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그리트의 '낯설게 하기' 회화 수법을 응용한 건축설계안  :  Row House Renovation 계획 = The Study of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Rene Magritte's 'Depaysement : Rowhouse Reno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6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20년대에서부터 문학과 회화에서 활발하게 벌어졌던 초현실주의 운동은 세계대전의 혼돈아래 합리주의가 도달한 막다른 길에 대한 반격과 타개로 인간 상상력의 해방과 일체의 제약에서 벗어난 사고의 기록을 추구했던 운동으로, 회화분야에서는 가장 주요한 전략인 '낯설게 하기'를 통해 '오브제의 개체 해방'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초현실주의의 '낯설게 하기' 전략은 모든 예술장르에 많은 영향을 끼쳐 현재까지도 주요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에서도 이미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구성주의와 이탈리아의 합리주의는 초현실주의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있었으며, 현대에는 신합리주의와 네오-모더니즘, 해체주의로 이어지며 '낯설게 하기'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이미 현대의 도시는 초현실주의적 형식의 시각어휘가 너무도 흔해져서 새로움조차 의식하지 못하게 된 포스트-초현실주의 문화 속에, 익숙한 낯설음을 지나치며 살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시 마그리트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회화가 가지고 있는 일상성과 낯설음의 지속성 때문이다. 그는 일반적 초현실주의 작가와는 상이한 주제 및 방법론을 사용한다. 초현실주의의 화가들이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자동주의'와 같은 우연성의 기법들을 발명하며 기괴함의 형태로 충격적으로 그려내는 반면, 그는 정밀한 전통적 구상의 표현으로 일상적인 오브제를 사용하면서도 오브제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며 낯선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일상성 뒤에 한 겹 가리워 진 낯선 관계는 관찰자의 사고작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낯설음이다.
      거주라는 건축의 기능적 속성은 건축을 항상 일상으로 창조하기 때문에 새로움이나 낯설음을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마그리트의 회화에서는 일상성이 지속적인 낯설음을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기이한 형상의 피상적 낯설음을 뛰어넘어 사물의 본질과 현실(reality)에 대한 사유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낯설게 하기'의 전략을 이용하여 건축의 불가피한 일상성을 통해 낯설음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며 건축에서의 풍부한 경험적 사건과 일상 또는 건축 그 자체에 대한 인식에 대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건축의 형상과 기능, 행위에 독립적인 의미의 고찰과 관계를 통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일상에 대한 본질적 직시와 끊임없는 사유의 발생에 의해 시정을 환기시키는 더욱 의식적인 '낯설게 하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1920년대에서부터 문학과 회화에서 활발하게 벌어졌던 초현실주의 운동은 세계대전의 혼돈아래 합리주의가 도달한 막다른 길에 대한 반격과 타개로 인간 상상력의 해방과 일체의 제약에서 ...

