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중점 표준화 항목 도출 및 전략에 관한 연구 = Study on key standardization Work Item derivation and strategies for IoT serv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06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rvice and technology for the future hyper-connected society, which is every information receive through the mobile internet, will be an Internet of Things. Thus, it is mandatory to derive key standardization work item and establish strategy for the ...

      Service and technology for the future hyper-connected society, which is every information receive through the mobile internet, will be an Internet of Things. Thus, it is mandatory to derive key standardization work item and establish strategy for the global business with the standardization of device and service platform by the application servic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trends, state of technical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echnology, we identified the open platform is the stepping stone for achieving the goal which is establishing the virtuous circulation of IoT ecosystem. Also, we defined emphasized key standardization work item for achieving the open platform are network, server, access authentication, billing system, and software platform. After that, we proposed future strategy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This research could be contribute to the IoT service diffusion by realizing IP communication among low power wireless terminals and implementing light-weight standard internet protoco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환석, "초연결 사회를 위한 oneM2M 표준 화 기술 동향" 31 (31): 37-43, 2013

      2 김성림, "소셜 사물인터넷에서 소셜 관계를 이용한 사물 추천 기법"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0 (10): 49-59, 2014

      3 차시호,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기반 사용자 맞춤형 IoT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1 (11): 21-29, 2015

      4 송재승, "사물지능통신 표준 기술 동향" 150 : 84-89, 2013

      5 박종현, "사물인터넷의 미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6 윤주상, "사물인터넷을 위한 IETF 표준화 기술 동향" 32-39, 2014

      7 최성찬, "사물인터넷 플랫폼 오픈소스 동향: OCEAN을 중심으로" KETI 16-22, 2015

      8 홍상기,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동향" 30 (30): 2015

      9 고석갑,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 표준기술 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

      10 원광호, "국제 표준기반 오픈소스 사물인터넷 플랫폼 현황 및 전망: 국내 연구개발 사례 중심" HSN 2015

      1 최환석, "초연결 사회를 위한 oneM2M 표준 화 기술 동향" 31 (31): 37-43, 2013

      2 김성림, "소셜 사물인터넷에서 소셜 관계를 이용한 사물 추천 기법"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0 (10): 49-59, 2014

      3 차시호,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기반 사용자 맞춤형 IoT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1 (11): 21-29, 2015

      4 송재승, "사물지능통신 표준 기술 동향" 150 : 84-89, 2013

      5 박종현, "사물인터넷의 미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6 윤주상, "사물인터넷을 위한 IETF 표준화 기술 동향" 32-39, 2014

      7 최성찬, "사물인터넷 플랫폼 오픈소스 동향: OCEAN을 중심으로" KETI 16-22, 2015

      8 홍상기,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동향" 30 (30): 2015

      9 고석갑,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 표준기술 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

      10 원광호, "국제 표준기반 오픈소스 사물인터넷 플랫폼 현황 및 전망: 국내 연구개발 사례 중심" HSN 2015

      11 김재호,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표준기술 소개" KETI 2015

      12 원광호, "oneM2M과 산업표준 플랫폼의 상호연동 표준화 동향"

      13 "oneM2M-TS-0001-V-1. 6. 1, “oneM2M Functional Architecture,” Jan. 30th, 2015"

      14 OIC, "OIC Core Specification – PROJECT A, Part 1, Vol.9, Apr. 10th, 2015"

      15 "OCEAN"

      16 "IoTivity"

      17 표철식, "IoT(M2M)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30 (30): 3-10, 2013

      18 AllSeen alliance, "Introduction to the AllJoyn Framework"

      19 고석갑, "IETF CoAP 기반센서 접속 프로토콜 기술동향" 28 (28): 2013

      20 Zhengguo Sheng, "A survey on the ietf protocol suite for the internet of things: standar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20 (20): 91-9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 ->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6 0.30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