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북대학생의 한국 사회와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생애사연구 -교육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5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tilizing Mandelbaum’s life story analysis method, th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s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ugust 2019 with two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to gauge how they adapted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lif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NUE).
      According to the study, the interviewees came from diverse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s in North Korea. Their migration process and domestic adaptation to South Korea and the NUE were also different, although both of them were strong-willing and self-restrained. Their determination helped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at NUE. Research participants similar to the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in other majors or departments also experienced comparable difficulties in the adaptation process, such as language expression and cultural adaptation, social exchange, lack of basic knowledge due to differences in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challenges in learning English and making presentations. The NUE is a specialized university that trains elementary teachers requiring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rust. After graduating from the NUE, they are eligible to become teachers if they clear the employment examination. However,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xious about parents’ general concerns about entrusting their children to teachers from North Korea. Unlike North Korea, in South Korea, where home-room teachers are rotated and diversity is emphasized, North Korean refugee teachers also have some unique advantages. Since they have seen both sides of Korea, they can perform better than their South Korean peers in introducing the value of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Utilizing Mandelbaum’s life story analysis method, th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s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ugust 2019 with two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to gauge how they adapted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l...

      Utilizing Mandelbaum’s life story analysis method, th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s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ugust 2019 with two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to gauge how they adapted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lif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NUE).
      According to the study, the interviewees came from diverse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s in North Korea. Their migration process and domestic adaptation to South Korea and the NUE were also different, although both of them were strong-willing and self-restrained. Their determination helped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at NUE. Research participants similar to the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in other majors or departments also experienced comparable difficulties in the adaptation process, such as language expression and cultural adaptation, social exchange, lack of basic knowledge due to differences in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challenges in learning English and making presentations. The NUE is a specialized university that trains elementary teachers requiring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rust. After graduating from the NUE, they are eligible to become teachers if they clear the employment examination. However,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xious about parents’ general concerns about entrusting their children to teachers from North Korea. Unlike North Korea, in South Korea, where home-room teachers are rotated and diversity is emphasized, North Korean refugee teachers also have some unique advantages. Since they have seen both sides of Korea, they can perform better than their South Korean peers in introducing the value of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연, "탈북청소년의 대학진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7

      2 한만길,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IV)" 한국교육개발원 2013

      3 오윤옥, "탈북대학생의 한국생활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4 김다애,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 현황과 원인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 김인숙,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122-142, 2015

      6 정성희, "탈북대학생 학업 적응 곤란 요인 및 적응 지원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57-1279, 2019

      7 유시은, "탈북대학생 중도탈락 원인 및 대안"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

      8 이은화,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37-258, 2019

      9 남북하나재단, "탈북 청소년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2018

      10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화연, "탈북청소년의 대학진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17

      2 한만길,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IV)" 한국교육개발원 2013

      3 오윤옥, "탈북대학생의 한국생활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4 김다애, "탈북대학생의 읽기·쓰기 어려움 현황과 원인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 김인숙,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122-142, 2015

      6 정성희, "탈북대학생 학업 적응 곤란 요인 및 적응 지원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57-1279, 2019

      7 유시은, "탈북대학생 중도탈락 원인 및 대안"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

      8 이은화,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37-258, 2019

      9 남북하나재단, "탈북 청소년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2018

      10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1 허성호, "탈북 새터민 대학생의 사회적응 :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장해 진단 도구를 이용한 사례연구" 21 (21): 193-202, 2013

      12 이채영, "탈북 대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레질리언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2 (52): 313-324, 2014

      13 김주희, "춤추며 적응하기: 탈북대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신체움직임프로그램 제안" 대한무용학회 73 (73): 13-24, 2015

      14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7-168, 2017

      15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 연구의 성격과 의의" 18 (18): 5-43, 2012

      16 윤주영, "조손가족 손자녀의 성장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6 (56): 69-104, 2017

      17 배경임, "이주민지원센터 재직 개신교 성직자의 타자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1053-1073, 2019

      18 김진숙, "생애사연구를 통해 본 남성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경험" 생명문화연구소 52 : 201-223, 2019

      19 김태동, "새터민 대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0 (10): 255-276, 2008

      20 박슬기, "북한이탈청소년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대안학교 출신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1 백영옥,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 : 진학 및 적응을 중심으로"

      22 이혜경,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체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3 통일부, "북한이탈정책자료실"

      24 정영선,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03-333, 2019

      25 임보람, "북한이탈 여대생의 남한사회 문화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정서적 어려움"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6 김보미,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 중단과 지속 경험에 대한 탐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27 최미혜, "북한이탈 대학생의 적응 스트레스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5) : 85-112, 2016

      28 조영아,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167-186, 2004

      29 김주연, "대학 수학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경제 분야 외래어 학술 전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80) : 73-108, 2018

      30 박은성, "대학 내 새터민들의 영어 장벽: 서울소재 사립대학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35-359, 2014

      31 이혁구, "노인도박자들의 생애사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2) : 69-101, 2011

      32 노은희, "남한에서 대학을 졸업한 탈북 청년의 성공적 취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33 최명희, "교우 관계를 통한 탈북대학생의 대학 생활을 적응에 관한 연구" 20 (20): 191-214, 2014

      34 Mandelbaum, G., "The Study of Life History : Gandi" 14 (14): 177-206, 1973

      35 최연희, "English Education Contex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 Issues and Policis" 18 (18): 869-892, 2014

      36 Plummer, K., "Documents of life 2 : An invitation to a critical humanism" SAGE 2001

      37 Schütze, F., "Biographie und Wirklichkeit" 78-117,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