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만수, "희비극 장르 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67) : 359-386, 2006
2 미셸 콜로, "현대시와 지평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1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금동철,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1
5 박경수, "잡가의 패러디적 성격, in 한국현대시와 패러디" 현대미학사 1996
6 아니카 르메르, "자크라캉" 문예출판사 1996
7 존 버거, "이미지-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1990
8 이희진, "이문구 소설의 카니발적 특성 연구" 단국대 2006
9 여세주, "이근삼 희곡의 현대극적 위상" 한민족문학회 33 : 405-428, 1998
10 윤금선, "유치진 희곡의 희비극성 연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 : 337-370, 1996
1 조만수, "희비극 장르 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67) : 359-386, 2006
2 미셸 콜로, "현대시와 지평구조" 문학과 지성사 2001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금동철,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1
5 박경수, "잡가의 패러디적 성격, in 한국현대시와 패러디" 현대미학사 1996
6 아니카 르메르, "자크라캉" 문예출판사 1996
7 존 버거, "이미지-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1990
8 이희진, "이문구 소설의 카니발적 특성 연구" 단국대 2006
9 여세주, "이근삼 희곡의 현대극적 위상" 한민족문학회 33 : 405-428, 1998
10 윤금선, "유치진 희곡의 희비극성 연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8 : 337-370, 1996
11 김대행, "웃음으로 눈물 닦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2 에른스트 피셔, "예술이란 무엇인가" 돌베개 1984
13 M.S. 배랭거, "연극 이해의 길" 평민사 1991
14 박상영, "시조의 세계관적 구조와 그 시학적 의미" 한국시가학회 (20) : 165-202, 2006
15 박상영, "시조를 통해 본 한국시가의 웃음 유형과 그 미학" 한국시조학회 (32) : 243-281, 2010
16 김대행, "상생의 웃음과 언어문화, in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출판 32-75, 2008
17 이형대, "사설시조의 ‘몸’에 대한 인식과 재현의 근대성" 애산학회 34 : 2008
18 이형대, "사설시조와 근대성 -사설시조의 시적 시선과 근대적 시각 場의 연관에 대한 시론적 탐색" 한국시가학회 28 : 105-127, 2010
19 박상영, "사설시조 웃음의 미학적 연구" 경북대 2009
20 송옥, "비극과 희극, 그 의미와 형식" 고려대학교출판부 1995
21 김대권, "브레히트의 『아르투로 우이의 저지 가능한 상승 Der aufhaltsame Aufstieg des Arturo Ui』과 이오네스코의 『코뿔소 Rhinoc?ros』*에 나타나는 희비극성" 한국독일어문학회 10 (10): 23-47, 2002
22 K.클라크, "바흐친" 문학세계사 1993
23 Moissej Kagan, "미학강의Ⅰ" 새길 1989
24 Avner Zis, "마르크스의 미학 강좌" 녹진 1987
25 송병욱, "뒤렌마트의 희비극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 : 433-458, 2000
26 황혜인, "뒤렌마트의 희비극" 자연사랑 2004
27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99
28 김정용, "그로테스크와 희극적인 것" 한국독어독문학회 60 : 127-145, 1996
29 김용호, "그로테스크와 희극적인 것" 영산대학교 16 : 175-189, 2006
30 John Orr., "Tragicomedy and Contemporary Culture: Play and Performance from Beckett to Shepar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31 David, L. Hirst, "Tragicomedy" Methuen 1984
32 Albert Hofstadter, "The Tragicomic : Concern in Depth" 1965
33 N. Frye, "The Educated Imagi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64
34 배부현, "Samuel Beckett극의 희비극적 비전" 동아대 1994
35 Giovani, Battista Guarini, "Compendium of Tragicomic Poetry, in Dramatic Theory and Criticism : Greeks to Grotowski" Holt 1974
36 Johnson, Samuel,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 1755
37 윤화영, "의 喜悲劇性" 한국연극학회 2 : 234-260,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