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선덕왕대 良志의 불사활동과 역할 = The Buddhist Activities and Role of Yangji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deok in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2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7세기 신라 승려 양지의 불사 활동과 역할을 선덕왕 대의 시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살피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양지의 작품과 활동을 근거로 그를 서역 또는 남방계 외국인으로 보거나 예술가 또는 장인의 역할을 담당한 승려로 이해하였다. 동시에 양지가 선덕왕 시기에 활동했다는 기록에도 불구하고, 석장사에서 발굴된 유물 연대나 사천왕사의 신장상을 근거로 그가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양지의 작품에 중점을 둔 선행 연구에서 나아가 이 글은 문헌사적 관점에서 양지의 활동에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양지가 만든 것으로 전하는 영묘사 장육상이 선덕왕 시기에 제작된 배경과 해당 불사 활동에 참여한 양지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양지사석조를 검토한 결과 양지의 역할은 예술가보다는 불사에 참여한 승려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측면은 양지의 활동 가운데 영묘사 장육상을 조성할 때의 일화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선덕왕은 내우외환의 상황에서 왕실 사찰인 영묘사에 장육상을 조성하여 민심을 결집하고,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양지는 뛰어난 재주와 수행을 기반으로 공역에 동원된 이들에게 불사 참여가 가지는 불교적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것은 성안의 남녀가 자발적으로 불사에 참여하여 장육상을 완성하였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선덕왕이 도모하고자 했던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을 주도한 양지는 성안의 남녀에게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양지는 왕실과 귀족 중심으로 불교가 신봉되던 신라 사회에서 왕실의 후원을 바탕으로 일반 민에게까지 불교를 알릴 수 있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7세기 신라 승려 양지의 불사 활동과 역할을 선덕왕 대의 시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살피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양지의 작품과 활동을 근거로 그를 서역 또는 남방계 외국인으...

      이 글은 7세기 신라 승려 양지의 불사 활동과 역할을 선덕왕 대의 시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살피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양지의 작품과 활동을 근거로 그를 서역 또는 남방계 외국인으로 보거나 예술가 또는 장인의 역할을 담당한 승려로 이해하였다. 동시에 양지가 선덕왕 시기에 활동했다는 기록에도 불구하고, 석장사에서 발굴된 유물 연대나 사천왕사의 신장상을 근거로 그가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양지의 작품에 중점을 둔 선행 연구에서 나아가 이 글은 문헌사적 관점에서 양지의 활동에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양지가 만든 것으로 전하는 영묘사 장육상이 선덕왕 시기에 제작된 배경과 해당 불사 활동에 참여한 양지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양지사석조를 검토한 결과 양지의 역할은 예술가보다는 불사에 참여한 승려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측면은 양지의 활동 가운데 영묘사 장육상을 조성할 때의 일화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선덕왕은 내우외환의 상황에서 왕실 사찰인 영묘사에 장육상을 조성하여 민심을 결집하고,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양지는 뛰어난 재주와 수행을 기반으로 공역에 동원된 이들에게 불사 참여가 가지는 불교적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것은 성안의 남녀가 자발적으로 불사에 참여하여 장육상을 완성하였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선덕왕이 도모하고자 했던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을 주도한 양지는 성안의 남녀에게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양지는 왕실과 귀족 중심으로 불교가 신봉되던 신라 사회에서 왕실의 후원을 바탕으로 일반 민에게까지 불교를 알릴 수 있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숙, "향가 <풍요>의 민요적 성격과 사설의 의미" 한국민요학회 65 (65): 123-153, 2022

      2 "해동고승전"

      3 장충식, "한국 불교미술 연구" 시공사 2004

      4 최성은, "통일신라 四天王寺 녹유소조신장상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신라사학회 (26) : 165-202, 2012

      5 남동신, "원효의 발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6 서현주,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신라사학회 (42) : 107-147, 2018

