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거제 주민의 일본 난파선(難破船)구조(救助)에 관한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상도(慶尙道) 거제부(巨濟府) 구조라리[舊助羅里;項里]고문서(古文書)와 일본 자료인 왜관(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61201
2014
Korean
구조라리(舊助羅里) ; 항리(項里) ; 거제도(巨濟島) ; 해난사고(海難事故) ; 표류(漂流) ; 왜관(倭館) ; 조선(朝鮮) ; 일본(日本) ; 대마도(對馬島) ; 관수매일기(館守每日記) ; 외무성기록(外務省記錄) ; Gu-Jora village ; Hang village ; Geoje Island ; Maritime Accidents ; Drifting at Sea ; Japan House ; Joseon Korea ; Japan ; Tsushima Island ; Daily Records of the Japan House Master ; Documents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CI등재
학술저널
175-206(3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거제 주민의 일본 난파선(難破船)구조(救助)에 관한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상도(慶尙道) 거제부(巨濟府) 구조라리[舊助羅里;項里]고문서(古文書)와 일본 자료인 왜관(倭...
이 논문은 거제 주민의 일본 난파선(難破船)구조(救助)에 관한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경상도(慶尙道) 거제부(巨濟府) 구조라리[舊助羅里;項里]고문서(古文書)와 일본 자료인 왜관(倭館)의 관수매일기(館守每日記), 외무성기록(外務省記錄) 등이다.
이를 통해서 세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구조라리 고문서에 나타나는 대마도(對馬島) 선박의 해난사고(海難事故)를 조선에 표착한 일본(日本) 선박의 해난사고와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1836년부터 1887년까지 구조라리를 비롯한 네 고을의 주민들이 대마도 선박의 구조(救助)와 이송(移送), 그 밖의 관계 기관 보고(報告) 등에 동원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부담을 인근 네 고을이 번갈아가면서 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1887년 이후 구조라리 고문서에서 대마도 선박의 해난사고 기록이 모습을 감춘 것은 전년도인 1886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 ‘표민경비상환법(漂民經費償還法)’이 개정되어 ‘실비상환(實費償還)’즉 해난을 당한 본인(本人)이 구조(救助)와 구호(救護)에 들어간 비용(費用)을 부담해야 하는 방식으로 바뀐 점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examining and comparing the daily records of the Japan House Master and historical sources in Japan’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ith the Korean records on the Gu-Jora port in Geoje County, Gyeongsang Province, this article analyzes the Geoje...
While examining and comparing the daily records of the Japan House Master and historical sources in Japan’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ith the Korean records on the Gu-Jora port in Geoje County, Gyeongsang Province, this article analyzes the Geoje residents’ assistance to Japanese shipwrecks.
Three conclusions are offered. First, the shipwrecks of boats from Tsushima recorded in the Gu-Jora village document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shipwrecks in Joseon of vessels from Japan. Second, from 1836 to 1887, residents in four villages beginning with Gu-Jora village were mobilized and had to report to government offices regarding aid and the transfer of Tsushima ships, and the four villages bore those costs one after another. And third, the reason that entries regarding maritime accidents by Tsushima ships disappear from the documents of Gu-Jora village after 1887 is a result of the revision to the law covering repatriation expenses for Korean or Japanese drifter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previous year of 1886, and is deeply related to the changes that forced the shipwrecked people themselves to bear the costs of rescue and relief.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성일, "조선후기 한일 외교를 떠받친 사람들―경상도 거제부 주민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사)여수지역사회연구소,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사)장보고기념사업회 1 : 2013
2 김현구, "조선 후기 沿海民의 생활상-18~19세기 巨濟府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8 : 2001
3 정성일, "전라도와 일본-조선시대 해난사고 분석" 경인문화사 2013
4 박광순, "역사학적으로 본 거제도와 일본-知世浦의 ‘歷史公園’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섬)학회 24 : 15-16, 2013
5 池內敏, "近世日本と朝鮮漂流民" 臨川書店 1998
6 윤유숙, "近世日朝通交と倭館" 岩田書院 2011
7 "漂倭入送謄錄"
8 "漂倭入送回謝謄錄"
9 이훈, "朝鮮後期 漂流民과 韓日關係" 경인문화사 2000
10 여박동, "日帝時代 巨濟島 이리사무라(入佐村)의 形成"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14 : 1995
1 정성일, "조선후기 한일 외교를 떠받친 사람들―경상도 거제부 주민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사)여수지역사회연구소,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사)장보고기념사업회 1 : 2013
2 김현구, "조선 후기 沿海民의 생활상-18~19세기 巨濟府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8 : 2001
3 정성일, "전라도와 일본-조선시대 해난사고 분석" 경인문화사 2013
4 박광순, "역사학적으로 본 거제도와 일본-知世浦의 ‘歷史公園’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섬)학회 24 : 15-16, 2013
5 池內敏, "近世日本と朝鮮漂流民" 臨川書店 1998
6 윤유숙, "近世日朝通交と倭館" 岩田書院 2011
7 "漂倭入送謄錄"
8 "漂倭入送回謝謄錄"
9 이훈, "朝鮮後期 漂流民과 韓日關係" 경인문화사 2000
10 여박동, "日帝時代 巨濟島 이리사무라(入佐村)의 形成"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14 : 1995
11 여박동, "日帝下 統營・巨濟 地域의 日本人移住漁村 形成과 漁業組合"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13 : 1994
12 이종길, "戶籍資料를 통해 본 漁村社會의 家族關係 - 巨濟島 舊助羅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7 (57): 1-52, 2012
13 "御米漕船其外渡海之船朝鮮地へ脇乘之節彼國より馳走之定格正德三癸巳年約條相究候記錄"
14 巨濟 舊助羅里, "四洞倭船公事置簿" 한국학중앙연구원
15 "備邊司謄錄"
16 巨濟 舊助羅里, "倭船公事井間第次冊(1846~87년)" 한국학중앙연구원 1887
17 전갑생, "一運面史" 일운면지편찬위원회 2010
18 강정태, "一運面 舊助羅里誌" 거제군 1982
19 송양섭, "19세기 거제도 舊助羅 촌락민의 職役變動과 家系繼承 양상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7) : 119-161, 2014
20 이종길, "19세기 巨濟島 ‘項里’ 漁村社會相에 대한 一考 - ‘巨濟島舊助羅’ 古文書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44-79, 2013
21 김현구, "18-19세기 巨濟府의 海稅 運營과 民庫" 부산대학교 호원사학회 19 : 1995
22 "(館守) 每日記"
23 "(一代官) 每日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