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日学術論文の序論のテキスト内容分析 -語学系学術論文を中心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8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학술 논문 서론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내용을 비교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서론 텍스트 구성을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틀로는 Swales(1990)의 CARS모형을 수정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고찰의 결과 밝혀진 주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서론에서 다루는 내용은 한국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모두 ‘연구에 관한 언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연구 대상 제시’, ‘선행연구와 그에 대한 의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15개의 구성 요소 중 ‘연구 목적 제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연구의 목적이나 주요 내용을 제시하는 ‘연구의 목적 제시’는 일본은 대부분 서론 전체에서 1회 나타나는 데에 반해 한국 논문 서론의 경우 2회 이상에 걸쳐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을 통해 한국 논문 서론이 일본 논문 서론에 비해 연구 목적을 보다 강하고, 독자에게 주지시키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들이 일본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에 비해 주관성을 더 강하게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학술 논문 서론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내용을 비교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서론 텍스트 구성을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틀로는 Swa...

      본 연구는 한국의 학술 논문 서론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내용을 비교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서론 텍스트 구성을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틀로는 Swales(1990)의 CARS모형을 수정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고찰의 결과 밝혀진 주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서론에서 다루는 내용은 한국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모두 ‘연구에 관한 언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연구 대상 제시’, ‘선행연구와 그에 대한 의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15개의 구성 요소 중 ‘연구 목적 제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연구의 목적이나 주요 내용을 제시하는 ‘연구의 목적 제시’는 일본은 대부분 서론 전체에서 1회 나타나는 데에 반해 한국 논문 서론의 경우 2회 이상에 걸쳐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을 통해 한국 논문 서론이 일본 논문 서론에 비해 연구 목적을 보다 강하고, 독자에게 주지시키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들이 일본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에 비해 주관성을 더 강하게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and to analyze and consider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ARS model of Swales (1990) a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and consid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nd review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he introduction, "reference to research" is most often used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cademic articles, followed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s" and "previous research and opinions on it". Many appeared. In addition, among the 15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articles adopted in the introduction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ives" was the highest.
      2.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purpose" that presents the research purpose appears only once in the entire introduction in Japanese articles, whereas it is repeatedly mentioned more than once in the case of Korean articles. Through this tendency,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stronger than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and is trying to inform readers.
      3.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more subjective than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and to analyze and consider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and to analyze and consider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ARS model of Swales (1990) a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and consid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nd review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he introduction, "reference to research" is most often used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cademic articles, followed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s" and "previous research and opinions on it". Many appeared. In addition, among the 15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articles adopted in the introduction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ives" was the highest.
      2.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purpose" that presents the research purpose appears only once in the entire introduction in Japanese articles, whereas it is repeatedly mentioned more than once in the case of Korean articles. Through this tendency,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stronger than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and is trying to inform readers.
      3.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more subjective than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先行研究と本研究の立場
      • 3. 研究方法
      • 4. 結果及び考察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先行研究と本研究の立場
      • 3. 研究方法
      • 4. 結果及び考察
      • 5. おわりに
      • 参考文献
      • 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탄나나, "한중 학술논문 서론 텍스트 구조의 장르분석적 연구 ─ 언어교육 분야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7 : 155-181, 2019

      2 Nicola Fraschini,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학술 논문의 텍스트 구조 비교 - 언어 교육 분야 논문의 서론을 중심으로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9) : 289-316, 2010

      3 박은선,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91-210, 2006

      4 村岡貴子, "農学系8学術雑誌における日本語論文の語彙調査-農学系日本語論文の読解および執筆のための日本語語彙指導を目指して-" 日本語教育学会 95 : 61-72, 1997

      5 清水幾太郎, "論文の書き方" 岩波新書 2015

      6 村尾博, "研究レポート・卒業論文の書き方" 青森公立大学 2015

      7 Lee凪子, "留学生の書く日本語意見文の分析-日本人学生との比較において-" 4 : 399-412, 2006

      8 村上康代, "理工系学部生の課題レポートにおける序論の文章構造" 早稲田大学日本語教育研究 2004

      9 木本和志, "法学系論文の序論に見られる文章構造の分析-民法, 商法, 知的財産権法系論文を対象に-" 8 : 19-26, 2006

      10 後藤利枝, "新聞社説の中心文における文末述部の形態的特徴-尾括式文章の場合" 20 : 137-146, 1999

      1 탄나나, "한중 학술논문 서론 텍스트 구조의 장르분석적 연구 ─ 언어교육 분야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7 : 155-181, 2019