      7 한정호, "신라 쌍탑가람의 출현과 신앙적 배경" 석당학술원 (46) : 179-212, 2010

      8 신정훈, "신라 선덕왕대의 구휼이 가진 의미" 택민국학연구원 (21) : 359-380, 2018

      9 김선주, "신라 선덕여왕과 영묘사" 한국고대사학회 (71) : 281-316, 2013

      10 김덕원, "신라 상대 정치와 불교" 문현 2021

      1 서영숙, "향가 <풍요>의 민요적 성격과 사설의 의미" 한국민요학회 65 (65): 123-153, 2022

      2 "해동고승전"

      3 장충식, "한국 불교미술 연구" 시공사 2004

      4 최성은, "통일신라 四天王寺 녹유소조신장상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신라사학회 (26) : 165-202, 2012

      5 남동신, "원효의 발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6 서현주,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신라사학회 (42) : 107-147, 2018

      7 한정호, "신라 쌍탑가람의 출현과 신앙적 배경" 석당학술원 (46) : 179-212, 2010

      8 신정훈, "신라 선덕왕대의 구휼이 가진 의미" 택민국학연구원 (21) : 359-380, 2018

      9 김선주, "신라 선덕여왕과 영묘사" 한국고대사학회 (71) : 281-316, 2013

      10 김덕원, "신라 상대 정치와 불교" 문현 2021

      11 "신당서"

      12 정연식, "선덕여왕의 이미지 창조" 한국사연구회 (147) : 83-119, 2009

      13 김명준, "선덕여왕(善德女王) 대 <풍요(風謠)>의 불교정치적 의미" 우리문학회 (39) : 7-40, 2013

      14 김두진,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연구" 일조각 2014

      15 신종원, "삼국유사 깊이 읽기" 주류성 2019

      16 "삼국유사"

      17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불광출판부 1990

      18 "삼국사기"

      1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 녹유신장벽전 복원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20 김선기, "바람결 노래-신라 노래-" 159 : 1968

      21 "구당서"

      22 옥나영, "관정경과 7세기 신라 밀교" 한국역사연구회 (63) : 249-277, 2007

      23 張忠植, "錫杖寺址 出土遺物과 釋良志의 彫刻 遺風"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 ․ 4 : 1987

      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錫杖寺址"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 博物館 1994

      25 ⽂明大, "良志와 그의 作品論" 동국대학교 박물관 1 : 1973

      26 박남수, "眞殿寺院의 기원과 新羅 成典寺院의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41) : 73-101, 2012

      27 姜友邦, "新良志論 : 良志의 活動期와 作品世界" 국립중앙박물관 47 : 1991

      28 김영미, "新羅佛敎思想史硏究" ⺠族社 1994

      29 呂聖九, "新羅中代 留學僧의 地盤과 그 活動" 한국사학회 41 : 1990

      30 ⾦杜珍, "新羅 眞平王代의 釋迦佛信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0 : 1988

      31 소현숙, "新羅 皇龍寺 丈六像의 淵源과 性格 -6세기 중국 南北朝時代 ‘政治的 瑞像’과 比較分析을 통한 연구" 한국고대학회 (37) : 5-30, 2012

      32 ⽂明大, "新羅 大彫刻匠 良志論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국미술사학회 23 : 2001

      33 원영만, "元曉의 불교대중화 일고 - 귀족불교에서 가항불교로 -" 한국정토학회 (10) : 385-428, 2007

      34 南東信, "元曉의 大衆敎化와 사상체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35 김영미, "元曉의 大衆 敎化⾏"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9 (9): 2008

      36 신종원, "三國遺事 <良志使錫>條 註釋"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0 ․ 41 : 1992

      37 황병익, "『삼국유사』 양지사석(良志使錫) 조와 <풍요(風謠)>의 의미 고찰" 한국시가문화학회 (39) : 245-284, 2017

      38 김상현, "『三國遺事』 義解篇의 內容과 性格"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4 : 2013

      39 김지현, "『三國遺事』 義解 「良志使錫」條를 통해 본 良志의 작품과 활동 시기"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3 : 2012

      40 최병헌, "『三國遺事』 「義解」편과 신라불교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3 : 2012

      41 ⾦福順, "⽂武王의 佛敎政策"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6 : 1999

      42 강희정, "‘良志使錫’ 試論-양지의 남방도래 가능성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43) : 121-15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