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췌장 자가 항체 유무에 따른 제 1형 당뇨병의 임상 및 검사 소견의 비교 = Comparison of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according to pancreatic autoantibo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0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utoantibody-positive and patients with autoantibody-negative type 1 diabetes at initial presentation.
      Methods:We analyzed 96 patients under 18 years of age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One or both of the pancreatic autoantibodies-glutamic acid decarboxylase autoantibodies (GADA) and insulin autoantibody (IAA)-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and we reviewed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se autoantibodies.
      Results:GADA was examined in 48 of 87 patients, and 55.2% of patients were positive. IAA was checked in 88 patients, and 39.8% were positive. Both GADA and IAA were measured in 83 patients, and 22.8% had both antibodies. The patients who had one or both autoantibodies (autoantibody-positive group) were younger than those not having any autoantibody (autoantibody-negative group). The autoantibody-positive group had lower BMI, corrected sodium level, and serum effective osmolarity, compared to the autoantibody-negative group (P<0.05). Similar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ADA-positive and GADA-negative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AA- positive and IAA-negative groups.
      Conclusion:The prevalence of pancreatic autoantibod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er-6 years age group than in the other age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autoantibodies at the initial diagnosis of diabetes is very useful for detecting immune-mediated type 1 diabetes and providing intensive insulin therapy,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번역하기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utoantibody-positive and patients with autoantibody-negative type 1 diabetes at initial presentation. M...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utoantibody-positive and patients with autoantibody-negative type 1 diabetes at initial presentation.
      Methods:We analyzed 96 patients under 18 years of age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One or both of the pancreatic autoantibodies-glutamic acid decarboxylase autoantibodies (GADA) and insulin autoantibody (IAA)-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and we reviewed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se autoantibodies.
      Results:GADA was examined in 48 of 87 patients, and 55.2% of patients were positive. IAA was checked in 88 patients, and 39.8% were positive. Both GADA and IAA were measured in 83 patients, and 22.8% had both antibodies. The patients who had one or both autoantibodies (autoantibody-positive group) were younger than those not having any autoantibody (autoantibody-negative group). The autoantibody-positive group had lower BMI, corrected sodium level, and serum effective osmolarity, compared to the autoantibody-negative group (P<0.05). Similar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ADA-positive and GADA-negative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AA- positive and IAA-negative groups.
      Conclusion:The prevalence of pancreatic autoantibod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er-6 years age group than in the other age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autoantibodies at the initial diagnosis of diabetes is very useful for detecting immune-mediated type 1 diabetes and providing intensive insulin therapy,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제 1형 당뇨병에서 보이는 자가 항체와 질환의 진행에 따른 변화와의 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고, 항체가가 높을수록 진행의 정도가 급격하였다. 따라서 진단 당시에 시행한 자가 항체의 발현 여부에 따라 임상 발현 정도가 다를 것으로 생각하여, 자가 항체 유무에 따라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1999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3개 대학병원에 내원하여 제 1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8세 미만 환자 중 처음 진단 당시에 췌장 자가 항체인 GADA 혹은 IAA의 검사를 시행하였던 96명에서 진단 당시 시행한 혈액 검사 및 임상 양상을 항체 그룹에 따라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GADA는 87명의 환자에서 검사가 이루어 졌고, 이 중 48명(55.2%)에서 양성을 보였다. IAA는 88명 중 35명(39.8%) 이 양성을 보였다. 두가지 항체를 모두 검사한 환자는 83명이었고, 이 중 22.8%에서 두 항체가 모두 검출되었고, 38.6%에서는 모두 음성을 보였다. 1가지 이상의 항체를 갖는 환자군에서는 음성군에 비해 비교적 어린 나이에 당뇨병이 발생하였고, 낮은 BMI, 낮은 혈청 교정 Na 수치 및 낮은 혈청 오스몰농도를 보였다(P<0.05). 자가 항체 중 GADA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의 검사소견 상에서도 같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IAA 항체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발생 연령이외는 두 군사이에 임상 및 검사소견상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항체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서 보이는 대사적 결과의 차이는 비교적 적었으나 GADA와 IAA 항체의 양성율은 어린 연령에서 높았다. 따라서 비교적 어린 연령에 발생하는 1형 당뇨병에서는 질환을 처음으로 진단할 때자가 항체 유무를 확인하고, 만약 항체가 확인되면 향후 집중적인 인슐린 치료를 시행하여 보다 좋은 예후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제 1형 당뇨병에서 보이는 자가 항체와 질환의 진행에 따른 변화와의 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고, 항체가가 높을수록 진행의 정도가 급격하였다. 따라서 진단 당시에 시행한 자...

