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략적 상호작용과 남북한 협력의 가능성: 게임이론적 분석 = Strategic Interaction and Possibility of Coordin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 Game-Theoretic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78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남북한간의 군사적 혹은 경제적 교착상태는 남북한 모두 상대방과의 관계에 있어서 군사지향적 타입을 견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이 논문의 게임이론적 분석은 진단한다. 또한 남북한 협사의 경우에 협상응답자가 군사지향적 타입에서 경제지향적 타입으로 옮겨가는 것이 경제협력을 보장해주지는 못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밝힌다. 이것은 주로 양국간에 존재하고 있는 불완전한 정보체계하의 전략적 상호작용 때문이다. 이 연구는 남북한간의 경제 협력을 조장하기 위해서는 경제지향적인 협상제기자의 존재 여부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모델의 분석, 심화되고 있는 남북한의 경제력 차이, 그리고 침체된 북한 경제를 고려하여 북한이 자체의 필요성에 의하여 경제지향적인 타입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한다. 경제협상에서는 남북한 모두 자국주도의 경제협력을 도출해내기 위해서 경제지향적인 타입으로 바뀐 뒤에도 어느 정도는 군사지향적인 것처럼 행동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평가한다. 북한이 경제지향적인 타입으로가서 남북한 협력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테크노크래트의 부상에 의하여 북한 국내정치가 다원화되고, 북한의 완고한 대남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이 연구는 주장한다.
      번역하기

      현재 남북한간의 군사적 혹은 경제적 교착상태는 남북한 모두 상대방과의 관계에 있어서 군사지향적 타입을 견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이 논문의 게임이론적 분석은 진단한다. 또한 남북한...

      현재 남북한간의 군사적 혹은 경제적 교착상태는 남북한 모두 상대방과의 관계에 있어서 군사지향적 타입을 견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이 논문의 게임이론적 분석은 진단한다. 또한 남북한 협사의 경우에 협상응답자가 군사지향적 타입에서 경제지향적 타입으로 옮겨가는 것이 경제협력을 보장해주지는 못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밝힌다. 이것은 주로 양국간에 존재하고 있는 불완전한 정보체계하의 전략적 상호작용 때문이다. 이 연구는 남북한간의 경제 협력을 조장하기 위해서는 경제지향적인 협상제기자의 존재 여부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모델의 분석, 심화되고 있는 남북한의 경제력 차이, 그리고 침체된 북한 경제를 고려하여 북한이 자체의 필요성에 의하여 경제지향적인 타입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한다. 경제협상에서는 남북한 모두 자국주도의 경제협력을 도출해내기 위해서 경제지향적인 타입으로 바뀐 뒤에도 어느 정도는 군사지향적인 것처럼 행동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평가한다. 북한이 경제지향적인 타입으로가서 남북한 협력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테크노크래트의 부상에 의하여 북한 국내정치가 다원화되고, 북한의 완고한 대남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이 연구는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witnessed a fundamental change of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 in the Far East Asian region. The series of change seemed to bring a new chapter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two Koreas. But unfortun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not shown any significant development. It implies tha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change was not sufficient to guarantee a coordin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nother plausible element of foreign policy (domestic uncertainly) to explain the current deadlock and to find the conditions of coordination. From the analysis, the current deadlock military or economic, was diagnosed as coming from both Koreas' "Military-Oriented" type. I find that it is not easy to derive an economic coordination by a negotiation responder's shift from a "Military-Oriented" type to an "Economy-Oriented" type in the case of the two Koreas. It is mainly due to the belief system of both states on their strategic interactions. My main results show that getting an "Economy-Oriented" initiator is almost sufficient to achieve an econmic coordination in a negotiation between the two Koreas. Considering the gap of economic power between the two Koreas and North Koreas' stagnating economic situa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model, I have conjectured that in the future North Korea is very likely to adopt a "Economy-Oriented" type in order to utilize an economic coordination. I have maintained also that the North Korean shift to an "Economy-Oriented" type should come from some domestic change to represent the preference ordering of an "Economy-Oriented" type properly.
      번역하기

      We have witnessed a fundamental change of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 in the Far East Asian region. The series of change seemed to bring a new chapter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two Koreas. But unfortunately, the relationship be...

      We have witnessed a fundamental change of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 in the Far East Asian region. The series of change seemed to bring a new chapter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or the two Koreas. But unfortun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not shown any significant development. It implies tha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change was not sufficient to guarantee a coordin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nother plausible element of foreign policy (domestic uncertainly) to explain the current deadlock and to find the conditions of coordination. From the analysis, the current deadlock military or economic, was diagnosed as coming from both Koreas' "Military-Oriented" type. I find that it is not easy to derive an economic coordination by a negotiation responder's shift from a "Military-Oriented" type to an "Economy-Oriented" type in the case of the two Koreas. It is mainly due to the belief system of both states on their strategic interactions. My main results show that getting an "Economy-Oriented" initiator is almost sufficient to achieve an econmic coordination in a negotiation between the two Koreas. Considering the gap of economic power between the two Koreas and North Koreas' stagnating economic situa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model, I have conjectured that in the future North Korea is very likely to adopt a "Economy-Oriented" type in order to utilize an economic coordination. I have maintained also that the North Korean shift to an "Economy-Oriented" type should come from some domestic change to represent the preference ordering of an "Economy-Oriented" type proper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