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준희, "협동학습 구조 속에서 과정 중심 글쓰기가 작문 능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이주섭, "한국초등국어연구소 기획총서 4.국어과 창의성 신장 방안" 박이정 2004
3 김영채, "한국 표준화 토란스 TTCT 창의력 검사:언어B 검사요강" 창의력 한국 FPSP/현곡R&D 2004
4 김영채, "한국 표준화 토란스 TTCT 창의력 검사:언어B" 창의력 한국 FPSP/현곡R&D 2004
5 박진용, "텍스트 의미구조의 과정중심 분석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1997
6 김희정, "청각적 이미지 활용을 통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윤미숙, "창의적 사고를 위한 글쓰기의 전략과 실제-그림을 통한 쓰기 학습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8 신헌재, "창의적 사고력 신장과 국어과교육, 국어교육 73·7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91
9 나효숙,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동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교육과학사 1999
1 서준희, "협동학습 구조 속에서 과정 중심 글쓰기가 작문 능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이주섭, "한국초등국어연구소 기획총서 4.국어과 창의성 신장 방안" 박이정 2004
3 김영채, "한국 표준화 토란스 TTCT 창의력 검사:언어B 검사요강" 창의력 한국 FPSP/현곡R&D 2004
4 김영채, "한국 표준화 토란스 TTCT 창의력 검사:언어B" 창의력 한국 FPSP/현곡R&D 2004
5 박진용, "텍스트 의미구조의 과정중심 분석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1997
6 김희정, "청각적 이미지 활용을 통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윤미숙, "창의적 사고를 위한 글쓰기의 전략과 실제-그림을 통한 쓰기 학습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8 신헌재, "창의적 사고력 신장과 국어과교육, 국어교육 73·7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91
9 나효숙,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동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김영채, "창의적 문제해결: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교육과학사 1999
11 김성신, "창의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쓰기 기획 지도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임선하, "창의성에의 초대" 교보문고 1993
13 부지영, "창의성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14 박인영, "창의성 기법의 적용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적용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1
15 임선하, "창의성 교육을 하는 마음. <세미나 자료집>. 대구교대초등교육정보원"
16 호사라,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7 김남성,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인문과학.제23권" 성균관대학교 23 : 1993
18 윤종건,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서울:도서출판 원미사 1994
19 장재희,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0 김종안, "종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8
21 오순임, "작문 전략 수행과 연습지(worksheets)의 활용이 작문에 미치는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2 김재은, "인지이론:사고력 및 창의력 발달과 교육" 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5
23 대구광역시교육청, "유아와 함께 하는 창의력 배양 수업. 2002 창의성교육 연수 자료. 대구:대구광역시교육청"
24 강승희, "역할극 대본 쓰기를 통한 창작 능력 신장 방안"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박미희, "아이디어 생성 훈련이 작문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26 마이클 미칼코, "아무도 생각지 못하는 것 생각하기" 푸른 솔 2001
27 박찬국, "시각디자인 과정에서 스캠퍼의 활용에 관한 연구" 17 (17): 2003
28 백연경, "스캠퍼(SCAMPER)기법을 활용한 발상지도가 디자인 수업에서 중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9 칸바 오타루, "발상의 혁명. 주변의 길" 2001
30 한명숙, "문학 인지 발달과 이야기 감상교육. 제10회 문학교육"
31 최순희, "매스미디어 자료 활용을 통한 글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2
32 정선희, "말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 활동 지도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3 이춘희, "동화제시 및 질문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동화구조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1997
34 황금숙, "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5 손효선, "동화를 활용한 발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6 김무현, "동화 재구성 활동을 통한 창작 지도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7 조수경, "동화 감상을 통한 쓰기능력 신장 방안 연구"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8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학사 2002
39 김현진, "교육연구논총 Chungbuk Journal of Education" 24 (24): 66-, 2003
40 이경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의" 23 (23): 1-5, 2007
41 박수자, "‘쓰기 계획 활동’과 설명적 텍스트의 쓰기 지도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2005
42 Rogers, C. R., "Toward a theory of Creativity" 11 : 249-260, 1954
43 Sternberg, R. J.,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Freeman and Company 1994
44 Amabile,T.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Spinger-Verlag 1988
45 Torrance, E. P.(, "The nature of Creativity a manifest in its testing, The Nature of Creativity: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43-75, 1988
46 Mednick, S. A.,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69 : 220-232, 1962
47 Guilford,J.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Macgraw Hill 1967
48 Csikzentmihalyi M., "Society, culture, and person:A system view of creativity,The nature of creativity: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8
49 장순미, "SCAMPER기법을 이용한 교사의 질문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0 Wertheimer, M., "Productive thinking(enlarged e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51 유경미, "NIE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2 Woodman, R. W., "Individual Differences in Creativity: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Handbook of Creativity" Plenum Press:New York and London 77-92, 1989
53 MacKinnon,D.W., "In search of Human effectiveness" NewYork: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Inc 1978
54 Davis,G.A., "In famous pursuit of the creative person" 9 : 75-87, 1975
55 Treffinger, D. J, "Handbook of Creative Learning" New York:Center of Creative Learning 1982
56 Urban,K.K, "Creativity-A componential approach.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the gifted and talented ildren. Beijing, China, August"
57 Stein, M., "Creativity,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rach" Chicago:Rand McNally 900-942, 1968
58 Williams, F., "Creativity assessment packer(CAP)" Buffalo, N:D.O.K. Publishers, Inc 1980
59 Barron,F, "Creative person and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Basic Books 32 : 439-476, 1969
60 Sterngberg, R. J, "Creative giftedness: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37 (37): 7-15, 1993
61 Isaksen, S. G., "An Ecological approach to creativity research:Profiling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27 (27): 149-170,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