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관리적 차원을 고려한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ementia by considering nurse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88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노인치매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부상되고 있는데,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00년 말 현재 65세 이상 인구의 8.3%인 약 28만 명으로 집계된 바 있으며 다가오는 2020년에는 거의 3배에 가까운 약 69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어 노인치매에 대한 대응은 이제 중대한 사회문제이자 국가적인 현안문제로서 해결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1999년 노인보건복지 중·장기발전계획"에 의해 치매전문요양병원은 각 시, 도에 1개소 이상의 건립을 목표로 국고와 재정으로부터 50%를 출자하여 현재 10개소가 시·도립으로 건립, 운영되어있고, 2004년까지 18개소가 신축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관리적 조건에 의한 건축공간구성을 분석하여 치료나 요양에 합리적인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논한다.
      2장에서는 노인문제의 현황 및 치매의 개념을 파악하고 치매전문요양병원의 현황을 검토하여 국내·외 시설기준과 국외사례조사를 통하여 치매전문요양병원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현재 설립·운영되고 있는 국내 치매전문요양병원을 도면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일반적 사항들을 검토하고 건축적 공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조사대상병원의 각 부문의 공간구성 및 상호관계, 층별 구성형태를 분석하고 병원종사자의 공간규모 및 구성의 만족도 평가를 분석 종합하여 치매환자의 가장 적절한 공간구성방안을 검토하여 이에 대한 공간구성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5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로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구성에 대하여 종합고찰 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치매전문요양병원의 전체 공간 구성
      치매전문요양병원은 의료법의 요양병원으로 병동부문, 외래진료부문, 중앙진료부문, 공급부문, 관리부문의 5부문으로 나누어지고, 각 공간의 배치는 외부와의 관계성, 동선의 주체 및 성격, 부문간의 상호관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체공간구성은 1층의 홀을 중심으로 관리부문과 의료서비스의 외래진료부문과 중앙 진료부문을 구성계획하고, 외래진료부문과 중앙 진료부문은 수평 연계하여 배치한다. 병동부문은 지상 2층부터, 공급부문은 지하층에 배치구성하며, 다른 부문들과는 수직 연계하여 배치한다. 중앙 진료부문의 물리치료실과 재활 치료실은 치매환자를 위한 수직이동 동선계획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① 병동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공용 공간(배회복도 등)을 중심으로 간호공간과 환자공간을 연결배치하고, 간호공간은 관리공간과 근접하여 배치한다. 또한 간호공간은 치매환자들의 거동을 살피는데 편리하고 간호하기 용이하게 배치계획하고, 특히 치매전문요양병원은 치매환자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간호공간을 수직·수평 이동동선 매개체인 코아(엘리베이터, 계단)근접하게 배치하여 환자들의 관리·통제에 유리하도록 계획한다.
      ②외래진료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접근하기 쉬운 1층 홀에 근접하여 배치한다. 또한 처치실과 수평 연계하여 배치하고, 진료를 기다리는 동안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는 진찰대기실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중앙 진료부문과 관리부문의 원무과 등은 환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수평연계 하여 공간구성을 계획한다.
      ③ 중앙 진료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크게 홀을 중심으로 외래진료부문, 관리 부문과 수평배치하고 물리치료실과 재활치료실은 치매노인환자의 동선단축을 고려하여 특성상 병동부문과 수평 연계하여 배치하고 수직적 이동동선이 요구되어 진다.
      ④ 관리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주 출입구와 로비에 인접하여 배치하고 또한 외래진료부문, 중앙 진료부문에 수평적으로 근접하여 배치한다. 공급부문과는 수직 연계하여 배치하고, 휴게 공간 및 탈의실 등 종사자를 위한 공간과 각 부서별 각종자료 및 서류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고려하여 계획한다.
