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전쟁미망인 가운데 현재까지 일정한 조직을 유지하고 있고, 어느 정도 정서적 동질감을 가지고 있는 군경미망인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녹취록으로서, 이들의 전쟁경험과 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75678
-
-
Korean
한국전쟁 ; 베트남전쟁 ; 생활세계 ; 전쟁경험 ; 전쟁의 기억 ; 전쟁미망인 ; 상이군인 ; 월남인 ; 월북인 ; 피난민 가족 ; 월북가족 ; 월남가족 ; 이산가족 ; 참전군인 ; 참전단체 ; 지역 공동체 ; 파월민간인 ; 반공주의 ; 군사주의 ; 군사문화 ; 계급 ; 계층 ; 성별 전쟁경험 ; 성별 전쟁기억 ; 트라우마 ; 전쟁 피해자 ; 전쟁 고아 ; 전쟁 유족 ; Korean War ; Vietnam War ; Life World ; War Experience ; Memory of Wars ; War Widows ; Wounded Soldiers ; Refugees from North Korea ; Refugees from South Korea ; Refugee Families ; Refugee Families from South Korea ; Refugee Families from North Korea ; War Separated Families ; Veteran ; Veteran Groups ; Local Community ; Korean Workers in the Vietnam War ; Anti-Communism ; Militarism ; Militarized Culture ; Social Classes ; Social Strata ; Gendered Experience of the War ; Gendered Memory of the War ; Trauma ; War Victims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전쟁미망인 가운데 현재까지 일정한 조직을 유지하고 있고, 어느 정도 정서적 동질감을 가지고 있는 군경미망인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녹취록으로서, 이들의 전쟁경험과 생...
본 자료는 전쟁미망인 가운데 현재까지 일정한 조직을 유지하고 있고, 어느 정도 정서적 동질감을 가지고 있는 군경미망인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녹취록으로서, 이들의 전쟁경험과 생계활동을 통해 한국전쟁이 전쟁미망인과 그 가족에게 가져온 일상생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면접 대상이 된 군경미망인은 총 17명이다.
이 심층면접 조사의 목적은 상설시장에서 상업활동을 했던 전쟁미망인들의 전후 경험을 통해 한국전쟁이 전쟁미망인과 그 가족에게 초래한 생활 및 의식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설시장을 주요 생활영역으로 설정한 것은 상설시장이 전쟁미망인의 활동영역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성취영역으로 인식되고, 사회 및 남성과 접촉하고 경쟁하는 가장 격렬한 영역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의 전쟁미망인 연구가 구술사나 미시사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구술생애사적 방법론을 통해 전후 상설시장을 중심으로 상업활동에 참가하였던 전쟁미망인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상설시장에서 전개되는 전쟁미망인의 생계활동이 지닌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상설시장 상업활동 종사자들의 가족적, 계층적 배경 및 상업활동을 통한 성취 결과, 둘째, 남성 중심의 상설시장에서 경험한 심리적, 경제적 한계와 좌절, 그리고 이에 대한 전쟁미망인들의 대응양상, 셋째, 상설시장에서의 성취결과에 대한 전쟁미망인들의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