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 데이터 공개 현황 데이터 수집 및 성숙도 측정 개방된 데이터 현황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공공데이터 포털의 현황을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인 공개된 데이터의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8398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공공 데이터 공개 현황 데이터 수집 및 성숙도 측정 개방된 데이터 현황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공공데이터 포털의 현황을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인 공개된 데이터의 수...
● 공공 데이터 공개 현황 데이터 수집 및 성숙도 측정
개방된 데이터 현황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공공데이터 포털의 현황을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인 공개된 데이터의 수, 범위, 데이터 유형, 활용사례의 수 등을 활용하여 공공데이터의 성숙도를 정의하고 성숙도를 추적할 필요가 있다. 수집된 현황데이터와 성숙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OPEN API에 기반한 웹 서비스를 운영한다.
● 공공 데이터 품질 측정
개방된 공공데이터의 품질은 활용을 활성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파일로 공개된 데이터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방식의 데이터 품질 측정이 가능하며, 데이터 분야별로 발생하는 품질의 문제에 대해서 분석할 수 있다. 발견된 품질 문제에 기반하여 제공자들이 데이터 준비에 있어서 마련해야 할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 공공 데이터에 대한 소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공공데이터에 기반한 모바일 앱들의 리뷰를 수집하여 리뷰에 포함된 다양한 속성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다. 발견된 토픽별로 감성분석 등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반응을 시계열 데이터로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 데이터의 품질이나 사용자들이 이에 기반한 서비스에 느끼는 반응을 추적한다. 사용자들이 느끼는 반응이 공공 데이터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활성화 시사점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공공 데이터 활용도 측정 및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연구
활용 데이터와 서비스를 연결 관계로 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기반 클러스터링을 통해 유사 데이터 클러스터, 유사 서비스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클러스터별로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며, 활용도가 높은 클러스터와 그렇지 못한 클러스터를 파악할 수 있다. 활용도에 따라 클러스터 별로 다른 공개데이터 지원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 공공 데이터 활용 기업들의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 데이터 활용지원 전략 도출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활용 과정과 활용 이후의 유지 관리, 공공데이터 공개 과정, 공공데이터 제공 분쟁조정 과정 등의 공공데이터 공개와 활용과 관련된 각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데이터 공개 과정과 활용 단계에서의 어려움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필요한 정책적 지원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FCM은 그래프에 표현된 각 노드들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할 수 있으며, 타겟 노드에 대해 다른 노드들이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서비스들로 추출된 수치에 기반하여 구성된 FCM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 데이터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공공 데이터 활성화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공공 데이터 활용 수준 국가간 비교
국내 공공데이터 포털에 대한 정기적 자료 수집과 성숙도 지표를 구축한 이후에는 비교대상이 되는 나라들의 공공데이터 포털(예: data.gov.uk)도 동일한 관점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의 공공데이터 성숙도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