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아버지의 자녀 돌봄 시간: 자녀 연령대에 따른 경제적 의존성과 성역할 인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 Fathers’ Childcare Time in Contemporary Korea: Effects of Economic Dependence and Gender-role Ideology by Children’s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4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Studies on fathers’ childcare time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increasing in number. This article examines if and how economic dependence and gender-role ideology are related to childcare time spent by fathers. In particular, we pay att...

      Objectives: Studies on fathers’ childcare time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increasing in number. This article examines if and how economic dependence and gender-role ideology
      are related to childcare time spent by fathers. In particular, we pay attention to fathers’ childcare time by children’s age. Methods: We have drawn a sample of married men aged
      between 20 and 54 with children aged 17 or below (N=3,125)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 in 2014. We ra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 to analyze childcare time of fathers with children of up to nine years of age and fathers of children aged at least ten years old. Results: We found that fathers’ progressive gender-role ideology increased childcare time spent by all fathers. Fathers’ economic bargaining power increased childcare time spent by fathers with older children. By contras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pendence and minutes of childcare spent by fathers with younger children. Conclusions: We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Korean fathers’ childcare and discuss the effects of economic bargaining power between the two groups of fat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유진,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회 34 (34): 45-65, 2011

      2 주은선,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367-400, 2014

      3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4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5 김진욱, "한국 기혼남성의 무급노동 시간에 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 1999년~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55 : 181-215, 2017

      6 안미영, "젠더 전시인가? 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과 분담" 한국여성경제학회 16 (16): 19-42, 2020

      7 최효미, "전일제 근로와 시간제 근로의 임금 격차에 관한 연구 - 어린이집・유치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경제학회 13 (13): 71-92, 2016

      8 안미영,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14 (14): 83-102, 2017

      9 안미영, "자녀를 둔 한국 기혼 여성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정책적 함의" 융합사회연구소 13 (13): 28-55, 2020

      10 유지현,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17

      1 송유진,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회 34 (34): 45-65, 2011

      2 주은선,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367-400, 2014

      3 김수정,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회 41 (41): 147-174, 2007

      4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회 32 (32): 145-171, 2009

      5 김진욱, "한국 기혼남성의 무급노동 시간에 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 1999년~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55 : 181-215, 2017

      6 안미영, "젠더 전시인가? 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과 분담" 한국여성경제학회 16 (16): 19-42, 2020

      7 최효미, "전일제 근로와 시간제 근로의 임금 격차에 관한 연구 - 어린이집・유치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경제학회 13 (13): 71-92, 2016

      8 안미영, "자원의 상대성과 가족 내 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 한국 유급노동자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경제학회 14 (14): 83-102, 2017

      9 안미영, "자녀를 둔 한국 기혼 여성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정책적 함의" 융합사회연구소 13 (13): 28-55, 2020

      10 유지현,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277-303, 2017

      11 박희숙,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영유아기 발달 간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251-272, 2016

      12 최혜진, "영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자녀양육시간 차이"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195-214, 2018

      13 장효은,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한국보육학회 18 (18): 77-102, 2018

      14 안수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93-119, 2013

      15 최지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의 신체적 ‧ 정신적 적응: 생활시간조사와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한 시대, 연령, 코호트 간 차이 분석" 한국사회학회 53 (53): 1-41, 2019

      16 서수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 행복감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4 (24): 353-372, 2019

      17 이미현, "아버지 양육참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07-330, 2014

      18 원숙연,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 모성 및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7 (17): 269-311, 2017

      19 김영미, "분절 노동시장에서의 젠더 불평등의 복합성: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나타나는 여성차별의 차이" 비판사회학회 (106) : 205-237, 2015

      20 김소영,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65-84, 2016

      21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회 24 (24): 177-211, 2008

      22 배호중,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51-182, 2015

      23 안미영, "고령화와 젠더 불평등 : 노인 부부의 무급 노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3 (93): 7-34, 2017

      24 Dermott, E., "Time and labour: Fathers’perceptions of employment and childcare" 53 (53): 89-103, 2005

      25 Statistics Korea, "The results of 2014Time Use Survey" Statistics Korea

      26 Allen, S., "Th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An Updated Research Summary of the Evidence" University of Guelph 2007

      27 Kang, E., "Study on time use pattern of married women on childcare and housework in regards to the number and age of childre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28 Marsiglio, W., "Scholarship of fatherhood in the 1990s and beyond" 62 (62): 1173-1191, 2000

      29 Sørensen, A., "Married women’s economic dependency 1940-1980" 93 (93): 659-687, 1987

      30 Esping-Andersen, G., "Incomplete Revolution:Adapting Welfare States to Women’s New Roles" Polity 2009

      31 Blood, R. O., "Husbands and Wives: The Dynamics of Married Living" Free Press 1960

      32 Ma, K. H., "Hegemonic masculinity and changing lives of men"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7

      33 Sayer, L. C., "Gender, time and inequality : Trends in women’s and men’s paid work, unpaid work and free time" 84 (84): 285-303, 2005

      34 An, M. Y., "Gender division of unpaid work and social policy" 235 : 10-15, 2018

      35 García-Mainar, I., "Gender differences in childcare : Time allocation in Five European countries" 17 (17): 119-150, 2011

      36 안미영, "Gender Division of Childcare and the Social Investment Approach to Welfare State in South Korea" 한국아동학회 39 (39): 129-138, 2018

      37 Sarkadi, A., "Fathers’ involve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97 (97): 153-158, 2008

      38 Parke, R. D., "Father involvement: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 29 (29): 43-58, 2000

      39 OECD, "Family Database"

      40 Coverman, S., "Explaining husbands’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26 (26): 81-97, 1985

      41 Brines, J., "Economic dependency,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100 (100): 652-688, 1994

      42 Kan, M. Y., "Does gender trump money? Housework hours of husbands and wives in Britain" 22 (22): 45-66, 2008

      43 Craig, L., "Does father care mean fathers share? : A comparison of how mothers and fathers in intact families spend time with children" 20 : 259-281, 2006

      44 Kamo, Y., "Determinants of household division of labor : Resources, power, and ideology" 9 (9): 177-200, 1988

      45 Delphy, C., "Close to home : A materialist analysis of women’s oppress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4

      46 Gershuny, J., "Changing times :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mong 2017 applicants for parental leave, one of eight were fathe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48 Becker, G. S.,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75 (75): 493-517, 1965

      49 Kim, Y. R.,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family time using time use surve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50 Ribar, D., "A structural model of childcare and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13 (13): 558-597, 1995

      51 Statistics Korea, "2014 Time Use Survey Users’ Guideline" Statistics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41 1.5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