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심방의 입무(入巫)와 종무(終巫) 고찰 = Entry to the shaman rites and the end of the shaman rites in Jeju Island 2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32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제주도 심방에 대한 연구로 입무(入巫)와 종무(終巫)에 관하여 본풀이와 의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초공본풀이>에서 제주의 무조신 삼멩두는 굿을 행하는 기본 법도인 연물과 무구인 삼멩두, 이를 모시는 제단으로서의 당주 설연에 대하여 차례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본풀이 내용은 현재 전승하는 의례에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신굿 중 입무 의례의 성격을 갖는 ‘초신질굿-초역례’에서 당주를 무은다. 초신굿의 핵심은 <삼시왕맞이>와 <고분질침>에 있다. <삼시왕맞이>의 ‘약밥약술’, ‘어인타인’, ‘에게마을굿’은 ‘허가 의례’로, <고분질침> 혹은 <고분연질>은 ‘시험 의례’로 이해할 수 있다. <고분질침>은 ‘심방으로서 그릇된 일을 바로 잡는 의례’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삼시왕맞이>에 이어 독립적인 대제차로서 <고분질침>을 벌이는 것은 <삼시왕맞이>의 질침에 대응하는 의미를 갖는 동시에 <초감제>-<추물공연>에 이어 벌어지는 <보세감상>의 구성 양상과 대응하여 이해할 수 있다. 종무 의례의 핵심은 ‘멩두 물림’에 있으며, ‘하직굿’과 ‘당주지움’이 행해진다.
      번역하기

      본고는 제주도 심방에 대한 연구로 입무(入巫)와 종무(終巫)에 관하여 본풀이와 의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초공본풀이>에서 제주의 무조신 삼멩두는 굿을 행하는 기본 법도인 연물...

      본고는 제주도 심방에 대한 연구로 입무(入巫)와 종무(終巫)에 관하여 본풀이와 의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초공본풀이>에서 제주의 무조신 삼멩두는 굿을 행하는 기본 법도인 연물과 무구인 삼멩두, 이를 모시는 제단으로서의 당주 설연에 대하여 차례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본풀이 내용은 현재 전승하는 의례에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신굿 중 입무 의례의 성격을 갖는 ‘초신질굿-초역례’에서 당주를 무은다. 초신굿의 핵심은 <삼시왕맞이>와 <고분질침>에 있다. <삼시왕맞이>의 ‘약밥약술’, ‘어인타인’, ‘에게마을굿’은 ‘허가 의례’로, <고분질침> 혹은 <고분연질>은 ‘시험 의례’로 이해할 수 있다. <고분질침>은 ‘심방으로서 그릇된 일을 바로 잡는 의례’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삼시왕맞이>에 이어 독립적인 대제차로서 <고분질침>을 벌이는 것은 <삼시왕맞이>의 질침에 대응하는 의미를 갖는 동시에 <초감제>-<추물공연>에 이어 벌어지는 <보세감상>의 구성 양상과 대응하여 이해할 수 있다. 종무 의례의 핵심은 ‘멩두 물림’에 있으며, ‘하직굿’과 ‘당주지움’이 행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Jeju Island shaman rituals of entering and ending shamanism through the bonpuri and rituals. In <Chogongbonpuri>, Jeju’s shaman god Sammengdu shows the basic laws of performing gut, including Yeonmul, a shaman, Sammengdu, and Dangju as an altar to worship them. This bonpuri content has been passed down as it is in the rituals that are handed down today. In ‘Choshinjilgut-Choyeokrye’, which has the nature of an entrance ritual among shingut, the dangju is worshipped. The core of Choshingut is <Samsiwangmaji> and <Gobunjilchim>. ‘Yakbap Yaksul’, ‘Eointain’, and ‘Egemaeulgut’ of <Samsiwangmaji> can be understood as ‘permission rituals’, and <Gobunjilchim> or <Gobunyeonjil> can be understood as ‘examination rituals’. <Gobunjilchim> can be interpreted as a ‘rite to correct wrongdoings as a simbang.’ Also, the fact that <Gobunjilchim> is performed as an independent grand rite following <Samsiwangmaji> has the meaning of corresponding to the jilchim of <Samsiwangmaji>, and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al aspect of <Bosegamsang> that follows <Chogamje>-<Chumulgongyeon>. The core of the ritual of ending is ‘Mengdu Mullim,’ and ‘Hajikgut’ and ‘Dangju Jieum’ are performed.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Jeju Island shaman rituals of entering and ending shamanism through the bonpuri and rituals. In <Chogongbonpuri>, Jeju’s shaman god Sammengdu shows the basic laws of performing gut, including Yeonmul, a shaman, 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Jeju Island shaman rituals of entering and ending shamanism through the bonpuri and rituals. In <Chogongbonpuri>, Jeju’s shaman god Sammengdu shows the basic laws of performing gut, including Yeonmul, a shaman, Sammengdu, and Dangju as an altar to worship them. This bonpuri content has been passed down as it is in the rituals that are handed down today. In ‘Choshinjilgut-Choyeokrye’, which has the nature of an entrance ritual among shingut, the dangju is worshipped. The core of Choshingut is <Samsiwangmaji> and <Gobunjilchim>. ‘Yakbap Yaksul’, ‘Eointain’, and ‘Egemaeulgut’ of <Samsiwangmaji> can be understood as ‘permission rituals’, and <Gobunjilchim> or <Gobunyeonjil> can be understood as ‘examination rituals’. <Gobunjilchim> can be interpreted as a ‘rite to correct wrongdoings as a simbang.’ Also, the fact that <Gobunjilchim> is performed as an independent grand rite following <Samsiwangmaji> has the meaning of corresponding to the jilchim of <Samsiwangmaji>, and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al aspect of <Bosegamsang> that follows <Chogamje>-<Chumulgongyeon>. The core of the ritual of ending is ‘Mengdu Mullim,’ and ‘Hajikgut’ and ‘Dangju Jieum’ are perform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