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에 있어서 원예활동이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36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done in an effort to look into th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by putting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nto practice target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This research conducted the program on the 4th graders of C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a rural area in Gyeongnam by dividing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one session every week (3 hours each) for 12 week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nt through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mproved in their self-esteem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improve more i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elf-esteem and enhanc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done in an effort to look into th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by putting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nto practice target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This research conducted the p...

      This research was done in an effort to look into th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by putting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nto practice target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This research conducted the program on the 4th graders of C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a rural area in Gyeongnam by dividing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one session every week (3 hours each) for 12 week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nt through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improved in their self-esteem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improve more i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elf-esteem and enhanc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1회(3시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

      이 연구는 농촌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의 농촌지역에 위치한 C 초등학교 4학년을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1회(3시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성취동기가 증진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며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이민선,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학생의 적응행동 및 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1 (11): 55-64, 2008

      3 이민정, "원예치료가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9 (9): 54-60, 2006

      4 황이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0 (10): 100-106, 2007

      5 이은숙,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7-21, 2010

      6 정미순,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37-61, 2008

      7 김민자, "교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3-204, 2010

      8 박성옥,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2 (12): 403-416, 2003

      9 Park, J.S., "The recognition of rural a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ife environment of students living at rural area and agricultur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inju Education Univ. 2004

      10 Go, E. O., "The program of self-leadership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their self-esteem" Kookmin Univ. 2006

      1 이혜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이민선,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학생의 적응행동 및 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1 (11): 55-64, 2008

      3 이민정, "원예치료가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9 (9): 54-60, 2006

      4 황이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0 (10): 100-106, 2007

      5 이은숙,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7-21, 2010

      6 정미순,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37-61, 2008

      7 김민자, "교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3-204, 2010

      8 박성옥,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2 (12): 403-416, 2003

      9 Park, J.S., "The recognition of rural a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ife environment of students living at rural area and agricultur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inju Education Univ. 2004

      10 Go, E. O., "The program of self-leadership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their self-esteem" Kookmin Univ. 2006

      11 Yuk, M. R.,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broken home and normal home children" Konkuk Univ. 2003

      12 Bark, M. 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programs in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s. -by comparing the view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Kunsan Natl. Univ. 2007

      13 Kim, B. O.,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the strategies of the rural primary schoolers' usage of leasure time. -Focused on the weekend holidays" Daegu Univ.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