      ⑤ 공급부문의 공간구성 계획은 관리부문 등 다른 부문과는 수직 연계하여 동선계획을 하고 약제부, 급식부, 보급부, 세탁부등의 물품반입의 동선 및 경로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또한 환기, 채광 등의 위생문제를 고려하여 선 큰, 드라이에어리어를 부수적으로 배치 계획한다.
      2.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규모
      1)치매전문요양의 규모 구성비
      치매전문요양병원은 병동부문:1.9%, 외래진료부문:2.9%, 중앙 진료부문:7.8%, 관리부문:5.6%, 공급부문:18%의 평균구성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병동부문은 환자공간:47.74%, 간호공간:6.41%, 공용공간:43.24%, 관리공간:2.63%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종합병원과 비교하면 병동부문이 1.63배, 외래진료부문 0.2배, 공급부문 0.46배, 관리부문 0.69배로 병동부문이 가장 많은 구성비가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계획에 있어서 최첨단의료장비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보다는 장기 요양하는 환자에게 친숙하고 가정적인 생활서비스공간으로 계획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2)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규모 모델 제시
      선행연구, 사례조사 및 관리자의 선호도 평가를 통하여 산출한 치매전문요양병원의 선정기준 면적은 병동부문: 14.9∼19.8㎡/병상( 환자공간: 6.6∼8.3㎡/병상, 간호공간: 0.9∼1.3㎡/병상, 공용공간: 6.9∼9.4㎡/병상, 관리공간: 0.5∼0.8㎡/병상), 외래진료부문: 0.5∼l.1㎡/병상, 중앙 진료부문: 1.4∼3.2㎡/병상, 관리부문: 1.5∼l.9㎡/병상, 공급부문: 3.0∼6.2㎡/병상을 종합하면, 병원의 순수 병상당 바닥면적은 21.3∼32.2㎡에 대해 [보통이상( 50%이상)]의 만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규모계획은 현 건립된 병원에 대한 평가내용이 (보통), (불만족) 응답 비율이 많게 나타났으므로 차후 치매전문요양병원 건축계획 시 시설기준 면적을 최대한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치매노인시설의 현황과 치매전문요양병원의 전반적인 건축공간구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으로서, 차기 연구과제로는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요소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이용 증가율을 추정하여 각 부문의 시설현황과 건축계획에 관한 세부적인 기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노인치매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부상되고 있는데,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00년 말 현재 65세 이상 인구의 8.3%인 약 28만 명으로 집계된 바 있으며 다가오는 2020...

      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노인치매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부상되고 있는데,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00년 말 현재 65세 이상 인구의 8.3%인 약 28만 명으로 집계된 바 있으며 다가오는 2020년에는 거의 3배에 가까운 약 69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어 노인치매에 대한 대응은 이제 중대한 사회문제이자 국가적인 현안문제로서 해결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1999년 노인보건복지 중·장기발전계획"에 의해 치매전문요양병원은 각 시, 도에 1개소 이상의 건립을 목표로 국고와 재정으로부터 50%를 출자하여 현재 10개소가 시·도립으로 건립, 운영되어있고, 2004년까지 18개소가 신축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관리적 조건에 의한 건축공간구성을 분석하여 치료나 요양에 합리적인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논한다.