      2 Nicola Fraschini,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학술 논문의 텍스트 구조 비교 - 언어 교육 분야 논문의 서론을 중심으로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9) : 289-316, 2010

      3 박은선,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91-210, 2006

      4 村岡貴子, "農学系8学術雑誌における日本語論文の語彙調査-農学系日本語論文の読解および執筆のための日本語語彙指導を目指して-" 日本語教育学会 95 : 61-72, 1997

      5 清水幾太郎, "論文の書き方" 岩波新書 2015

      6 村尾博, "研究レポート・卒業論文の書き方" 青森公立大学 2015

      7 Lee凪子, "留学生の書く日本語意見文の分析-日本人学生との比較において-" 4 : 399-412, 2006

      8 村上康代, "理工系学部生の課題レポートにおける序論の文章構造" 早稲田大学日本語教育研究 2004

      9 木本和志, "法学系論文の序論に見られる文章構造の分析-民法, 商法, 知的財産権法系論文を対象に-" 8 : 19-26, 2006

      10 後藤利枝, "新聞社説の中心文における文末述部の形態的特徴-尾括式文章の場合" 20 : 137-146, 1999

      11 大竹秀一, "新版 だれも教えなかった レポート・論文書き分け術" エスシーシー 2017

      12 佐藤勢紀子, "工学系学術論文における序論の構成の分析" (3) : 26-34, 1996

      13 佐藤勢紀子, "学術論文の構造型とその分布-人文科学・社会科学・工学270論文を対象に -" 154 : 85-98, 2013

      14 高木陽介, "学術論文における結論の構成要素特定手法の提案" 2018

      15 윤지현, "学術的文章作成指導における自己訂正の可能性 -文の構造に関する書き手の気づきを中心に-" 한국일어교육학회 (39) : 121-139, 2017

      16 李俊儒, "中英文应用语言学论文引言部分的题材分析与对比" 上海外国语大学 2010

      17 杉田くに子, "上級日本{語教育のための文章構造の分析― 社会人文科学系研究論文の序論―" 95 : 49-60, 1997

      18 金丸敏幸, "ムーブ分析に基づく英語論文表現データベースの開発" 2010

      19 大島弥生, "アカデミックライティング教育の可能性― 日本語非母語話者・母語話者双方に資するものを目指して―" (増刊) : 198-224, 2003

      20 Eggington, W. G., "Written academic discourse in Korean: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Ulla C.&R.B.Kaplan 153-168, 1987

      21 Ozturk, "The textual organization of research article introductions in applied linguistics: Variability within a single discipline" 26 : 25-38, 2007

      22 Dudley-Evans, A., "Talk- ing about text (Discourse Monograph No. 13)" English Language Research 128-145, 1986

      23 Flowerdew, J., "Signalling nouns in discourse" 22 : 329-346, 2003

      24 Swales, J. M., "Research genres : exploration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 Chek Kim Loi, "Research article introductions in Chinese and English: A comparative genre-based study" 9 : 267-279, 2010

      26 Jogthong, "Research Article Introductions in Thai: Genre Analysis of Academic Writing [D]" West Virginia University 2001

      27 Samraj, B., "Introductions in research articles: variations across disciplines" 21 : 1-17, 2002

      28 Swales, J. M., "Genre Analysis: Eng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9 Swales, J., "Aspects of article introduction" University of Aston 1981

      30 Samraj, B., "An exploration of a genre set: Research article and ntroductions in two disciplines" 24 : 141-156, 2005

      31 George Braine, "Academic writing in a second language: Essays on research and pedagogy"

      32 Betty Samraj, "Academic writing in a second language: Essays on research and pedagogy" 15 : 165-168, 1996

      33 Duszak, A, "Academic discourse and intellectual styles" 21 : 291-313, 1994

      34 Bunton, D., "Academic discourse" 57-75, 2002

      35 Cmejrkova, S, "Academic Writing: Intercultural and Textual Issues [C]" John Benjamins 1996

      36 Kim, "A study of the Effects of Learning the Text Structure(causation, problem/solution, comparison)upon Korean Writing" Ewha Womans University 2007

      37 Lee, S., "A study of Korean and English research paper introductions based on Swales’ move analysis" Association of Korea 17 : 23-5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1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