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유럽 신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 Norse Mythology and ‘World View of Trichotomy (1-3-9-8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7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The Mother’s Womb of Eurasian culture’.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North Europe.
      This paper places its sharp attention to ‘World View oF Trichotomy’ in Norse Mythology. Especially, I am trying to explain the symbolic meaning of ‘Holy Numbers’ 3, 9(3×3) and 81(9×9). And I suggest that Norse Mythology can be explain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with consideration of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its Holy Numbers 3, 9(3×3) and 81(9×9).
      번역하기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The Mother’s Womb of Eurasian culture’.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North Europe.
      This paper places its sharp attention to ‘World View oF Trichotomy’ in Norse Mythology. Especially, I am trying to explain the symbolic meaning of ‘Holy Numbers’ 3, 9(3×3) and 81(9×9). And I suggest that Norse Mythology can be explain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with consideration of ‘World View of Trichotomy’ and its Holy Numbers 3, 9(3×3) and 81(9×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실하,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국학연구원 1 : 35-101, 2006

      2 우실하, "홍산문화 옥저룡(玉猪龍), 쌍수수황형기(雙獸首璜形器), 쌍수수삼공기(雙獸首三孔器)의 상징적 의미와 ‘환일(幻日: Sundog)’ 현상" 동아시아고대학회 (24) : 63-113, 2011

      3 우실하, "한국문화의 심층구조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한민족학회 9 : 137-164, 2009

      4 알렉상드르 파르누, "크노소스:그리스의 원형 미노아 문명" 시공사 1997

      5 다케루베 노부야키, "켈트, 북구의 신들" 들녘 2000

      6 우실하,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었다" 동양사회사상학회 8 : 5-38, 2003

      7 우실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음악" 소나무출판사 2004

      8 우실하, "전통 문화의 구성 원리" 소나무출판사 1998

      9 김재용, "왜 우리신화인가" 동아시아 1999

      10 시마다 마사오, "아시아법사" 서경문화사 2000

      1 우실하,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국학연구원 1 : 35-101, 2006

      2 우실하, "홍산문화 옥저룡(玉猪龍), 쌍수수황형기(雙獸首璜形器), 쌍수수삼공기(雙獸首三孔器)의 상징적 의미와 ‘환일(幻日: Sundog)’ 현상" 동아시아고대학회 (24) : 63-113, 2011

      3 우실하, "한국문화의 심층구조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한민족학회 9 : 137-164, 2009

      4 알렉상드르 파르누, "크노소스:그리스의 원형 미노아 문명" 시공사 1997

      5 다케루베 노부야키, "켈트, 북구의 신들" 들녘 2000

      6 우실하,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었다" 동양사회사상학회 8 : 5-38, 2003

      7 우실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음악" 소나무출판사 2004

      8 우실하, "전통 문화의 구성 원리" 소나무출판사 1998

      9 김재용, "왜 우리신화인가" 동아시아 1999

      10 시마다 마사오, "아시아법사" 서경문화사 2000

      11 우실하,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05-237, 2006

      12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북유럽 신화" 현대지성사 2002

      13 김기선,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민속원 2006

      14 우실하, "몽골 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 Ⅱ : ‘구구(9·9, 九九)’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27) : 87-118, 2009

      15 우실하, "몽골 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고조선단군학회 18 : 307-345, 2008

      16 우실하, "동북아시아 모태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 한국문화심리학회 (창간) : 225-255, 2000

      17 우실하, "동북아 샤머니즘 성수(聖數:3.6.9.81)의 기원에 대하여" 고조선단군학회 10 : 205-240, 2004

      18 이케가미 료타, "도해 북유럽 신화" 에이케이 커뮤니케이션즈 2012

      19 우실하, "도교와 민족종교에 보이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한국도교문화학회 (24) : 99-134, 2006

      20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그림으로 보는 황금가지" 까치 1995

      21 우실하, "구구가, 구구소한도의 기원과 '3수 분화의 세계관'" 동양사회사상학회 (13) : 347-379, 2006

      22 富育光, "薩滿敎與神話" 遼寧大學出版社 1990

      23 郭淑雲, "活着的薩滿: 中國薩滿敎" 遼寧人民出版社 2001

      24 邵國田, "敖漢文物精華" 內蒙古文化出版社 2004

      25 郭淑雲, "原始活態文化: 薩滿敎透視" 上海人民出版社 2001

      26 阿海, "北歐的神話傳說" 遼寧大學出版社 1992

      27 우실하,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의 기원과 홍산문화-홍산문화에 보이는 성수(聖數) 3, 9, 81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4) : 11-63, 2011

      28 Alexander Hislop, "The Two Babylons" Martino Fine Books 2010

      29 A. Parthasarathy, "The Symbolism of Hindu Gods and Rituals" Vedanta Life Institute 2001

      30 R. Ellis Davidson, "God and Myths of the Northern Europe" Penguin Books 1964

      31 Siegfried Morenz, "Egyptian Reli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32 우실하, "3수 분화의 세계관" 소나무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