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결정이론에 입각한 발달장애아동의 신체활동에 대한 주관성 탐색 = Subjectivity Exploration for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8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입각하여 특수체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에 대해서 발달장애아동의 선호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시행하...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입각하여 특수체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에 대해서 발달장애아동의 선호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신체활동 종목을 그림카드로 개발하였고, 주관성 연구인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유의표본추출법(purposive sampling)에 의해 C시에 거주하며 유치원이나 특수학교 혹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만 6세 ∼ 12세의 장애아동 중 선정 기준을 충족시키는 아동 28명을 표집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24장의 신체활동 카드를 분류하였으며 QUANL pc program을 통해 선호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의 신체활동 선호유형은 네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1유형; 5.7, 2유형; 4.2, 3유형; 2.2, 4유형; 1.5)과 같다. 둘째, 네 가지 유형별 특성은 또래중심활 동선호형(1유형), 도구중심활동선호형(2유형), 자기중심활동선호형(3유형), 경쟁중심활동선호형(4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발달장애아동은 신체활동에 대한 주관성을 갖고 있으며,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reference for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characteristics. To attain the goal, first, the researcher had classify adapted physical activities developed with pictur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reference for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characteristics. To attain the goal, first, the researcher had classify adapted physical activities developed with picture cards to explore the types of adapted physical activities preferred. Seconds, applied Q-Methodology.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8 criteria through purposive sampling from six- to twelve-year-old disabled children living in C City and attending a kindergarten, special-education school, or general school’s special class. The picture card used in Q sort was 24 physical activities. The result of Q-sorting were coded and analysed using QUANL pc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Firstly, the preference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revealed to be four types(The eigen values of the four types of attitudes are 5.7, 4.2, 2.2, and 1.5).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four types were determined to be the type preferring peer-centered activity(type 1), the type preferring tool-centered activity(type 2), the type preferring self-centered activity(type 3) and the type preferring competition-centered activity(type 4). Such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ve subjectivity for physical activity and there can be a variety of types based on the background fac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수, "특수체육학에 있어서 Q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31-44, 2012

      2 허정석, "태권도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6 (16): 655-662, 2007

      3 이현수, "지체장애인 클럽스포츠 참여가 Empowerment 형성과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887-898, 2009

      4 배성언,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적용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숙정,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구성을 위한 "기초적 관계"(Elementare Beziehung)이론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41-262, 2007

      6 김혜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5-42, 2010

      7 이유훈, "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능력 신장을 위한재량활동 프로그램" 교육과학사 2002

      8 조인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 강화를 위한 자기주장훈련과 효율적 의사소통 기술 지도 방략"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27-349, 2006

      9 이영미,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259-286, 2006

      10 김의수, "장애자녀를 둔 부모와 특수체육 지도자를 위한 장애아동 체육교실의 이론과실제" 무지개사 2003

      1 이현수, "특수체육학에 있어서 Q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31-44, 2012

      2 허정석, "태권도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6 (16): 655-662, 2007

      3 이현수, "지체장애인 클럽스포츠 참여가 Empowerment 형성과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887-898, 2009

      4 배성언,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적용과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숙정,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구성을 위한 "기초적 관계"(Elementare Beziehung)이론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41-262, 2007

      6 김혜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5-42, 2010

      7 이유훈, "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능력 신장을 위한재량활동 프로그램" 교육과학사 2002

      8 조인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 강화를 위한 자기주장훈련과 효율적 의사소통 기술 지도 방략"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27-349, 2006

      9 이영미,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259-286, 2006

      10 김의수, "장애자녀를 둔 부모와 특수체육 지도자를 위한 장애아동 체육교실의 이론과실제" 무지개사 2003

      11 조재훈, "장애인체육의 당사자주의 시작과 방향 탐색"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661-676, 2007

      12 신은희, "장애인의 자기결정: 의미와 오해"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31-159, 2008

      13 홍양자, "장애인을 위한 특수체육" 21세기 교육사 1999

      14 김경숙, "장애인을 위한 생활체육의 활성화 모형 개발 -당사자주의적 관점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65-95, 2009

