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루블료프 : 비잔틴적 유산에 대한 재해석 오 두 영 러시아 정교회에 있어 이콘은‘그림으로 그린 성서’혹은‘색채로 말하여진 신학’으로서 미학을 통해 영성신학을 드러내는 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24990
오두영 (강남대학교)
2011
Korean
안드레이 루블료프 ; 이콘 ; 페오판 그렉 ; 다니일 쵸르느이 ; 비잔틴 ; 그레고리우스 팔라마 ; 헤시카즘 ; Andrei Rublev ; Icon ; Feofan the Greek ; Daniil chornuy ; Byzantine ; Gregorius Palamas ; Hesychasm
911
KCI등재
학술저널
291-320(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안드레이 루블료프 : 비잔틴적 유산에 대한 재해석 오 두 영 러시아 정교회에 있어 이콘은‘그림으로 그린 성서’혹은‘색채로 말하여진 신학’으로서 미학을 통해 영성신학을 드러내는 성...
안드레이 루블료프 : 비잔틴적 유산에 대한 재해석 오 두 영 러시아 정교회에 있어 이콘은‘그림으로 그린 성서’혹은‘색채로 말하여진 신학’으로서 미학을 통해 영성신학을 드러내는 성스러운 매개체이다. 10세기 말 블라지미르 大公이 희랍 정교회를 수용한 이후 비잔틴 교회의 다양한 상징적 형상들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러시아에 수용된 비잔틴의 이콘은 끼예프 공국 시대와 분령시대를 거치면서 비잔틴적 유산의 특징에 동슬라브적 고대전통이 가미 되었고, 점차 슬라브의 독창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형상화시킨 이콘으로 변모 되어 나갔다. 이콘은 곧 중세 러시아人들의 정교회 신앙적 표상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특히 분령시대의 혼란과 몽고지배하의 고난의 시기 동안 오히려 러시아 이콘은 그 내용과 특성에 있어 풍성한 개화기를 보였다.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이러한 중세 러시아 이콘예술를 대변하는 최고의 성상화가였다. 그는 1405년 페오판 그렉과 함께 작업한 모스크바 블라고비쉔스키 성당 이코노스타스의 이콘들과 1408년 다니일 쵸르느이와 함께한 블라디미르 우스펜스키 성당의 벽화들 그리고 즈베니고로드의 사비노스따로쥅스키 수도원내 이콘들과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삼위일체’에 이르는 이콘화들을 통해 수도사로서의 깊은 러시아 정교회적 영성을 구현했다.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예술에 관한 연구는 도상학적 측면에서는 물론 그것이 내재하고 있는 정교회적 영성에 대한 신학적 측면에서의 분석도 병행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구는 시대흐름과는 별개로 각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상반된 견해를 보여왔다. 하나는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예술은 비잔틴의 고전적 이콘화의 전통과 14세기 ‘팔레올로고스 르네상스’시대의 헤시카즘적 영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이콘신학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는 견해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과 벽화들은 도상학적 측면에서 뿐 만 아니라 정교 신학적 측면에서도 비잔틴의 유산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조형적 구도와 색채미를 구사하고 있고, 이콘에 내재해 있는 이콘신학적 영성에 있어서도 단순히 비잔틴의 것을 그대로 따른 것이 아니라 특히 13세기 이래 루시 영역에서 형성된 독특한 러시아 정교회적 영성, 구체적으로 14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영적 지도자였던 세르기 라도네쥐스키의 영성을 이콘화에서 구현하였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견해들이 근거하고 있는 비잔틴 이콘예술의 전통과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영성과의 관계를 재조명해 보려고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drei Rublev : Tne Reinterpretation of Byzantine Legacy Oh, Doo Young Andrei Rublev considered to be the greatest medieval Russian painter of Orthodox icons and frescoes. And he who is considered the founder of the Moscow School of painting stands ou...