      2장에서는 노인문제의 현황 및 치매의 개념을 파악하고 치매전문요양병원의 현황을 검토하여 국내·외 시설기준과 국외사례조사를 통하여 치매전문요양병원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현재 설립·운영되고 있는 국내 치매전문요양병원을 도면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일반적 사항들을 검토하고 건축적 공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조사대상병원의 각 부문의 공간구성 및 상호관계, 층별 구성형태를 분석하고 병원종사자의 공간규모 및 구성의 만족도 평가를 분석 종합하여 치매환자의 가장 적절한 공간구성방안을 검토하여 이에 대한 공간구성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5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로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구성에 대하여 종합고찰 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치매전문요양병원의 전체 공간 구성
      치매전문요양병원은 의료법의 요양병원으로 병동부문, 외래진료부문, 중앙진료부문, 공급부문, 관리부문의 5부문으로 나누어지고, 각 공간의 배치는 외부와의 관계성, 동선의 주체 및 성격, 부문간의 상호관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체공간구성은 1층의 홀을 중심으로 관리부문과 의료서비스의 외래진료부문과 중앙 진료부문을 구성계획하고, 외래진료부문과 중앙 진료부문은 수평 연계하여 배치한다. 병동부문은 지상 2층부터, 공급부문은 지하층에 배치구성하며, 다른 부문들과는 수직 연계하여 배치한다. 중앙 진료부문의 물리치료실과 재활 치료실은 치매환자를 위한 수직이동 동선계획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① 병동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공용 공간(배회복도 등)을 중심으로 간호공간과 환자공간을 연결배치하고, 간호공간은 관리공간과 근접하여 배치한다. 또한 간호공간은 치매환자들의 거동을 살피는데 편리하고 간호하기 용이하게 배치계획하고, 특히 치매전문요양병원은 치매환자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간호공간을 수직·수평 이동동선 매개체인 코아(엘리베이터, 계단)근접하게 배치하여 환자들의 관리·통제에 유리하도록 계획한다.
      ②외래진료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접근하기 쉬운 1층 홀에 근접하여 배치한다. 또한 처치실과 수평 연계하여 배치하고, 진료를 기다리는 동안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는 진찰대기실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중앙 진료부문과 관리부문의 원무과 등은 환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수평연계 하여 공간구성을 계획한다.
      ③ 중앙 진료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크게 홀을 중심으로 외래진료부문, 관리 부문과 수평배치하고 물리치료실과 재활치료실은 치매노인환자의 동선단축을 고려하여 특성상 병동부문과 수평 연계하여 배치하고 수직적 이동동선이 요구되어 진다.
      ④ 관리부문의 공간구성계획은 주 출입구와 로비에 인접하여 배치하고 또한 외래진료부문, 중앙 진료부문에 수평적으로 근접하여 배치한다. 공급부문과는 수직 연계하여 배치하고, 휴게 공간 및 탈의실 등 종사자를 위한 공간과 각 부서별 각종자료 및 서류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고려하여 계획한다.
      ⑤ 공급부문의 공간구성 계획은 관리부문 등 다른 부문과는 수직 연계하여 동선계획을 하고 약제부, 급식부, 보급부, 세탁부등의 물품반입의 동선 및 경로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또한 환기, 채광 등의 위생문제를 고려하여 선 큰, 드라이에어리어를 부수적으로 배치 계획한다.
      2.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규모
      1)치매전문요양의 규모 구성비
      치매전문요양병원은 병동부문:1.9%, 외래진료부문:2.9%, 중앙 진료부문:7.8%, 관리부문:5.6%, 공급부문:18%의 평균구성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병동부문은 환자공간:47.74%, 간호공간:6.41%, 공용공간:43.24%, 관리공간:2.63%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종합병원과 비교하면 병동부문이 1.63배, 외래진료부문 0.2배, 공급부문 0.46배, 관리부문 0.69배로 병동부문이 가장 많은 구성비가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계획에 있어서 최첨단의료장비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보다는 장기 요양하는 환자에게 친숙하고 가정적인 생활서비스공간으로 계획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2)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규모 모델 제시
      선행연구, 사례조사 및 관리자의 선호도 평가를 통하여 산출한 치매전문요양병원의 선정기준 면적은 병동부문: 14.9∼19.8㎡/병상( 환자공간: 6.6∼8.3㎡/병상, 간호공간: 0.9∼1.3㎡/병상, 공용공간: 6.9∼9.4㎡/병상, 관리공간: 0.5∼0.8㎡/병상), 외래진료부문: 0.5∼l.1㎡/병상, 중앙 진료부문: 1.4∼3.2㎡/병상, 관리부문: 1.5∼l.9㎡/병상, 공급부문: 3.0∼6.2㎡/병상을 종합하면, 병원의 순수 병상당 바닥면적은 21.3∼32.2㎡에 대해 [보통이상( 50%이상)]의 만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규모계획은 현 건립된 병원에 대한 평가내용이 (보통), (불만족) 응답 비율이 많게 나타났으므로 차후 치매전문요양병원 건축계획 시 시설기준 면적을 최대한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치매노인시설의 현황과 치매전문요양병원의 전반적인 건축공간구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으로서, 차기 연구과제로는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요소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이용 증가율을 추정하여 각 부문의 시설현황과 건축계획에 관한 세부적인 기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elderly Korea has been changed to an advanced aging society. Elderly with dementia in an advanced aging society has been a social problem. Government is planning to build more a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in every year according to elderly health programs.
