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茶賦』‘驗其産’ 解釋 考察 = A Study of the Interpretation of『Da-bu(茶賦)』‘Heomgisan(驗其産)’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0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nalysis of 『Da-bu(茶賦)』 ‘Heomgisan(驗基産)’written by Hanjae(寒齋) Yi Mok(李穆1471-1498). Hanjae is a classical scholar died early when he was 28 years old in the massacre of scholars in the year of Muo(戊午士禍). However, the 『Da-bu』 written by him is assessed to be one of the only tea books that enable the estimation of the mental world of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approximately 510 years ago from now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his life that lacks academic historical research has been beautified by distortion to be added up with many additions and the story of his life has been read by younger students as an established theory although it is not correct. The life distorted as such also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his works. Based on records in previous studies, ‘Heom(驗)’ in ‘Heomgisan’ means ‘actually experienced’ and the studies interpreted the word ‘Heomgisan’ as meaning that ‘when Hanjae Lee Mok went to Ming, he visited some of famous tea producing areas and searched famous tea products firsthand’ based on the premise that Hanjae went Ming to firsthand search famous tea producing areas. In this study, the interpretation of ‘Heomgisan’ will be examined by checking the possibilities of Hanjae's firsthand travel to Ming and his firsthand visit and search for tea producing area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analysis of 『Da-bu(茶賦)』 ‘Heomgisan(驗基産)’written by Hanjae(寒齋) Yi Mok(李穆1471-1498). Hanjae is a classical scholar died early when he was 28 years old in the massacre of scholars in the year of Muo(戊...

      This study examines the analysis of 『Da-bu(茶賦)』 ‘Heomgisan(驗基産)’written by Hanjae(寒齋) Yi Mok(李穆1471-1498). Hanjae is a classical scholar died early when he was 28 years old in the massacre of scholars in the year of Muo(戊午士禍). However, the 『Da-bu』 written by him is assessed to be one of the only tea books that enable the estimation of the mental world of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approximately 510 years ago from now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his life that lacks academic historical research has been beautified by distortion to be added up with many additions and the story of his life has been read by younger students as an established theory although it is not correct. The life distorted as such also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his works. Based on records in previous studies, ‘Heom(驗)’ in ‘Heomgisan’ means ‘actually experienced’ and the studies interpreted the word ‘Heomgisan’ as meaning that ‘when Hanjae Lee Mok went to Ming, he visited some of famous tea producing areas and searched famous tea products firsthand’ based on the premise that Hanjae went Ming to firsthand search famous tea producing areas. In this study, the interpretation of ‘Heomgisan’ will be examined by checking the possibilities of Hanjae's firsthand travel to Ming and his firsthand visit and search for tea producing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최초 다서(茶書)라 할 수 있는 한재(寒齋) 이목(李穆1471-1498)의 저서(著書) 『다부(茶賦)』 ‘험기산(驗基産)’에 대한 재해석(再解釋)이다. 한재는 28세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짧은 생을 마친 선비다. 그러나 그가 남긴 『다부』는 지금으로부터 510여 년 전 조선시대 유자(儒者)들의 정신세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유일한 다서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인문학적 고증(考證)을 간과(看過)한그의 생애(生涯)가 미화 왜곡되어 혹에 혹이 더해지면서 정설 아닌 정설로 후학들에게 읽혀지고 있다. 이렇게 왜곡된 생애는 작품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행연구의 기록을 보면 “‘험기산(驗基産)’에서 ‘험(驗)’이란 ‘실제로 증험하였다’”는뜻으로, “‘험기산’이라고 한 것을 보면 한재 이목이 명나라에 갔을 당시 차의 명산지 일부를 답사했고, 차의 명산품을 직접 수색(搜索)”하였다라고 해석함으로서 한재가 명나라에 가서 차생산지를 직접 수색하였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한재가 명나라에 실제로 다녀왔는지 또 차생산지를 직접 답사 수색하였는지 그 가능여부를 확인함으로서 ‘험기산’에 대한 해석을 ‘차의 명산지 답사 및차명산품을 수색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로 증험한 듯 부(賦) 문학적 특성 과장또는 풍자기법으로 기록한 글’이라고 해석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최초 다서(茶書)라 할 수 있는 한재(寒齋) 이목(李穆1471-1498)의 저서(著書) 『다부(茶賦)』 ‘험기산(驗基産)’에 대한 재해석(再解釋)이다. 한재는 28세 무오사화(戊午士禍)로 ...

