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종연,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동국대 1992
2 이봉범, "잡지 『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학회 22 (22): 105-137, 2007
3 정종현, "식민지 후반기 한국문학에 나타난 동양론 연구" 동국대 2006
4 황종연, "문장파 문학의 정신사적 성격" 동악어문학회 21 : 1986
5 류준형, "문장지의 시조 작품 연구" 국어국문학회 95 : 1986
6 김이상, "문장지의 시 연구1" 한국어문교육학회 5 : 1982
7 김윤식, "문장지의 세계관 in: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80
8 이숭원, "문장지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시고" 한국어교육학회 36 : 1980
9 이명희, "문장이 보여준 ‘전통’의 의미와 의의 in: 1930년대 후반 문학의 근대성과 자기 성찰" 깊은샘 1998
10 배개화, "『문장』지의 내간체 수용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21) : 141-160, 2004
1 황종연,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동국대 1992
2 이봉범, "잡지 『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학회 22 (22): 105-137, 2007
3 정종현, "식민지 후반기 한국문학에 나타난 동양론 연구" 동국대 2006
4 황종연, "문장파 문학의 정신사적 성격" 동악어문학회 21 : 1986
5 류준형, "문장지의 시조 작품 연구" 국어국문학회 95 : 1986
6 김이상, "문장지의 시 연구1" 한국어문교육학회 5 : 1982
7 김윤식, "문장지의 세계관 in: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80
8 이숭원, "문장지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시고" 한국어교육학회 36 : 1980
9 이명희, "문장이 보여준 ‘전통’의 의미와 의의 in: 1930년대 후반 문학의 근대성과 자기 성찰" 깊은샘 1998
10 배개화, "『문장』지의 내간체 수용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21) : 141-160, 2004
11 차혜영, "‘조선학’과 식민지 근대의 ‘지(知)’의 제도 - 『문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1 : 505-533, 2005
12 이명찬, "1940년 전후의 시정신-인문평론과 문장을 중심으로" 18 : 1999
13 최승호, "1930년대 후반기 시의 전통지향적 미의식 연구-문장파 자연시를 중심으로" 서울대 1994
14 차승기, "1930년대 후반 전통론 연구" 연세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