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론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적용: 일본의 에너지·환경 공론화 사례를 중심으로 =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Deliberative Process: The Case of Deliberative Process regarding Japan Energy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19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deliberative process regarding Japan energy policy after East Japan Great Earthquake and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particular, it reviewed the necessity and success preconditions of deliberative process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bout deliberative process and deliberative democracy suggested by Fishikin(2009).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deliberative process were representatively selected among the people; they were provid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and equal discussion condition in the deliberative process; and their policy attitudes were changed through learning process. The deliberative process case in Japan indicated that even though deliberative process was necessary for solving policy problem with high attention from people and controversy, successive strategies for deliberative process were required for having the active support from people and government, the participants' representatives, and their sufficient deliberation. The Japan case results give us implications for desirable deliberative process in Korea.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d the deliberative process regarding Japan energy policy after East Japan Great Earthquake and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particular, it reviewed the necessity and success preconditions of deliberative process based on the the...

      This research examined the deliberative process regarding Japan energy policy after East Japan Great Earthquake and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particular, it reviewed the necessity and success preconditions of deliberative process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bout deliberative process and deliberative democracy suggested by Fishikin(2009).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deliberative process were representatively selected among the people; they were provid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and equal discussion condition in the deliberative process; and their policy attitudes were changed through learning process. The deliberative process case in Japan indicated that even though deliberative process was necessary for solving policy problem with high attention from people and controversy, successive strategies for deliberative process were required for having the active support from people and government, the participants' representatives, and their sufficient deliberation. The Japan case results give us implications for desirable deliberative process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위키백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2 김정인, "행정형 ADR 기구 유형 재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761-787, 2015

      3 연합뉴스, "콜린스 사전 올해의 단어는 '가짜뉴스'…트럼프가 일등공신"

      4 김정인, "지방의회 의원의 전문성과 다양성의 관계"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69-193, 2017

      5 최승은, "일본의 ‘에너지백서 2013’ 주요 내용과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6 김정인, "인간과 조직: 현재와 미래" 박영사 2016

      7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용어사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8 김대영, "공론화를 위한 정치평론의 두 전략: 비판전략과 매개전략" 한국정치학회 38 (38): 117-141, 2004

      9 다음 국어사전, "공론"

      10 김정인, "공공리더십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313-339, 2017

      1 위키백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2 김정인, "행정형 ADR 기구 유형 재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7 (27): 761-787, 2015

      3 연합뉴스, "콜린스 사전 올해의 단어는 '가짜뉴스'…트럼프가 일등공신"

      4 김정인, "지방의회 의원의 전문성과 다양성의 관계"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69-193, 2017

      5 최승은, "일본의 ‘에너지백서 2013’ 주요 내용과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6 김정인, "인간과 조직: 현재와 미래" 박영사 2016

      7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용어사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8 김대영, "공론화를 위한 정치평론의 두 전략: 비판전략과 매개전략" 한국정치학회 38 (38): 117-141, 2004

      9 다음 국어사전, "공론"

      10 김정인, "공공리더십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313-339, 2017

      11 김정인, "공공기관 노조 메시지의 언론 프레임과 국민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공사 파업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6 (26): 117-143, 2016

      12 정정화, "공공갈등과 합의형성 : 심의민주주의 방식의 적용과 한계" 한국정부학회 23 (23): 577-604, 2011

      13 エネルギー・環境会議, "革新的エネルギー・環境戦略"

      14 日本 経済産業省, "平成23年度エネルギーに関する年次報告" 2012

      15 村上圭子, "公共政策形成と世論の 新たなステージ" NHK放送文化研究所 放送メディア研究部 2016

      16 エネルギー・環境の選択肢に関する討論型世論調査 実行委員会, "エネルギー・環境の選択肢に関する討論型世論調査 調査報告書" 2012

      17 討論型世論調査 第三者検証委員会, "エネルギー・環境の選択肢に関する討論型世論調査" 2012

      18 エネルギー・環境会議, "エネルギー・環境に関する選択肢"

      19 日本経済新聞, "「原発ゼロ」 7割超す 意見聴取会アンケート本社集計"

      20 Fishkin, J. S., "When the people speak: Deliberation democracy & public consul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1 Elstub, S., "The third generation of deliberative democracy" 8 : 291-307, 2010

      22 Bohman, J., "Public deliberation: Pluralism, complexity, and democracy" MIT Press 1996

      23 Steenbergen, M. R., "Measuring political deliberation: A discourse quality index" 1 (1): 21-48, 2003

      24 Barrett, G., "Democracy in motion:Evaluating the practice and impact of deliberative civic eng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5 Gutmann, A., "Democracy and disagre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26 Elstub, S., "Deliberative democracy: Issues and cases" Edinburg University Press 2014

      27 Nelbo, M. A., "Deliberative democrac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8 Felicetti, A., "Deliberative democracy and social movements" Rowman &Littlefield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1 1.1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