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음악과 수업전문성 형성에 대한 질적 탐구 = A Qualitative Inquiry on Forma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for Music Teaching as Practical Knowl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40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 경험의 구성자이자 매개자로서 수업의 과정에서 교사가 내포하고 있는 역할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연속적인 맥락에서 음악 교과적 특수성에 입각한 음악수업전문성의 실천적 의미와 구성요인을 이론적, 경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교사의 심화된 능력을 의미하며 교수학습전략지식, 학생이해지식, 교과 내용지식, 교육환경지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지식들을 포함한다. 음악과 수업전문성도 교육학 일반에서의 수업전문성요인들을 동일하게 공유함과 동시에 음악적 지식, 음악적 표현 기능, 음악적 교수실행능력과 같은 교과 특성적인 요인들이 관여된다. 초등교사 8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악 수업 실행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에서는 이론적 탐구에서 제시된 수업전문성 요인들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음악에 대한 가치화’, ‘음악수업에 대한 동기화’ ‘음악수업에 대한 성찰’이 주목할 만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내재적 지식이 ‘수업’을 통하여 ‘좋은 음악수업’ 나아가 ‘음악수업의 전문성’으로까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내면에 축적된 음악에 대한 ‘가치관’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좋은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내적 의지가 주요하게 작동한다고 해석된다. 향후 논의에서는 수업전문성을 발전시키는 교사 내면의 정향적 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 경험의 구성자이자 매개자로서 수업의 과정에서 교사가 내포하고 있는 역할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연속적인 맥락에서 음악 교과적 특수성에 입각한 음악수업전문성의 실천...

      본 연구는 교육 경험의 구성자이자 매개자로서 수업의 과정에서 교사가 내포하고 있는 역할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연속적인 맥락에서 음악 교과적 특수성에 입각한 음악수업전문성의 실천적 의미와 구성요인을 이론적, 경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교사의 심화된 능력을 의미하며 교수학습전략지식, 학생이해지식, 교과 내용지식, 교육환경지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지식들을 포함한다. 음악과 수업전문성도 교육학 일반에서의 수업전문성요인들을 동일하게 공유함과 동시에 음악적 지식, 음악적 표현 기능, 음악적 교수실행능력과 같은 교과 특성적인 요인들이 관여된다. 초등교사 8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악 수업 실행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에서는 이론적 탐구에서 제시된 수업전문성 요인들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음악에 대한 가치화’, ‘음악수업에 대한 동기화’ ‘음악수업에 대한 성찰’이 주목할 만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내재적 지식이 ‘수업’을 통하여 ‘좋은 음악수업’ 나아가 ‘음악수업의 전문성’으로까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내면에 축적된 음악에 대한 ‘가치관’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좋은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내적 의지가 주요하게 작동한다고 해석된다. 향후 논의에서는 수업전문성을 발전시키는 교사 내면의 정향적 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contemplated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 as a constructor of music instruction and also investigated concept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s practical knowledge and its formation within the music teaching process. On theoretical perspective teaching professionality means intensified ability of delivering knowledge to students which includes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dge about students, content knowledge of subject, and knowledge of teaching environment.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surely requires same kind of knowledges for education in general, also demands specific knowledge for music teaching like musical knowledge, skills for musical expression, executing music teaching strategies. 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qualitative investigation applying grounded theory. From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most of knowledge factors that main theories suggested, and it can be possibly interpreted that teacher’s valuation of music and willness for ‘good teaching’ are also critical factors for self-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ty. For future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teachers’ inner orientation toward value of music for education.
      번역하기

      The study contemplated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 as a constructor of music instruction and also investigated concept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s practical knowledge and its formation within the music teaching process. On the...

      The study contemplated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 as a constructor of music instruction and also investigated concept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s practical knowledge and its formation within the music teaching process. On theoretical perspective teaching professionality means intensified ability of delivering knowledge to students which includes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dge about students, content knowledge of subject, and knowledge of teaching environment.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surely requires same kind of knowledges for education in general, also demands specific knowledge for music teaching like musical knowledge, skills for musical expression, executing music teaching strategies. 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qualitative investigation applying grounded theory. From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most of knowledge factors that main theories suggested, and it can be possibly interpreted that teacher’s valuation of music and willness for ‘good teaching’ are also critical factors for self-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ty. For future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teachers’ inner orientation toward value of music for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경훈, "학교 음악교육의 활성화를 한 논의"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17 (17): 1-23, 2016

