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CD 기반 평가 문항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 =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ECD-based Evaluation I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1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증거 중심 설계 원리에 기반을 두어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문항을 활용하여 실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 속하는 구인을 도출하고 해당 구인을 평가할 수 있는 8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문항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상·중·하 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동일한 학년의 초등학생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필요하다는 점, 디지털 원주민라고 불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증거 중심 설계 원리에 기반을 두어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문항을 활용하여 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증거 중심 설계 원리에 기반을 두어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문항을 활용하여 실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 속하는 구인을 도출하고 해당 구인을 평가할 수 있는 8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문항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상·중·하 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동일한 학년의 초등학생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필요하다는 점, 디지털 원주민라고 불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evidence-centered design(ECD) were used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8 items were developed to derive constructs belonging to the digital literacy understanding domain and expression domain and to evaluate the constructs. Evaluation was conducted on 54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ch item were varied, and ite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were also identified. This aspect primarily implies that the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reasonably evaluate the digi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shows that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me grade show differences in their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tool that can determin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ed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lled digital nativ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evidence-centered design(ECD) were used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prac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evidence-centered design(ECD) were used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8 items were developed to derive constructs belonging to the digital literacy understanding domain and expression domain and to evaluate the constructs. Evaluation was conducted on 54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ch item were varied, and ite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were also identified. This aspect primarily implies that the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reasonably evaluate the digi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shows that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me grade show differences in their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tool that can determin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ed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lled digital na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은희,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CRC 2021-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2 정현선,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독서학회 (33) : 127-170, 2014

      3 옥현진,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45-68, 2015

      4 김인숙,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37-459, 2020

      5 서수현,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 성취기준 연구" 한국작문학회 (41) : 161-190, 2019

      6 옥현진,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국어교육연구소 (41) : 81-112, 2018

      7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8 양길석,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교육연구원 40 (40): 199-222, 2020

      9 유상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교과교육연구소 22 (22): 264-273, 2018

      10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2) : 7-39, 2017

      1 노은희,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CRC 2021-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2 정현선,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독서학회 (33) : 127-170, 2014

      3 옥현진,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45-68, 2015

      4 김인숙, "증거 중심 설계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37-459, 2020

      5 서수현,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 성취기준 연구" 한국작문학회 (41) : 161-190, 2019

      6 옥현진,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 국어교육연구소 (41) : 81-112, 2018

      7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8 양길석,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교육연구원 40 (40): 199-222, 2020

      9 유상희, "상황 기반 리터러시 평가를 위한 시론: 리터러시 평가에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교과교육연구소 22 (22): 264-273, 2018

      10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2) : 7-39, 2017

      11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청람어문교육학회 (66) : 133-166, 2018

      12 노들,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44) : 145-176, 2020

      13 노은희,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RRC 2018-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4 Mislevy, R. J., "Implications for evidence-centered design for educational assessment" 25 : 6-20, 2006

      15 Mislevy, R. J., "Evidence-centered design: Layers, structures, and terminology" SRI International 2005

      16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9 (9): 1-6, 2001

      17 김영주,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