      본 연구는 국내 최초 다서(茶書)라 할 수 있는 한재(寒齋) 이목(李穆1471-1498)의 저서(著書) 『다부(茶賦)』 ‘험기산(驗基産)’에 대한 재해석(再解釋)이다. 한재는 28세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짧은 생을 마친 선비다. 그러나 그가 남긴 『다부』는 지금으로부터 510여 년 전 조선시대 유자(儒者)들의 정신세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유일한 다서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인문학적 고증(考證)을 간과(看過)한그의 생애(生涯)가 미화 왜곡되어 혹에 혹이 더해지면서 정설 아닌 정설로 후학들에게 읽혀지고 있다. 이렇게 왜곡된 생애는 작품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행연구의 기록을 보면 “‘험기산(驗基産)’에서 ‘험(驗)’이란 ‘실제로 증험하였다’”는뜻으로, “‘험기산’이라고 한 것을 보면 한재 이목이 명나라에 갔을 당시 차의 명산지 일부를 답사했고, 차의 명산품을 직접 수색(搜索)”하였다라고 해석함으로서 한재가 명나라에 가서 차생산지를 직접 수색하였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한재가 명나라에 실제로 다녀왔는지 또 차생산지를 직접 답사 수색하였는지 그 가능여부를 확인함으로서 ‘험기산’에 대한 해석을 ‘차의 명산지 답사 및차명산품을 수색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로 증험한 듯 부(賦) 문학적 특성 과장또는 풍자기법으로 기록한 글’이라고 해석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인, "한재 이목(寒齋 李穆)의 다부연구(茶賦硏究) - 다부의 내용 및 특성분석" 한국차학회 16 (16): 39-48, 2010

      2 윤경혁, "차 노래글-茶賦" (재)가천문화재단 1994

      3 김장환, "음체질 양체질 오행체질" 자연과 사람 2006

      4 박지원, "세계 최고의 여행기 熱河日記" 그린비출판사 1780

      5 유건집, "茶賦註解" 이른아침 2009

      6 법제처, "經國大典" 一志社 1978

      7 이갑, "燕行記事, in 燕行錄選集 Ⅵ" 민족문화추진회, 경인문화사 1777

      8 박지원, "熱河日記Ⅰ" 민족문화추진회, 경인문화사 1780

      9 임승국, "桓檀古記" 정신문화사 1978

      10 윤경혁, "杏園茶文化古典" 홍익재 2006

      1 이병인, "한재 이목(寒齋 李穆)의 다부연구(茶賦硏究) - 다부의 내용 및 특성분석" 한국차학회 16 (16): 39-48, 2010

      2 윤경혁, "차 노래글-茶賦" (재)가천문화재단 1994

      3 김장환, "음체질 양체질 오행체질" 자연과 사람 2006

      4 박지원, "세계 최고의 여행기 熱河日記" 그린비출판사 1780

      5 유건집, "茶賦註解" 이른아침 2009

      6 법제처, "經國大典" 一志社 1978

      7 이갑, "燕行記事, in 燕行錄選集 Ⅵ" 민족문화추진회, 경인문화사 1777

      8 박지원, "熱河日記Ⅰ" 민족문화추진회, 경인문화사 1780

      9 임승국, "桓檀古記" 정신문화사 1978

      10 윤경혁, "杏園茶文化古典" 홍익재 2006

      11 국사편찬위원회, "朝鮮王朝實錄十二" 한국사학회 1956

      12 허봉, "朝天記, in 燕行錄選集Ⅰ" 민족문화추진회, 경인문화사 1574

      13 최진영, "寒齋李穆의 茶精神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4 염숙, "寒齋李穆의 道學精神과 茶道思想"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5 최영성, "寒齋李穆의 道學思想硏究" 177-224, 2001

      16 김장환, "寒齋李穆先行硏究에 관한 確認硏究"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9

      17 최영성, "寒齋 李穆의 「茶賦」 硏究" 한국사상문화학회 (19) : 475-502, 2003

      18 김장환, "寒齋 李穆 生涯 再確認" 한국학연구소 33 : 279-297, 2010

      19 최민자, "天符經*三一神誥*參佺戒經"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06

      20 한재종친회, "全州李氏侍中公派" 우리의 祖上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