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년부터 전면 도입된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찰 권력의 민주적 지방분산을 통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기능이 서로 조화를 이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97859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7-224(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21년부터 전면 도입된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찰 권력의 민주적 지방분산을 통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기능이 서로 조화를 이루...
지난 2021년부터 전면 도입된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찰 권력의 민주적 지방분산을 통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기능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자치경찰과 관련된 정책의 결정 및 집행 과정에 주민의 참여가 더욱 적극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 「경찰법」상 현행 자치경찰제도가 적극적 주민참여를 통해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근본적 이념을 실현하는 제도로 거듭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시․군․구 기초 자치단체 단위의 주민 중심 자치경찰제의 실질적 확대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기초 단위 자치경찰제의 실질적 운영을 위해서는 첫째, 사무 범위에 관한 조례 제정 시 시․군․구청장의 의견수렴 장치 마련, 시․도자치경찰위원회와 기초자치단체장 간의 상설 협의체 운영, 시․도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등 자치경찰 인사에 대한 시․군․구청장의 참여, 지역치안협의회의 활성화, 지구대장 및 파출소장 임명에 관한 주민추천제 확산 등 기초자치단체의 권한 확대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기초 자치단체 단위의 지역별 특화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기초 자치단체 단위의 지역별 특화모델은 크게 도시 중심형 특화모델, 도농 복합형 특화모델, 농․어촌 중심형 특화모델 등 세 가지의 모델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민 중심의 새로운 치안 패러다임을 실현하여 지역주민 밀착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나아가 읍․면․동 기초 단위의 참여 확대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자치회 확대를 통한 주민 참여형 치안정책 수립, 읍․면․동장으로의 행정권한 위임 확대를 통해 지역맞춤형 치안활동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식, "지역맞춤형 자치경찰 기본운영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발전위원회 2017
2 고헌환, "자치경찰제도의 도입 단위와 모형 정립에 관한 논의 - 기초차치단체 도입단위와 이원화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87 : 503-524, 2019
3 김영식 ; 황의갑, "자치경찰제 도입의 정당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51-68, 2021
4 하지환, "자치경찰의 개념 정립에 따른 도입의 필요성 고찰" 9 (9): 143-174, 2015
5 하경환, "새로운 주민자치회'의 정책 방향" 26 : 118-127, 2019
6 안영훈 ; 신현기, "도농복합형 기초자치단체의 자치경찰 운영모형에 관한 연구 - 도농복합형 구미시에 적용 가능한 자치경찰제 운영안 탐색 -"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3-36, 2008
7 손동필, "도농복합지역의 범죄예방환경설계 가이드라인"
8 정세종, "기초단위 자치경찰 모델을 위한 제언" 한국민간경비학회 17 (17): 181-210, 2018
9 박성수, "구미시의 범죄발생 특성분석 및 대책"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91-118, 2015
10 조성호, "경기도형 자치경찰제의 도입 기본구상 연구" 경기연구원 2020
1 김영식, "지역맞춤형 자치경찰 기본운영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발전위원회 2017
2 고헌환, "자치경찰제도의 도입 단위와 모형 정립에 관한 논의 - 기초차치단체 도입단위와 이원화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87 : 503-524, 2019
3 김영식 ; 황의갑, "자치경찰제 도입의 정당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지역사회 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51-68, 2021
4 하지환, "자치경찰의 개념 정립에 따른 도입의 필요성 고찰" 9 (9): 143-174, 2015
5 하경환, "새로운 주민자치회'의 정책 방향" 26 : 118-127, 2019
6 안영훈 ; 신현기, "도농복합형 기초자치단체의 자치경찰 운영모형에 관한 연구 - 도농복합형 구미시에 적용 가능한 자치경찰제 운영안 탐색 -"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3-36, 2008
7 손동필, "도농복합지역의 범죄예방환경설계 가이드라인"
8 정세종, "기초단위 자치경찰 모델을 위한 제언" 한국민간경비학회 17 (17): 181-210, 2018
9 박성수, "구미시의 범죄발생 특성분석 및 대책"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91-118, 2015
10 조성호, "경기도형 자치경찰제의 도입 기본구상 연구" 경기연구원 2020
11 조성규, "The legal issue of introducing a autonomous police system"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1 (21): 101-139, 2021
12 이영남,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the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a power agency"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17 (17): 145-172, 2018
13 이훈재,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jor Issues of the Municipal Police Law of Roh Moo-hyun Government and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Police System of Moon Jae-in Government"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17 (17): 173-202, 2018
14 김현동 ; 이문수 ; 조현빈, "Field Police Activity Focused on Community Policig"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 (13): 177-186, 2013
15 김흥주 ; 강인호 ; 장명본, "A study on measures for entrustment of administrative affairs by the Residents’ Association: Focused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25 (25): 119-146, 2021
16 김원중, "A review of whether the lo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hich the current government plans to introduce, accords to local autonomy"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8 (18): 343-364, 2018
거주환경과 공동체 의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 자치경찰제의 정착에 관한 제언을 중심으로 -
서울지역 경찰인력 형평성과 효율성 분석: 경찰 인력운용 개선을 위한 시사점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범죄핫스팟과 콜드스팟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3-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2 | 1.08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