" 16 (16): 1-8, 2014
20 Cohen, R., "Diasporas and the Nation-state: from Victims to Challengers" 72 (72): 507-520, 1996
21 Variot, Estelle, "Diaspora, între dezrădăcinare, menţinere a identităţii şi strălucire comunitară: unele exemple româneşti" 18 : 27-32, 2009
22 Popescu, Gabriel, "Diaspora Geopolitics: Romanian-Americans and NATO Expansion" 10 : 455-481, 2005
23 Sîrghie, Anca, "Cinci paşi prin diaspora românilor nord-americani" 4 : 47-52, 2013
페퇴츠 언드라쉬(Petőcz András)의 <노랑 꽃 아내(Sárga virág a feleségem)>에 나타나는 에코페미니즘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