      This thesis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 architectural plan for curing and medical treatment in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with analyzing existing facilities.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The 1st chapter, the study will address the back ground and purpose and take look at the scope and the method of the study.
      The 2nd chapter, this study looks at the meaning of dementia and problems of elderly, and researches the condition of the specialized hospital for dementia. And it will address the basic theories though analyzing the case of abroad and domestic facilities.
      The 3rd chapter, by the investigate of the plan of existing facilities and the researches this shows the spatial function and the character of spatial organization.
      The 4th chapter,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 of each part in selected hospitals, examine the most proper spatial pla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spatial size and organization by employees and present basic datum on spatial organization.
      The 5th Chap. approach of understanding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is discussed to finaliz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result is :
      1) The Spatial of the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ementia : The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is divided into five parts -The ward, Out Patient Departmen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Support Department, Administration Department, each spaces is distributed in accordance to the relation to the outside, the subject of circulations and the nature and the reciprocal relation of each parts.
      It is organized administration dept., out patien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around a main hall, and out patient an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are distributed with the horizontal connection. The ward locates from 2nd story and support dept. is planned in underground in regard to vertical connection with other parts. physics lab.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and Rehabitation Department should be distribut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circulation of people for dementia.
      2) The Size of Specialized Hospital for Dementia :
      From studies, researches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f administrators, area/bed of the average and over satisfaction(more 50%) was calculated and very satisfaction was excluded because it is not economical.
      Calculated areas are : The ward: 14.9∼1 9.8㎡/bed (patient area16.6∼8.3㎡/bed, nusing area:0.9∼1.3㎡/bed, public area:6.9∼9.4㎡/bed , administration area:0.5∼0.8㎡/bed), Synthesizing out patient.:0.5∼1.1㎡/be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1.4∼3.2㎡/bed, administration Department:1.5∼1.9㎡/bed and Support Department:3.0∼6.2㎡/bed.
      The result shows that the floor area per bed is 21.3∼32.2㎡ in average and over satisfaction. Reflecting upon average and dissatisfaction in the evaluation appeared with high ratio space program should be adopted in consideration of facilities standard area.
      This study is to look at current situation and general organizations of specialized hospital for dementia. In next stage the space usage of it should be investigated, and estimating an increasing rate of the usage, detail standard on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and planning is to be studied.
      번역하기

      With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elderly Korea has been changed to an advanced aging society. Elderly with dementia in an advanced aging society has been a social problem. Government is planning to build more a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in every ...

      With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elderly Korea has been changed to an advanced aging society. Elderly with dementia in an advanced aging society has been a social problem. Government is planning to build more a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in every year according to elderly health programs.
      This thesis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 architectural plan for curing and medical treatment in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with analyzing existing facilities.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The 1st chapter, the study will address the back ground and purpose and take look at the scope and the method of the study.
      The 2nd chapter, this study looks at the meaning of dementia and problems of elderly, and researches the condition of the specialized hospital for dementia. And it will address the basic theories though analyzing the case of abroad and domestic facilities.
      The 3rd chapter, by the investigate of the plan of existing facilities and the researches this shows the spatial function and the character of spatial organization.
