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혜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이민선,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학생의 적응행동 및 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1 (11): 55-64, 2008
3 이민정, "원예치료가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9 (9): 54-60, 2006
4 황이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0 (10): 100-106, 2007
5 이은숙,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7-21, 2010
6 정미순,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37-61, 2008
7 김민자, "교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3-204, 2010
8 박성옥,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2 (12): 403-416, 2003
9 Park, J.S., "The recognition of rural a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ife environment of students living at rural area and agricultur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inju Education Univ. 2004
10 Go, E. O., "The program of self-leadership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their self-esteem" Kookmin Univ. 2006
1 이혜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이민선, "원예치료가 정신지체 학생의 적응행동 및 생활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1 (11): 55-64, 2008
3 이민정, "원예치료가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9 (9): 54-60, 2006
4 황이화, "원예치료가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0 (10): 100-106, 2007
5 이은숙,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17-21, 2010
6 정미순, "식물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37-61, 2008
7 김민자, "교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83-204, 2010
8 박성옥,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2 (12): 403-416, 2003
9 Park, J.S., "The recognition of rural a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ife environment of students living at rural area and agricultur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inju Education Univ. 2004
10 Go, E. O., "The program of self-leadership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their self-esteem" Kookmin Univ. 2006
11 Yuk, M. R.,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broken home and normal home children" Konkuk Univ. 2003
12 Bark, M. 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programs in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s. -by comparing the view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Kunsan Natl. Univ. 2007
13 Kim, B. O.,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the strategies of the rural primary schoolers' usage of leasure time. -Focused on the weekend holidays" Daegu Univ.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