Andrei Rublev : Tne Reinterpretation of Byzantine Legacy Oh, Doo Young Andrei Rublev considered to be the greatest medieval Russian painter of Orthodox icons and frescoes. And he who is considered the founder of the Moscow School of painting stands out as most prominent. The first mention of Rublev is in 1405 when he decorated icons and frescos for the Cathedral of the Annunciation of the Moscow Kremlin in company with Theophanes the Greek and Prokhor of Gorodets. Theophanes was an important Byzantine master brought traditional Byzantine Iconopici to Russia. The Hesychasm revised by Gregorius Phalams in the Byzantine Empire and so-call ‘Palaeologian Renaissance’ in the arts were delivered to Russia by the greek artists, including Theophanes the Greek. Theophanes's fresco in the church of our Saviour in Nobgorod reflect the hesychasts' striving for a more intense and authentic experience of God's presence through the holy lights. He assisted Theophanes the Greek in decorating the Cathedral of the Annunciation in Moscow. Andrei Rublev worked with together Theophanes in the Cathedral of Blagobyshenskii had been influence by his Iconopici and Byzantine Othodoxy spirituality. But He reinterpretaed his Iconopici expressed in Byzantine traditions, created new Russian tendency in Icon and fresco. In 1408 he painted together with Daniil Cherni, the Assumption Cathedral in Vladimir and in 1425~1427 the Cathedral of St. Trinity in the Trinity-St. Sergius Lavra. After Daniil’s death Andrei came to Moscow’s Andronikov Monastery where he painted his last work, the frescoes of the Savior Cathedral. He distilled the traditional themes and techniques of the icon and the fresco into a highly individual manner. In the “Saviour” he expressed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 the conviction that Christ was both God and man, with a subtlety that few artists have ever approached. The greatest of medieval Russian icon painters, he is best known for The Old Testament Trinity. He became a monk fairly late in life. His famous Icon, “The Trinity” that depicts the Old Testament Trinity, three angels who visited Abraham and Sarah and predicted that, in their old age, they would have a son, is based upon an earlier icon known as the “Hospitality of Abraham”. Rublev removed the figures of Abraham and Sarah from the scene, and through a subtle use of composition and symbolism changed the subject to focus on the Mystery of the Trinity. In Rublev's art two traditions are combined. That it were, the highest asceticism and the classic harmony of Byzantine mannerism. The characters of his paintings are always peaceful and calm. After some time his art came to be perceived as the ideal of Church painting and of Orthodox iconograph in Russia. He was trained wholly in the stylized tradition of Byzantine art, but to the more humanistic approach it had adopted by the 14th century he added a truly Russian element, a complete unworldliness that distinguishes his work from that of his predecessors and successo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덕형,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 나무 2008
2 이덕형, "비잔티움, 빛의 모자이크" 성균관대출판부 2006
3 이덕형, "러시아 문화예술의 천년 Millenium of Russian Culture and Art" 생각의 나무 2009
4 블라디미르 로스끼, "동방정교회의 신비신학에 대하여"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5 Волошинов. А. В., "Троиц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 Геометрия и философия" (6) : 1997
6 Бздорнов. Г. И., "Троиц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Антология. М 1989
7 Тарабукин. Н. М., "Смысл иконы. М" 1999
8 Ирина Языкова, "Светозарная Тайн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Каталический вестник 2001
9 Лазарев. В. Н., "Русская средневековая живопись. М" 1970
10 Тихомиров. М. Н., "Русская культура X-XVIII веков. М" 1966
1 이덕형,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 나무 2008
