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 The Aspects of Tragicomedy and its Aesthetical meaning in Saseol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3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spects of tragicomedy in Saseolsijo and its aesthetical meaning. Tragicomedy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worldview, perspective to read text itself as well as forming double vision, which let readers experience a smile and sadness at the same time.
      Tragicomedy in Saselsijo reflects the features of the late Choseon Dynasty in terms of ‘character’, ‘language’, ‘structure’.
      First, features of tragicomedy by ‘character’ is discovered two different ways, forming empathy with the reader(assimilation) and distance with the one(dissimilation), through the difference of attitude the poetic narrator travesties oneself or object. Meanwhile, tragicomedy by ‘languag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olidarity or dismantling of text itself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etaphor and metonymy. Unlike these, tragicomedy in terms of ‘structure’ is created in the repetitive process of dramatic tension by two opposed voices or relaxation by two sympathetic voices, with speciality, ‘dialogue’.
      Saseolsijo which creates tragicomic characteristics in many different ways, deserves to be researched in that it implies glimpses of the medieval and ambivalence of modern signs, revealing optimistic worldview, the creation of anti-world, relativism and pluralism which are associated with a modern eye, et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spects of tragicomedy in Saseolsijo and its aesthetical meaning. Tragicomedy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worldview, perspective to read text itself as well as forming double vision, which let readers ex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spects of tragicomedy in Saseolsijo and its aesthetical meaning. Tragicomedy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worldview, perspective to read text itself as well as forming double vision, which let readers experience a smile and sadness at the same time.
      Tragicomedy in Saselsijo reflects the features of the late Choseon Dynasty in terms of ‘character’, ‘language’, ‘structure’.
      First, features of tragicomedy by ‘character’ is discovered two different ways, forming empathy with the reader(assimilation) and distance with the one(dissimilation), through the difference of attitude the poetic narrator travesties oneself or object. Meanwhile, tragicomedy by ‘languag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olidarity or dismantling of text itself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etaphor and metonymy. Unlike these, tragicomedy in terms of ‘structure’ is created in the repetitive process of dramatic tension by two opposed voices or relaxation by two sympathetic voices, with speciality, ‘dialogue’.
      Saseolsijo which creates tragicomic characteristics in many different ways, deserves to be researched in that it implies glimpses of the medieval and ambivalence of modern signs, revealing optimistic worldview, the creation of anti-world, relativism and pluralism which are associated with a modern eye,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기
      • 2. 논의를 위한 이해의 틀: “희비극성”과 “텍스트성”
      • 3.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
      • 4. 희비극성에 함의된 미학적 변주
      • 5. 남은 과제들
      • 1. 들어가기
      • 2. 논의를 위한 이해의 틀: “희비극성”과 “텍스트성”
      • 3.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
      • 4. 희비극성에 함의된 미학적 변주
      • 5. 남은 과제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만수, "희비극 장르 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67) : 359-386, 2006

      2 미셸 콜로, "현대시와 지평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1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금동철,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1

      5 박경수, "잡가의 패러디적 성격, in 한국현대시와 패러디" 현대미학사 1996

      6 아니카 르메르, "자크라캉" 문예출판사 1996

      7 존 버거, "이미지-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1990

      8 이희진, "이문구 소설의 카니발적 특성 연구" 단국대 2006

      9 여세주, "이근삼 희곡의 현대극적 위상" 한민족문학회 33 : 405-428, 1998

      10 윤금선, "유치진 희곡의 희비극성 연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 : 337-370, 1996

      1 조만수, "희비극 장르 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67) : 359-386, 2006

      2 미셸 콜로, "현대시와 지평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1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금동철,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1

      5 박경수, "잡가의 패러디적 성격, in 한국현대시와 패러디" 현대미학사 1996

      6 아니카 르메르, "자크라캉" 문예출판사 1996

      7 존 버거, "이미지-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1990

      8 이희진, "이문구 소설의 카니발적 특성 연구" 단국대 2006

      9 여세주, "이근삼 희곡의 현대극적 위상" 한민족문학회 33 : 405-428, 1998

      10 윤금선, "유치진 희곡의 희비극성 연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 : 337-370, 1996

      11 김대행, "웃음으로 눈물 닦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2 에른스트 피셔, "예술이란 무엇인가" 돌베개 1984

      13 M.S. 배랭거, "연극 이해의 길" 평민사 1991

      14 박상영, "시조의 세계관적 구조와 그 시학적 의미" 한국시가학회 (20) : 165-202, 2006

      15 박상영, "시조를 통해 본 한국시가의 웃음 유형과 그 미학" 한국시조학회 (32) : 243-281, 2010

      16 김대행, "상생의 웃음과 언어문화, in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출판 32-75, 2008

      17 이형대, "사설시조의 ‘몸’에 대한 인식과 재현의 근대성" 애산학회 34 : 2008

      18 이형대, "사설시조와 근대성 -사설시조의 시적 시선과 근대적 시각 場의 연관에 대한 시론적 탐색" 한국시가학회 28 : 105-127, 2010

      19 박상영, "사설시조 웃음의 미학적 연구" 경북대 2009

      20 송옥, "비극과 희극, 그 의미와 형식" 고려대학교출판부 1995

      21 김대권, "브레히트의 『아르투로 우이의 저지 가능한 상승 Der aufhaltsame Aufstieg des Arturo Ui』과 이오네스코의 『코뿔소 Rhinoc?ros』*에 나타나는 희비극성" 한국독일어문학회 10 (10): 23-47, 2002

      22 K.클라크, "바흐친" 문학세계사 1993

      23 Moissej Kagan, "미학강의Ⅰ" 새길 1989

      24 Avner Zis, "마르크스의 미학 강좌" 녹진 1987

      25 송병욱, "뒤렌마트의 희비극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 : 433-458, 2000

      26 황혜인, "뒤렌마트의 희비극" 자연사랑 2004

      27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99

      28 김정용, "그로테스크와 희극적인 것" 한국독어독문학회 60 : 127-145, 1996

      29 김용호, "그로테스크와 희극적인 것" 영산대학교 16 : 175-189, 2006

      30 John Orr., "Tragicomedy and Contemporary Culture: Play and Performance from Beckett to Shepar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31 David, L. Hirst, "Tragicomedy" Methuen 1984

      32 Albert Hofstadter, "The Tragicomic : Concern in Depth" 1965

      33 N. Frye, "The Educated Imagi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64

      34 배부현, "Samuel Beckett극의 희비극적 비전" 동아대 1994

      35 Giovani, Battista Guarini, "Compendium of Tragicomic Poetry, in Dramatic Theory and Criticism : Greeks to Grotowski" Holt 1974

      36 Johnson, Samuel,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 1755

      37 윤화영, "의 喜悲劇性" 한국연극학회 2 : 234-260,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