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所有權의 私法的 制限에 관한 硏究  :  占有할 權利를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問題는 理論的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로 所有權의 構造와 理解의 結付 즉, 所有權의 完全性을 强調하는 見解는 Einrede說과 結付되며, 所有權의 制限을 그 原則的인 要素로 보는 見解는 Einwendung說과 結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點에 대한 考察에서 所有權觀念을 反省하는 契機가 될 것이다. 둘째로, 獨逸固有의 理論的인 意義로서 BGB 第986條에는 『占有者 또는 占有者가 占有할 權利를 承繼한 間接占有者가 所有者에 대하여 占有할 權利를 가진 경우에는 占有者는 物侍의 返還을 拒絶할 수 있다.……』(Kann Kerweigern)고 표현하여 Einrede의 典型的 表現을 하고 있는데 同法 1004條에는 『所有權이 占有에 侵奪 또는 留置 이외의 方法에 의하여 侵害된 경우에는 所有者는 妨害者에 대하여 그 侵害의 除去를 請求할 수 있다.……』(ist ausgeschlossen)고 표현하여 Einwendung의 典型的인 表現을 하므로 두 表現 사이의 調和가 문제 된다. 세째로, 占有할 權利의 一般理論에 基因한 性格과 Einrede說 Einwendung說과의 調和가 問題된다. 특히 現行 民法 第213條에는 所有者는 그 所有에 속한 物件을 占有한 者에 대하여 返還을 請求할 수 있다. 그러나 占有者가 그 物件을 占有할 權利가 있는 때에는 返還을 拒否할 수 있다고 規定함으로써 解釋上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獨逸이나 우리 나라에서 이러한 問題의 實質的인 意義가 輕視되고 있는 現象이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이러한 問題의 理論的 實質的 意義에 입각하여 考究하기로 한다.
      번역하기

      이 問題는 理論的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로 所有權의 構造와 理解의 結付 즉, 所有權의 完全性을 强調하는 見解는 Einrede說과 結付되며, 所有權의 制限을 그 原則的인 要素...

      이 問題는 理論的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로 所有權의 構造와 理解의 結付 즉, 所有權의 完全性을 强調하는 見解는 Einrede說과 結付되며, 所有權의 制限을 그 原則的인 要素로 보는 見解는 Einwendung說과 結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點에 대한 考察에서 所有權觀念을 反省하는 契機가 될 것이다. 둘째로, 獨逸固有의 理論的인 意義로서 BGB 第986條에는 『占有者 또는 占有者가 占有할 權利를 承繼한 間接占有者가 所有者에 대하여 占有할 權利를 가진 경우에는 占有者는 物侍의 返還을 拒絶할 수 있다.……』(Kann Kerweigern)고 표현하여 Einrede의 典型的 表現을 하고 있는데 同法 1004條에는 『所有權이 占有에 侵奪 또는 留置 이외의 方法에 의하여 侵害된 경우에는 所有者는 妨害者에 대하여 그 侵害의 除去를 請求할 수 있다.……』(ist ausgeschlossen)고 표현하여 Einwendung의 典型的인 表現을 하므로 두 表現 사이의 調和가 문제 된다. 세째로, 占有할 權利의 一般理論에 基因한 性格과 Einrede說 Einwendung說과의 調和가 問題된다. 특히 現行 民法 第213條에는 所有者는 그 所有에 속한 物件을 占有한 者에 대하여 返還을 請求할 수 있다. 그러나 占有者가 그 物件을 占有할 權利가 있는 때에는 返還을 拒否할 수 있다고 規定함으로써 解釋上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獨逸이나 우리 나라에서 이러한 問題의 實質的인 意義가 輕視되고 있는 現象이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이러한 問題의 理論的 實質的 意義에 입각하여 考究하기로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問題의 提起
      • 2. BGB 成立前史
      • 1) 第1章 案과 理由書
      • 2) 第2章 案과 그 議定書
      • 3. 獨逸法上의 解釋論
      • 1. 問題의 提起
      • 2. BGB 成立前史
      • 1) 第1章 案과 理由書
      • 2) 第2章 案과 그 議定書
      • 3. 獨逸法上의 解釋論
      • 1) Einrede說
      • 2) Einwendung說
      • 4. 日本 民法上의 解釋論
      • 1) Einrede說
      • 2) Einwendung說
      • 5. 우리民法上의 解釋論
      • 1) Einrede說
      • 2) Einwendung說
      • 6. 結論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