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9 1 화용론이란 = 11 1.1 화용론의 개념 = 11 1.2 화용론의 학문적 위상과 정체성 = 14 1.3 화용론의 유형 = 18 1.4 언어의 기능 = 19 2 화용론과 인접학문 = 23 2.1 순수언어학과 화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6131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머리말 = 9 1 화용론이란 = 11 1.1 화용론의 개념 = 11 1.2 화용론의 학문적 위상과 정체성 = 14 1.3 화용론의 유형 = 18 1.4 언어의 기능 = 19 2 화용론과 인접학문 = 23 2.1 순수언어학과 화용...
목차
머리말 = 9
1 화용론이란 = 11
1.1 화용론의 개념 = 11
1.2 화용론의 학문적 위상과 정체성 = 14
1.3 화용론의 유형 = 18
1.4 언어의 기능 = 19
2 화용론과 인접학문 = 23
2.1 순수언어학과 화용론 = 23
2.2 사회언어학과 화용론 = 33
2.3 인지언어학과 화용론 = 54
2.4 화행이론과 화용론 = 65
2.5 민족지학과 화용론 = 73
2.6 언어교육과 화용론 = 77
3 화용의 구성요소 = 85
3.1 화자 = 86
3.2 청자 = 87
3.3 화자 - 청자의 상호작용 = 89
3.4 상황 = 95
3.5 대화의 유형 = 97
3.6 화용의 언어 단위와 의미 = 106
4 화용의 원리 = 123
4.1 문법성의 원리 = 125
4.2 상황성의 원리 = 131
4.3 의사소통 원리 = 133
4.4 언어경제성 원리 = 134
4.5 전략의 원리 = 137
4.6 체면의 원리 = 142
4.7 공손의 원리 = 148
4.8 사회언어학적 원리 = 152
4.9 창의성의 원리 = 172
5 화용의 양상 = 175
5.1 담화표지 = 175
5.2 생략과 축약 = 204
5.3 주제와 초점 = 207
5.4 대화 전략 = 207
6 화용 의미의 생성과 해석 = 215
6.1 지시적 의미 = 216
6.2 관용적 의미 = 217
6.3 비유적 의미 = 220
6.4 함축적 의미 = 242
6.5 의미의 정도성 = 249
7 담화와 텍스트의 종합적 화용 분석의 예 = 257
7.1 구어텍스트의 종합적 화용 분석 = 257
7.2 문어텍스트의 종합적 화용 분석 = 284
맺음말 = 303
참고 문헌 = 305
국문색인 = 317
영문색인 = 325
국문 초록 (Abstract)
화용론이란 사람들이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언어의 구조와 역사에 대해서만 주로 연구하였지 만 80년대 이후부터 언어의 사용면에 관심을 많...
화용론이란 사람들이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언어의 구조와 역사에 대해서만 주로 연구하였지 만 80년대 이후부터 언어의 사용면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서양에서는〔화용론〕이라는 이름의 책이 여러 권 나왔고, 국내에서는 영어학자들이 쓴〔담화분석〕이 몇 권 나온 바 있다. 국어학 쪽에서도 화용론에 관한 논문이나 논문을 묶은 책은 더러 나온 적이 있으나 화용론을 전체적으로 체계를 가지고 집필한 개론서는 거의 없어서 이 분야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위한 참고서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이 책은 기획되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884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