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팀은 ‘인터넷 소비문화’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을 통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렌드와 인터넷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소비자들의 역학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6108
-
2014년
Korean
소셜미디어와 소비 ; 문화 ; Internet landscape ; Semantic Network ; Social Media ; Internet ; Social Network ; Diffusion ; Network ; 공유가치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팀은 ‘인터넷 소비문화’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을 통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렌드와 인터넷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소비자들의 역학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
본 연구팀은 ‘인터넷 소비문화’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을 통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렌드와 인터넷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소비자들의 역학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 내 공동세미나를 통해 소비자 구매 경험의 전방위적 이해 및 구매의사결정 과정의 각 단위나 구매에 소셜네트워크가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여 결과를 논문으로 작성해서 학회와 저널에 발표했다. 또한 그 결과에 기반하여 인터넷 시대의 소비문화적 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제일기획과의 산학 협력을 통해 무선 및 유선 인터넷에서의 소비자 행동을 추적한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인식/인지/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패널들의 오프라인 행동을 추적하기 위한 서베이를 함께 실시하여 그간 유래가 없었던 소비자의 온/오프라인 행동 결합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단기적으로 Social Media에서 정보가 어떻게 공유되고 확산되는지와 같은 일련의 흐름을 살펴보았으며, 중기적으로는 인터넷으로 인해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렌드와 인터넷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소비자들의 역학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중기의 연구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 비교문화적 연구를 함으로써 한국 인터넷 문화가 가지는 특수성과 국제적 보편성을 규명하여 인터넷과 소비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개별 커뮤니티, 복수의 커뮤니티, 국가간 커뮤니티의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그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확보하여 사회연결망과 의미연결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개별 커뮤니티에 단위에서의 이슈/정보의 확산, 커뮤니티간의 이슈/정보의 확산, 국가간 이슈/정보의 확산이라는 구조적이고 역학적인 설명이 가능해 지도록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Research team has studied to find consumer’s trends which are changed through the Internet and dynamics of consumers who interact on the Internet. Through the joint seminar in our research team, we exerted great efforts to explain that Social Ne...
Our Research team has studied to find consumer’s trends which are changed through the Internet and dynamics of consumers who interact on the Internet. Through the joint seminar in our research team, we exerted great efforts to explain that Social Network has impact on the each part of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or purchase and omnidirectional comprehension of experiences of consumer’s purchase. For our efforts, we could write some articles and publish at some related association. Based on the results, our group build up panel’s data which track the activity of consumers on the wired and wireless Internet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with Cheil Worldwide to deduct variables of consumer culture in the Internet era. Also, we was conduct with surveys for tract for panel’s offline behavior that learn for change of communicate awareness/recognition/interaction.
In the meantime, we had built that the consumer’s behavior combination data on on-line and off-line was not derived from. Therefore, in the short term, we looked at a series of flow such as how shared and Information is spread on social Media. In the medium term, we looked at changing consumer Internet trends and consumers interact at the relationship dynamics on the Internet. Furthermore, by researching comp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