      2 홍미화,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99-618, 2010

      3 장근주,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41-58, 2011

      4 이가원, "음악교사교육에 교사전문성개발모형(PDS)의 적용방안 탐색" 음악연구소 18 (18): 59-81, 2014

      5 석문주, "음악 교과서의 평가 기 탐색"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17 (17): 45-75, 2016

      6 강인애, "왜 구성주의 인가" 문음사 2003

      7 임찬빈, "수업평가매뉴얼 음악과수업평가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이화진,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유한구,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18 (18): 68-84, 2001

      10 이경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음악과 내용 교수 지식(PCK)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 민경훈, "학교 음악교육의 활성화를 한 논의"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17 (17): 1-23, 2016

      2 홍미화,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99-618, 2010

      3 장근주,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41-58, 2011

      4 이가원, "음악교사교육에 교사전문성개발모형(PDS)의 적용방안 탐색" 음악연구소 18 (18): 59-81, 2014

      5 석문주, "음악 교과서의 평가 기 탐색"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17 (17): 45-75, 2016

      6 강인애, "왜 구성주의 인가" 문음사 2003

      7 임찬빈, "수업평가매뉴얼 음악과수업평가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이화진,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유한구,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18 (18): 68-84, 2001

      10 이경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음악과 내용 교수 지식(PCK)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1 이경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음악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2 최승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교수지식(PCK)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3 강대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사회과 내용 교수 지식(PCK)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4 김자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77-96, 2003

      15 Leonard, D., "Wellsprings of Knowl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8

      16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17 Glaser, B. G.,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Sociology Press 1978

      18 Polanyi, M., "The tacit dimension" Doubleday & Company 1967

      19 Grossman, P. L., "The making of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0

      20 Carlson, S. A., "The ethical appropriateness of subject-matter tutoring for learning disabled adolescents" 8 (8): 310-314, 1985

      21 McEvilley, T. C.,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Allworth Press 2002

      22 Holton, J. A.,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65-290, 2007

      23 Glaser, B. G.,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007

      24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Mcgraw-Hill 1978

      25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de Gruyter 1967

      26 Ryle, G., "The Concept of Mind" Barnes & Noble 1962

      27 Elbaz, F.,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ichols 1983

      28 Hashwen, M. Z.,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 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11 (11): 273-292, 2005

      29 Ross, W. E., "Reflective practice in social studies"

      30 Schön, D. A., "Reflective Practitioner" Basic Books 1983

      31 Oakeshott, M.,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 Liberty Press 1962

      32 Burnard, P., "Professional Knowledge in Music Teacher Education" Ashgate 2013

      33 Smith, B., "Practical Knowledge: Outlines of a Theory of Traditions and Skills" Croom Helm 1-16, 1988

      34 Alexander, R., "Policy and Practice in Primary Education" Routledge 1992

      35 Polanyi, M., "Personal knowled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36 Marks, 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41 (41): 3-11, 1990

      37 Roochnik, David, "Of Art and Wisdom: Plato’s Understanding of Techn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6

      38 Alvesson, M., "Knowledge work and knowledge-intensive" Oxford University 2004

      39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40 Kapyla, M., "Influence of content knowledge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ase of teaching photosynthesis and plant growth" 31 (31): 1395-1415, 2009

      41 Aristotle, "Hugh Lawson-Tancred" Penguin Books 1998

      42 Flinders, D, "Handbook of research i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Schirmer 1159-1175, 2002

      43 Carter, K.,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291-310, 1990

      44 Mulhall, P., "Frameworks for represent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4 (4): 1-25, 2003

      45 Magnusson, 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Kluwer 95-32, 1990

      46 Goodnough, K., "Enhanc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20 (20): 229-242, 2009

      47 Ballantyne, J., "Effectiveness of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perceptions of early-career music teachers" 6 (6): 299-312, 2004

      48 Loughran, J., "Document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PaP-eRe" 31 (31): 289-307, 2001

      49 McCutchen, G., "Developing the curriculum, solo and group deliberation" Longman publishers 1995

      50 Moreland, J,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he New Science: The example of biotechnology" 17 (17): 143-155, 2006

      51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98

      52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90

      53 Engberg-Pedersen, T., "Aristotle’s Theory of Moral Insight" Oxford University 1983

      54 Wallace, C., "An investigation of experienced second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41 (41): 936-960, 2004

      55 Liedman, S., "An infinite adventure" Allbert Bonnier Foerlag 2002

      56 Mills, G. E.,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 Pearson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