      15 민솔희, "장애인 체육조직의 장애당사자 참여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99-114, 2013

      16 천승현, "장애인 스포츠 팀 내 코치의 다차원적 통제적 코칭전략이 선수의 자기결정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62-179, 2011

      17 박채희, "장애아동 생활체육교실의 운영 및 체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143-167, 2009

      18 박병도, "장애 있는 아동들의 신체활동 및운동의 필요성과 실천 방법" 68-76, 2013

      19 구본권, "자폐아동의 치료교육에 관한 고찰" 2 : 311-348, 1996

      20 김경숙, "자폐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낙하산 놀이프로그램의효과" 7 (7): 61-71, 1999

      21 조명애,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과 수업의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309-329, 2009

      22 김수진,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 (27): 169-196, 2011

      23 유숙열,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161-182, 2003

      24 문창일,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5 (15): 75-87, 2013

      25 교육인적자원부, "육아지원정책 방안 요약보고서" 2004

      26 전선혜,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성향에 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171-184, 2011

      27 오광진,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의 자기결정동기와 고독감 및 생활만족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259-271, 2003

      28 오광진,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의 자기결정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0 (10): 1-11, 2002

      29 김선진, "운동발달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30 조성봉, "수중운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좌-우 골반기울기 변화 및 신체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127-147, 2009

      31 신재근, "소집단 신체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생태학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운동재활학회 7 (7): 111-120, 2011

      32 서연태, "선호활동이 자폐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14 (14): 105-112, 2005

      33 김광호, "서킷운동이 훈련가능 정신지체학생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39 (39): 781-790, 2000

      34 정귀순,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219-240, 2007

      35 문규진, "방과후 스포츠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6 (16): 29-38, 2010

      36 조인수,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훈련의 당위성과 수업적 접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17-38, 2003

      37 노형규, "발달장애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유형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17-28, 2012

      38 김지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중재자의 태도" 한국체육학회 45 (45): 273-282, 2006

      39 이영철,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67-95, 2010

      40 윤소연,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95-221, 2014

      41 박용천, "감각운동이 자폐성 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33-143, 2003

      42 Combes, H., "Using Q-methodology to involv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evaluating person-centered planning" 17 : 149-159, 2004

      43 Smith, J. D., "The revised AAMR definition of mental retardation : The MRDD position" 29 : 179-183, 1994

      44 Parafitt, G., "The effect of choice of exercise mode on psychological responses" 5 : 111-117, 2004

      45 Wehmeyer, M. L., "Teaching self-determin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ic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Paul H. Brookes 1998

      46 송채훈, "Swiss Ball Exercise가 정신지체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14, 2007

      47 Brown, F., "Self-determination for individuals with the most severe disabilities : Moving beyond chimera" 23 (23): 17-26, 1998

      48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s an educational outcome: Why is it important to children, youth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996

      49 Sands, D. J.,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lifespan:Independence and cho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996

      50 Wilson, P. M., "Relationships between exercise regulations and motivational consequences in university students" 75 : 81-91, 2004

      51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52 Brown, S. R., "Political subjectivity: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53 Agran, M.,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isabilities in the general curriculum : The effects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31 : 230-241, 2006

      54 Menear, K. S., "Let's get moving! Physical activity an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3 (23): 9-18, 2004

      55 Barr, M., "Identifying the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with Down syndrome" 55 (55): 1020-1033, 2011

      56 Wehmeyer, M. L.,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elf-determined behaviors of adult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00 : 632-642, 1996

      57 김지태, "Effects of a Play-Oriented Program on the Standing Long Jump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Cognitive Delays" 한국특수체육학회 12 (12): 77-88, 2004

      58 Wehmeyer, M. L., "Assessment of self-determination-negotiating the minefield : A response to Baker et al" 15 (15): 157-158, 2000

      59 Cooper, L. J., "Analysis of the effects of task preferences, task demands, and adult attention on child behavior in outpatient and classroom settings" 25 (25): 823-840,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