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 대상의 실험 수업에서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의 효과 = The Effect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Experiences in Experiment-Based Class for Apprentice Science Teache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실험 수업을 사범대 재학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실시하였다.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실험 수업에 참여하면서 학생들은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실험 수업을 사범대 재학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실시하였다.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실험 수업에 참여하면서 학생들은 연구 문제를 새롭게 설정하고 그에 맞는 실험 방법을 설계하는 경험, 연구 문제에 근거하여 결론을 작성하는 경험을 가졌다. 실험 수업 후, 참여 학생들은 기존 형식대로 실험 보고서를 능숙하게 작성하면서도 실험 수업 과정에서 문제 발견 및 해결을 어려워하는 학생과, 문제 발견 및 해결에 익숙하게 사용하여 실험 보고서를 작성하는 학생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의 실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전 형식의 실험 수업과 문제 해결을 강조한 본 연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느낌이 많이 달랐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문제 해결을 강조한 본 연구의 실험 수업에서 이론과 실제가 다름을 알게 되어 과학의 잠정성을 이해하는 기회를 가졌고, 새로운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탐구 과정을 설계하는 경험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의 기회를 가졌다고 응답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과 교수자는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이런 형태의 실험 수업이 예비 과학 교사의 과학적 소양 함양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executed an experiment-based science class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for the apprentice science teacher. Students who joined the experiment-based class learned how to create a new inquiry problem, de...

      In this research we executed an experiment-based science class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problem finding and solving for the apprentice science teacher. Students who joined the experiment-based class learned how to create a new inquiry problem, develop a new inquiry process, and how to write a conclusion based on the inquiry problem. After the experiment-based class, half of the students were could generate inquiry reports with the form as usual but had difficulty in creating a problem and problem solving during the experiment-based class. On the other hand, the other half of the students were successful at creating problem and solving and could write inquiry reports. Students who joined this study responded that the style of the experiment-based class of this study was different to their previous experiment-based classes. They responded that they had a choice to understand the changeability of science by recognizing that theory was different from real life and they also had a choice to increas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through the experience in which they made new inquiry problem and new inquiry process in this experiment class. Students and instructor who joined this study responded that experiment-based class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problem creation and problem solving like this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scientific literacy of apprentice science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범기, "학생 과학 탐구 시범대회의 평가. 제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 평가 연구보고서" 113-147, 1994

      2 한수연, "학교과학실험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9 (9): 47-82, 2004

      3 조현준, "학교과학교육에서 실험 활동의 목적: 전문가 커뮤니티를 통한 델파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177-190, 2006

      4 임민아, "학교 과학의 관점에서 물과 에탄올 혼합 시기체 발생 원인에 대한 탐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8 (8): 155-166, 2014

      5 이혜정,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18-1027, 2004

      6 고영신, "초등학교 과학과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152-158, 2004

      7 임성만,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291-303, 2010

      8 양일호, "초등 교사는 예상, 추리, 가설을 어떻게 지도할까?"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841-854, 2012

      9 김재우,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나타난 문제점 : 실험 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 18 (18): 35-42, 1998

      10 박현주, "중학교 과학교사의 실험수업 실태 및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37 (37): 79-86, 2013

      1 김범기, "학생 과학 탐구 시범대회의 평가. 제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 평가 연구보고서" 113-147, 1994

      2 한수연, "학교과학실험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9 (9): 47-82, 2004

      3 조현준, "학교과학교육에서 실험 활동의 목적: 전문가 커뮤니티를 통한 델파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177-190, 2006

      4 임민아, "학교 과학의 관점에서 물과 에탄올 혼합 시기체 발생 원인에 대한 탐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8 (8): 155-166, 2014

      5 이혜정,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18-1027, 2004

      6 고영신, "초등학교 과학과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152-158, 2004

      7 임성만,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291-303, 2010

      8 양일호, "초등 교사는 예상, 추리, 가설을 어떻게 지도할까?"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841-854, 2012

      9 김재우,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나타난 문제점 : 실험 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 18 (18): 35-42, 1998

      10 박현주, "중학교 과학교사의 실험수업 실태 및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37 (37): 79-86, 2013

      11 곽영순,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30): 354-365, 2009

      12 변선미,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210-224, 2011

      13 권용주,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20 (20): 29-42, 2000

      14 조이연, "사범대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중등학교 실험교육 활성화 지원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170-187, 2015

      15 최원호, "사범대학 화학교육 전공 1학년 대학생들의 일반화학 실험 보고서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9 (9): 122-129, 2015

      16 이송연,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 대한화학회 54 (54): 787-798, 2010

      17 이양락,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468-480, 2004

      18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1

      19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20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과 교육과정"

      21 교육부, "과학과 개정 교육과정"

      22 Kang, N. H.,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 of laboratory activities : Linking epistemological beliefs, goals, and practices" 89 (89): 140-165, 2005

      23 백종호, "HCl(aq) + Mg(s) 반응의 반응속도 정량 측정 방법 개선 -조작의 편이성과 재현성을 고려하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4 (4): 74-79, 2010

      24 김지영,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Ⅱ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928-93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