      목적:제 1형 당뇨병에서 보이는 자가 항체와 질환의 진행에 따른 변화와의 관계는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고, 항체가가 높을수록 진행의 정도가 급격하였다. 따라서 진단 당시에 시행한 자가 항체의 발현 여부에 따라 임상 발현 정도가 다를 것으로 생각하여, 자가 항체 유무에 따라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1999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3개 대학병원에 내원하여 제 1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8세 미만 환자 중 처음 진단 당시에 췌장 자가 항체인 GADA 혹은 IAA의 검사를 시행하였던 96명에서 진단 당시 시행한 혈액 검사 및 임상 양상을 항체 그룹에 따라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GADA는 87명의 환자에서 검사가 이루어 졌고, 이 중 48명(55.2%)에서 양성을 보였다. IAA는 88명 중 35명(39.8%) 이 양성을 보였다. 두가지 항체를 모두 검사한 환자는 83명이었고, 이 중 22.8%에서 두 항체가 모두 검출되었고, 38.6%에서는 모두 음성을 보였다. 1가지 이상의 항체를 갖는 환자군에서는 음성군에 비해 비교적 어린 나이에 당뇨병이 발생하였고, 낮은 BMI, 낮은 혈청 교정 Na 수치 및 낮은 혈청 오스몰농도를 보였다(P<0.05). 자가 항체 중 GADA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의 검사소견 상에서도 같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IAA 항체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발생 연령이외는 두 군사이에 임상 및 검사소견상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항체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서 보이는 대사적 결과의 차이는 비교적 적었으나 GADA와 IAA 항체의 양성율은 어린 연령에서 높았다. 따라서 비교적 어린 연령에 발생하는 1형 당뇨병에서는 질환을 처음으로 진단할 때자가 항체 유무를 확인하고, 만약 항체가 확인되면 향후 집중적인 인슐린 치료를 시행하여 보다 좋은 예후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ennett ST, "Susceptibility to human type 1 diabetes at IDDM2 is determined by tandem repeat variation at the insulin gene minisatellite locus" 9 : 284-292, 1995

      2 Gale EA, "Spring harvest? Reflections on the rise of type 1 diabetes" 48 : 2445-2450, 2005

      3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21 (21): 5S-19S, 1998

      4 Fakhfakh R, "Pancreatic autoantibodies in Tunisian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56 : 130-132, 2008

      5 Betterle C, "Pancreatic autoantibodies in Italia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mellitus under the age of 20 years" 958 : 271-275, 2002

      6 Achenbach P, "Natural history of type 1 diabetes" 54 (54): S25-31, 2005

      7 Knip M, "Natural history of preclinical IDDM in high risk siblings. Childhood Diabetes in Finland Study Group" 37 : 388-393, 1994

      8 Kimpimaki T, "Natural history of beta-cell autoimmunity in young children with increased genetic susceptibility to type 1 diabetes recruited from the general population" 87 : 4572-4579, 2002

      9 Holmberg H, "Higher prevalence of autoantibodies to insulin and GAD65 in Swedish compared to Lithuania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72 : 308-314, 2006

      10 Hermann R, "HLA DR-DQ-encoded genetic determinants of childhood-onset type 1 diabetes in Finland: an analysis of 622 nuclear families" 62 : 162-169, 2003

      1 Bennett ST, "Susceptibility to human type 1 diabetes at IDDM2 is determined by tandem repeat variation at the insulin gene minisatellite locus" 9 : 284-292, 1995

      2 Gale EA, "Spring harvest? Reflections on the rise of type 1 diabetes" 48 : 2445-2450, 2005

      3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21 (21): 5S-19S, 1998

      4 Fakhfakh R, "Pancreatic autoantibodies in Tunisian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56 : 130-132, 2008

      5 Betterle C, "Pancreatic autoantibodies in Italia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mellitus under the age of 20 years" 958 : 271-275, 2002

      6 Achenbach P, "Natural history of type 1 diabetes" 54 (54): S25-31, 2005

      7 Knip M, "Natural history of preclinical IDDM in high risk siblings. Childhood Diabetes in Finland Study Group" 37 : 388-393, 1994

      8 Kimpimaki T, "Natural history of beta-cell autoimmunity in young children with increased genetic susceptibility to type 1 diabetes recruited from the general population" 87 : 4572-4579, 2002

      9 Holmberg H, "Higher prevalence of autoantibodies to insulin and GAD65 in Swedish compared to Lithuania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72 : 308-314, 2006

      10 Hermann R, "HLA DR-DQ-encoded genetic determinants of childhood-onset type 1 diabetes in Finland: an analysis of 622 nuclear families" 62 : 162-169, 2003

      11 Murase Y, "Fulminant type 1 diabetes as a high risk group for diabetic microangiopathy-a nationwide 5-yearstudy in Japan" 50 : 531-537, 2007

      12 Knip M, "Etiopathogenic aspects of type 1 diabetes. In Diabet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Karger Co 1-27, 2005

      13 Sabbah E, "Diabetes-associated autoantibodies in relation to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atural course in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The Childhood Diabetes In Finland Study Group" 84 : 1534-1539, 1999

      14 Ronningen KS, "Correlations between the incidence of childhood-onset type I diabetes in Europe and HLA genotypes" 44 (44): S51-59, 2001

      15 Komulainen J, "Clinical, autoimmune,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very young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Childhood Diabetes in Finland (DiMe) Study Group" 22 : 1950-1955, 1999

      16 Hur J,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at initial diagnosis" 11 : 177-184, 2006

      17 Dahlquist G, "Can we slow the rising incidence of childhoodonset autoimmune diabetes? The overload hypothesis" 49 : 20-24, 2006

      18 Purohit S, "Biomarkers for type 1 diabetes" 1 : 98-116, 2008

      19 Urakami T, "Autoimmune characteristics in Japanese children diagnosed with type 1 diabetes before 5 years of age" 51 : 460-463, 2009

      20 Pihoker C, "Autoantibodies in diabetes" 54 (54): S52-6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7-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과학회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소아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2 0.36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