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정호, "황룡사 구층탑 창건기 사리장엄구와 경문왕대의 공정" 불교미술사학회 28 : 655-675, 2019
2 주경미, "황룡사" 국립경주박물관 2018
3 한재원, "한국 고대 신중상 연구" 홍익대학교 2018
4 한정호, "통일신라 불사리장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5 崔珉熙, "통일신라 3층석탑(三層石塔)의 출현과 『조탑공덕경(造塔功德經)』의 관계 고찰" 위덕대학교 3 : 2003
6 정병삼, "의상화엄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7 최복희, "연기법송에 대한 고찰 - 석장사지 연기법송의 유입" 신라문화연구소 47 : 139-164, 2016
8 김상현, "신라의 사상과 문화" 일지사 1999
9 홍대한, "신라와 고려시대 조탑(造塔)경전의 역할과 기능" 단국사학회 42 : 2011
10 肥田 路美 , "서안(西安)출토 전불(塼佛)의 제작 배경과 그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8) : 273-310, 2017
1 한정호, "황룡사 구층탑 창건기 사리장엄구와 경문왕대의 공정" 불교미술사학회 28 : 655-675, 2019
2 주경미, "황룡사" 국립경주박물관 2018
3 한재원, "한국 고대 신중상 연구" 홍익대학교 2018
4 한정호, "통일신라 불사리장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5 崔珉熙, "통일신라 3층석탑(三層石塔)의 출현과 『조탑공덕경(造塔功德經)』의 관계 고찰" 위덕대학교 3 : 2003
6 정병삼, "의상화엄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7 최복희, "연기법송에 대한 고찰 - 석장사지 연기법송의 유입" 신라문화연구소 47 : 139-164, 2016
8 김상현, "신라의 사상과 문화" 일지사 1999
9 홍대한, "신라와 고려시대 조탑(造塔)경전의 역할과 기능" 단국사학회 42 : 2011
10 肥田 路美 , "서안(西安)출토 전불(塼佛)의 제작 배경과 그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8) : 273-310, 2017
11 강희정, "서산 보원사 사리기와 신라 하대의 해상 교류" 신라사학회 (46) : 155-185, 2019
12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13 강희정, "보원사지 오층석탑 사리함의 연기법송(緣起法頌)과 해상실크로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3) : 38-61, 2014
14 전지혜, "백제양식석탑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2019
15 천득염, "백제양식석탑" 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05
16 松⻑有慶, "밀교경전 성립사론" 불광출판부 1993
17 국립중앙박물관, "문자, 그 이후 : 한국고대문자전" 국립중앙박물관 2011
18 김성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간행 고증에 의한 목판인쇄술의 기원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19 "대정신수대장경 텍스트데이터베이스"
20 문상련, "납탑, 불복장 규범의 새로운 예 - 印佛과 印塔" 동악미술사학회 (31) : 91-120, 2022
21 옥나영, "고대~고려시대 佛頂尊勝陀羅尼 신앙 경향과 성격" 신라문화연구소 57 : 305-327, 2020
22 주경미, "고대 국왕의 진신사리 공양과 정치적 함의" 부경대학교인문사회과학연구소 10 (10): 2009
23 周炅美, "韓國佛舍利莊嚴에 있어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意義" 불교미술사학회 2 : 2004
24 張忠植, "韓國佛敎美術史論" ⺠族社 1987
25 "陜川 海印寺 吉祥塔誌"
26 "開元釋敎錄"
27 張忠植, "錫杖寺址 出土遺物과 釋良志의 彫刻 遺風"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 ․ 4 : 1987
28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 博物館, "錫杖寺址"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 博物館 1994
29 "釋教最上乘秘密藏陁羅尼集"
30 주경미, "遼代朝陽北塔出土經幢硏究" 동악미술사학회 (10) : 181-207, 2009
31 "造塔功德經"
32 임재완, "葛項寺址 東·西 三層石塔에 대한 考察" 동악미술사학회 (17) : 651-673, 2015
33 ⽂明大, "良志와 그의 作品論" 동국대학교 1 : 1973
34 "聖迦抳忿怒⾦剛童⼦菩薩成就儀軌經"
35 "續古今譯經圖紀"
36 那須 真裕美, "縁起法頌とダラニの関連-奉献塔(votive stupa)に納入される銘⽂作例から" 43 : 2011
37 문상련, "納塔經典의 시대적 變遷考" 불교문화연구원 (62) : 337-367, 2012
38 엄기표, "瑞山 普願寺址 五層石塔의 初建 時期와 造成 背景" 한국문화사학회 (58) : 65-104, 2022
39 "無垢淨光大陀羅尼經"
40 "浴像功德經"
41 "浴佛功德經"
42 姜友邦, "新良志論-良志의 活動期와 作品世界-" 국립중앙박물관 47 : 1991
43 張忠植, "新羅石塔硏究" 一志社 1987
44 黃壽永, "新羅法光寺址 第一次 實測調査槪要" 동국대학교 1 : 1973
45 玉娜穎, "新羅時代 密敎經典의 流通과 그 影響" 숙명여자대학교 2017
46 김영미, "新羅佛敎思想史硏究" ⺠族社 1994
47 黃壽永, "新羅 法光寺 石塔記" 백산학회 8 : 1970
48 김지현, "慶州錫杖寺址塼佛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66 (266): 33-62, 2010
49 "慶州 皇⿓寺 九層⽊塔 ⾦銅刹柱本記"
50 李弘稙, "慶州 佛國寺 釋伽塔 發⾒의 無垢淨光大陀羅尼經" 백산학회 4 : 1968
51 "大宋僧史略"
52 段⽴瓊, "唐代善业泥考略及其与藏地擦擦的关系" 13 : 2022
53 陈直, "唐代三泥佛像" 8 : 1959
54 那須 真裕美, "唐代․ 遼代を中心とした縁起法頌の受容と変容 : 造塔供養の観点から(2)" 52 : 2016
55 那須 真裕美, "唐代․ 遼代を中心とした縁起法頌の受容と変容 : 造塔供養の観点から(1)" 50 : 2014
56 "南海寄歸內法傳"
57 松⽊⺠雄, "北京․ 八大処の諸仏塔(上)⻑安寺と霊光寺" 16 : 2003
58 "佛頂尊勝陀羅尼經"
59 "佛說七俱胝佛⺟心大准提陀羅尼經"
60 신종원, "三國遺事 <良志使錫>條 註釋"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0 ․ 41 : 1992
61 "三國遺事"
62 유성열 ; 강대현, "『釋教最上乘秘密藏陁羅尼集』에 나타난 地藏菩薩陁羅尼" 한국불교학회 (74) : 149-172, 2015
63 ⾦聖洙, "『無垢淨光經』의 刊⾏과 關聯한 몇 가지 論證" 한국서지학회 16 : 1998
64 김지현, "『三國遺事』義解 「良志使錫」條를 통해 본 良志의 작품과 활동 시기"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3 : 2012
65 강희정, "‘良志使錫’ 試論-양지의 남방도래 가능성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43) : 121-154, 2015
66 Seunghye Lee, "What Was in the “Precious Casket Seal?: Material Culture of the Karaṇḍamudrā Dhāraṇīthroughout Medieval Maritime Asia" 12 (12): 2021
67 Young-ae Lim, "Facilitating Buddhism through Portable Absolution: Miniature Clay Buddha Tablets (塼佛)and Stupas (塼塔) of the Ōtani Collection" 70 : 2023
68 한정호, "<皇龍寺刹柱本記>와 불사리장엄구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77) : 15-4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