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5일의 6% 처리구에서 TBARS 값이 0.067, 8%, 0.082, 10%, 0.093 mgMA/kg으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 명도(L*), 황색도(b*)는 함수율에 따라 일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75778
2005
-
527
학술저널
255-258(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닭고기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5일의 6% 처리구에서 TBARS 값이 0.067, 8%, 0.082, 10%, 0.093 mgMA/kg으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 명도(L*), 황색도(b*)는 함수율에 따라 일정...
닭고기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5일의 6% 처리구에서 TBARS 값이 0.067, 8%, 0.082, 10%, 0.093 mgMA/kg으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 명도(L*), 황색도(b*)는 함수율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함수율에 따른 총 세균수는 저장 3일 6% 처리구에서 2.87, 8%, 2.93, 10%, 2.90 log CFU/cm<sup>2</sup>로 처리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5일에서 6% 처리구는 3.03, 8%, 3.01, 10%, 3.13 log CFU/cm<sup>2</sup>로 10%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함수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닭고기 냉장(4℃) 저장에 따른 Torry meter 및 K 값의 변화
닭고기 냉동(-20℃) 저장에 따른 Torry meter 및 K 값의 변화
우유의 콜레스테롤 제거를 위한 가교화 β-Cyclodextrin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