      The 4th chapter,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 of each part in selected hospitals, examine the most proper spatial pla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spatial size and organization by employees and present basic datum on spatial organization.
      The 5th Chap. approach of understanding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is discussed to finaliz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result is :
      1) The Spatial of the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ementia : The specialized dementia hospital is divided into five parts -The ward, Out Patient Departmen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Support Department, Administration Department, each spaces is distributed in accordance to the relation to the outside, the subject of circulations and the nature and the reciprocal relation of each parts.
      It is organized administration dept., out patien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around a main hall, and out patient an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are distributed with the horizontal connection. The ward locates from 2nd story and support dept. is planned in underground in regard to vertical connection with other parts. physics lab.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and Rehabitation Department should be distribut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circulation of people for dementia.
      2) The Size of Specialized Hospital for Dementia :
      From studies, researches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f administrators, area/bed of the average and over satisfaction(more 50%) was calculated and very satisfaction was excluded because it is not economical.
      Calculated areas are : The ward: 14.9∼1 9.8㎡/bed (patient area16.6∼8.3㎡/bed, nusing area:0.9∼1.3㎡/bed, public area:6.9∼9.4㎡/bed , administration area:0.5∼0.8㎡/bed), Synthesizing out patient.:0.5∼1.1㎡/be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Department: 1.4∼3.2㎡/bed, administration Department:1.5∼1.9㎡/bed and Support Department:3.0∼6.2㎡/bed.
      The result shows that the floor area per bed is 21.3∼32.2㎡ in average and over satisfaction. Reflecting upon average and dissatisfaction in the evaluation appeared with high ratio space program should be adopted in consideration of facilities standard area.
      This study is to look at current situation and general organizations of specialized hospital for dementia. In next stage the space usage of it should be investigated, and estimating an increasing rate of the usage, detail standard on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and planning is to be stud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ⅴ
      • 표목차 = ⅶ
      • 그림목차 = ⅹ
      • 1. 서론 = 1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ⅴ
      • 표목차 = ⅶ
      • 그림목차 = ⅹ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 2. 치매전문요양병원의 현황과 이론적 고찰 = 4
      • 2-1.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개념 = 4
      • 2-1-1. 고령화 사회 = 4
      • 2-1-2. 치매의 개념 = 7
      • 2-1-3.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개념 및 필요성 = 11
      • 2-2. 치매전문요양병원의 시설현황 = 12
      • 2-2-1. 시설현황 = 12
      • 2-2-2. 치매 노인의료 복지시설 유형 = 14
      • 2-3. 국내·외 시설기준 및 사례분석 = 16
      • 2-3-1. 국내·외 시설기준 = 16
      • 2-3-2. 국외 사례 분석 = 19
      • 3.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건축적 고찰 및 실태조사 = 27
      • 3-1. 조사대상선정 및 방법 = 27
      • 3-1-1. 조사대상선정 = 27
      • 3-1-2. 조사방법 = 27
      • 3-2. 조사대상 병원의 시설현황 = 28
      • 3-2-1. 건축개요 = 28
      • 3-2-2. 입소노인의 현황 = 37
      • 3-3. 조사대상병원의 건축적 고찰 = 39
      • 3-3-1. 건물입지 및 배치형태 = 39
      • 3-3-2. 전체 공간구성 = 44
      • 3-3-3. 각 부문별 공간구성 = 45
      • 4. 치매전문요양병원의 공간구성 형태분석 = 66
      • 4-1. 전체 공간구성 계획 = 66
      • 4-1-1. 병원규모 계획 = 66
      • 4-1-2. 공간별 상관관계 = 70
      • 4-2. 공간구성 계획 = 71
      • 4-2-1. 치매전문요양병원공간 기본공간구성계획 = 71
      • 4-2-2. 공간규모 계획 = 80
      • 4-3. 소결 = 90
      • 5. 결론 = 94
      • 참고문헌 = 98
      • ABSTRACT = 101
      • 부록 =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