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사이트 콘텐츠에서의 사용자 감성적 경험 향상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의 활용 = Application of Digital Storytelling Elements to Web Site Contents for Improving Emotional User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1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website reflecting users’ demand and preference because of fluid and open features approached by many and unspecified users. Especially, recently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of web technology and design,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make a design to offer emotional experiences as well as function or efficiency. Because of the above background, recently it is necessary to make methods to let users experience diverse contents of sites, continuing to stay within sites even after finding what they want and to lead users to revisit websites by offering continuous and abundant experiences in websites.
      The study makes the analysis result modules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elements to offer emotional experiences to users by considering features of websites by each type. ‘Digital Storytelling Elements Analysis’ presented by the study will give a help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sites and offering abundant experiences for users in diverse-type sites.
      번역하기

      It is important to design a website reflecting users’ demand and preference because of fluid and open features approached by many and unspecified users. Especially, recently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of web technology and design, it becomes more ...

      It is important to design a website reflecting users’ demand and preference because of fluid and open features approached by many and unspecified users. Especially, recently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of web technology and design,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make a design to offer emotional experiences as well as function or efficiency. Because of the above background, recently it is necessary to make methods to let users experience diverse contents of sites, continuing to stay within sites even after finding what they want and to lead users to revisit websites by offering continuous and abundant experiences in websites.
      The study makes the analysis result modules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elements to offer emotional experiences to users by considering features of websites by each type. ‘Digital Storytelling Elements Analysis’ presented by the study will give a help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sites and offering abundant experiences for users in diverse-type si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웹 사이트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특성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와 선호도가 반영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웹 기술과 디자인이 평준화됨에 따라 기능이나 효율성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인해 최근에는 웹사이트에서 지속적이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찾은 후에도 사이트 내에 계속 머물면서 사이트의 다양한 콘텐츠들을 경험하고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들에게 감성적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기반으로 ‘웹사이트 유형별 디지털 스토리텔링 분석 결과 화면’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 분석’을 통하여 기존 사이트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유형의 사이트에서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웹 사이트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특성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와 선호도가 반영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웹 기술과 디자인이 평...

      웹 사이트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접근하는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특성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와 선호도가 반영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웹 기술과 디자인이 평준화됨에 따라 기능이나 효율성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인해 최근에는 웹사이트에서 지속적이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찾은 후에도 사이트 내에 계속 머물면서 사이트의 다양한 콘텐츠들을 경험하고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들에게 감성적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기반으로 ‘웹사이트 유형별 디지털 스토리텔링 분석 결과 화면’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 분석’을 통하여 기존 사이트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유형의 사이트에서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리니지2 바츠 해방 전쟁 이야기" 살림 2005

      2 이준희,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6-384, 2003

      3 "웹어워드"

      4 최환진,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본 인터넷광고의 효과과정" (47) : 2000

      5 홍수연,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유형 분류를 통한 감성척도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12 (12): 1-10, 2009

      6 양윤, "웹광고 메뉴유형, 인지욕구 및 탐색목적이 소비자 정보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46) : 2000

      7 김미숙, "웹 컨텐츠에서 정보유형에 따른 네비게이션 디자인 연구" (12) : 2003

      8 선지현, "웹 디자인에서 배색과 레이아웃에 대한 감성효과" 한국디자인학회 17 (17): 209-220, 2004

      9 김주현, "웹 디자인 요소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6 (6): 49-59, 2005

      10 김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별 분류에 따른 웹 인터페이스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80-93, 2010

      1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리니지2 바츠 해방 전쟁 이야기" 살림 2005

      2 이준희,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6-384, 2003

      3 "웹어워드"

      4 최환진,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본 인터넷광고의 효과과정" (47) : 2000

      5 홍수연,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유형 분류를 통한 감성척도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12 (12): 1-10, 2009

      6 양윤, "웹광고 메뉴유형, 인지욕구 및 탐색목적이 소비자 정보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46) : 2000

      7 김미숙, "웹 컨텐츠에서 정보유형에 따른 네비게이션 디자인 연구" (12) : 2003

      8 선지현, "웹 디자인에서 배색과 레이아웃에 대한 감성효과" 한국디자인학회 17 (17): 209-220, 2004

      9 김주현, "웹 디자인 요소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6 (6): 49-59, 2005

      10 김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별 분류에 따른 웹 인터페이스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80-93, 2010

      11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12 고은미,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전라도 이야기, 원소스멀티유즈(one-source-multi-use)" 미디어콘텐츠연구소, 신아출판사 2006

      13 최혜실, "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14 "랭킹닷컴"

      15 배주영, "디지털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살림 2005

      16 권영운, "디지털 스토리텔링 특성의 광고 적용 가능성" 1 : 2003

      17 오은석,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웹사이트 내비게이션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3 (13): 29-38, 2007

      18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8

      19 조은하, "디지털 스토리텔링" 한국근대문학회 (15) : 257-281, 2007

      20 김영곤,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평가요소가 사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99-118, 2008

      21 Klein, G, "Sources of Power: How People Make Decisions" The MIT Press Massachusetts 1999

      22 David Howard, "How to Build a Great Screenplay: A Master Class in Storytelling for Film" St. Martin's Griffin 2006

      23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KOCCA), "CT기술동향 보고서" 2007

      24 Eun-Jung, Park, "Applying digital storytelling technique to website navigation for improving emotional user experience" 2009

      25 강종환, "2011년 2/4분기 전자상거래 및 사이버쇼핑 동향" 통계청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