      1920년대에서부터 문학과 회화에서 활발하게 벌어졌던 초현실주의 운동은 세계대전의 혼돈아래 합리주의가 도달한 막다른 길에 대한 반격과 타개로 인간 상상력의 해방과 일체의 제약에서 벗어난 사고의 기록을 추구했던 운동으로, 회화분야에서는 가장 주요한 전략인 '낯설게 하기'를 통해 '오브제의 개체 해방'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초현실주의의 '낯설게 하기' 전략은 모든 예술장르에 많은 영향을 끼쳐 현재까지도 주요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에서도 이미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구성주의와 이탈리아의 합리주의는 초현실주의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있었으며, 현대에는 신합리주의와 네오-모더니즘, 해체주의로 이어지며 '낯설게 하기'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이미 현대의 도시는 초현실주의적 형식의 시각어휘가 너무도 흔해져서 새로움조차 의식하지 못하게 된 포스트-초현실주의 문화 속에, 익숙한 낯설음을 지나치며 살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시 마그리트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회화가 가지고 있는 일상성과 낯설음의 지속성 때문이다. 그는 일반적 초현실주의 작가와는 상이한 주제 및 방법론을 사용한다. 초현실주의의 화가들이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자동주의'와 같은 우연성의 기법들을 발명하며 기괴함의 형태로 충격적으로 그려내는 반면, 그는 정밀한 전통적 구상의 표현으로 일상적인 오브제를 사용하면서도 오브제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며 낯선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일상성 뒤에 한 겹 가리워 진 낯선 관계는 관찰자의 사고작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낯설음이다.
      거주라는 건축의 기능적 속성은 건축을 항상 일상으로 창조하기 때문에 새로움이나 낯설음을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마그리트의 회화에서는 일상성이 지속적인 낯설음을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기이한 형상의 피상적 낯설음을 뛰어넘어 사물의 본질과 현실(reality)에 대한 사유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낯설게 하기'의 전략을 이용하여 건축의 불가피한 일상성을 통해 낯설음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며 건축에서의 풍부한 경험적 사건과 일상 또는 건축 그 자체에 대한 인식에 대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건축의 형상과 기능, 행위에 독립적인 의미의 고찰과 관계를 통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일상에 대한 본질적 직시와 끊임없는 사유의 발생에 의해 시정을 환기시키는 더욱 의식적인 '낯설게 하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rrealism, the cultural movement, which began actively in 1920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visual art, was to make a full documentary of human mind and imagination without any bounds or limits against the rationalism after the world war. Surrealists proposed the strategic method in their painting that called 'depaysement' in which the artists could liberate objects from the system of a pictorial context and a common recognition.' Depaysement' has been the main strategy in other artistic genr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odern architecture such as Russian Constructivism and Italian Rationalism leading to Neo-rationalism. Neo-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The post-surrealistic cultural era supplies surplus of unfamiliar expressions such that no one perceives the ordinary. In other words, the novelty of surrealistic impact seems to has disappeared.
      The reason we should focus on Rene Magritte is that he kept his study of everyday common experiences with unfamiliar strange perception. He worked with different themes and methods from other surrealist artists. While they used techniques such as 'automatism' to draw the world of fantastic unconsciousness. Magritte achieved new meanings and unfamiliar moments by using ordinary objects depicted with traditional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One who observes Magritte's works could recognize the extra ordinary moments in the reading of the ordinary.
      This paper endears to study the strategy of 'depaysement' in order to bring unfamiliar moments through the unavoidable commonness of architecture. Such a perspective could b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reality of architecture and the human behavior.
      번역하기

      Surrealism, the cultural movement, which began actively in 1920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visual art, was to make a full documentary of human mind and imagination without any bounds or limits against the rationalism after the world war. Surreali...

      Surrealism, the cultural movement, which began actively in 1920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visual art, was to make a full documentary of human mind and imagination without any bounds or limits against the rationalism after the world war. Surrealists proposed the strategic method in their painting that called 'depaysement' in which the artists could liberate objects from the system of a pictorial context and a common recognition.' Depaysement' has been the main strategy in other artistic genr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odern architecture such as Russian Constructivism and Italian Rationalism leading to Neo-rationalism. Neo-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The post-surrealistic cultural era supplies surplus of unfamiliar expressions such that no one perceives the ordinary. In other words, the novelty of surrealistic impact seems to has disappeared.
      The reason we should focus on Rene Magritte is that he kept his study of everyday common experiences with unfamiliar strange perception. He worked with different themes and methods from other surrealist artists. While they used techniques such as 'automatism' to draw the world of fantastic unconsciousness. Magritte achieved new meanings and unfamiliar moments by using ordinary objects depicted with traditional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One who observes Magritte's works could recognize the extra ordinary moments in the reading of the ordinary.
      This paper endears to study the strategy of 'depaysement' in order to bring unfamiliar moments through the unavoidable commonness of architecture. Such a perspective could b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reality of architecture and the human behavi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