2 이덕형, "비잔티움, 빛의 모자이크" 성균관대출판부 2006
3 이덕형, "러시아 문화예술의 천년 Millenium of Russian Culture and Art" 생각의 나무 2009
4 블라디미르 로스끼, "동방정교회의 신비신학에 대하여"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5 Волошинов. А. В., "Троиц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 Геометрия и философия" (6) : 1997
6 Бздорнов. Г. И., "Троиц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Антология. М 1989
7 Тарабукин. Н. М., "Смысл иконы. М" 1999
8 Ирина Языкова, "Светозарная Тайн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Каталический вестник 2001
9 Лазарев. В. Н., "Русская средневековая живопись. М" 1970
10 Тихомиров. М. Н., "Русская культура X-XVIII веков. М" 1966
11 Успенский. А. И.,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рус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Т. 1. Русская живописьдо XV века включительно. М" 1910
12 Филатов. В. В., "Особенности иконографии фресок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в соборе Успения на Городке в Звенигороле. Искусство Древней Руси. Сб. статей. М" 1994
13 Пучинская. Л., "Образ написати пресвятыя Троицы" (1) : 2002
14 Андреев. М. И., "Об иконографии Звенигородского чина. Реставрация и исследования памятников культуры" Вып 1982
15 Салтыков А. А., "О значении ареопагитик в древнерусом искусстве : К изучению Троицы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Древнерус искусство XV-XVII вв 1981
16 Лифший. Л. И., "Монументальная живопись Новгорода XIV-XV веков. М" 1987
17 Плугин. В. А., "Мировоззрение Андрея Рублева(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Древнерусская живопись как истор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М" 1974
18 Клибанов. А. И., "К характеристике мировозрения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Андрей Рублев и его эпоха 1971
19 Малков. Ю. Г., "К изучени. Троицы Андрея Рублева" (8) : 1987
20 Ильина. Т. В., "История Искуств" Отечественное искусство. М 2009
21 Ильин. М. А., "Искусство Московской Руси эпохи Феофана Грека и Андрея Рублева. М" 1981
22 Ульянов. О. Г., "Иконописца Андрея Рублева" 3 : 2006
23 Воронин. Н. Н., "Зодчество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Руси XII-XV веков. Т. 2" XIII-XV столетия. М 1962
24 Попов. Г. В., "Живрпись и миниатюра Москвы середины XV - начала XVI в. М" 1975
25 Попова. О. С., "Древнерусская живопись и византия. Искусство средневековой Руси" (12) : 1999
26 Ямщиков. С. В., "Древнерусская живопись" Новые открытия. М 1965
27 Пуцко. В. Г., "Вмзантийское наследие в искусстве Московской Руси" (56) : 1995
28 Лазарев. В. Н., "Византийское и древнерусское искусство. М" 1978
29 Бьянки. Энцо, "Богословие Красоты" 4 (4): 2005
30 Алпатов. М., "Андрей Рублев; Русский художник XV в" М-Л 1943
31 Дудочкин. Б. Н., "Андрей Рублев; Материалы к изучению билгрвфии и творчества. М" 2000
32 Брехова. Н., "Андрей Рублев. М" 2001
33 Тихомиров. М. Н., "Андрей Рублев и его эпоха. Русская культура X- XVIII вв. М" 1968
34 Брюсова. Б. Г., "Андрей Рублев и Московская школа живописи. М" 1998
35 Чураков. С. С., "Андрей Рублев и Даниил Чёрный" (9) : 1964
36 Осташенко. Е. Я., "Андрей Рублев Палеологовские традиции в московскойживописиб конца XIV - первой трети XV века. М" 2005
37 Попов. Г. В., "Андрей Рублев : Явление мастера о творчестве художника около 1400 г" (2) : 1992
38 Ouspensky. L., "Theory of Icon"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78
39 Henrik Birnbaum, "Medieval Russian Culture" 1984
40 Martin. Janet, "Medieval Russia 980-1584" Cambridge Uni press 1995
41 Robert. Bird, "Andrei Rublev" wiltshire 2004
1910년대 전반 재일유학생의 민족운동-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조선총독부의 언론정책과 『每日申報』에 나타난 방공관련기사의 추이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家庭防空’ 조직과 지식 보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 | 1.34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