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비교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 3-6세 아동학습 및 발달지침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centering on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in South Korea and the Guideline to the Learning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3-6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2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이 지향하는 유아교육의 방향을 가늠해보고, 향후 유아교육과정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이 지향하는 유아교육의 방향을 가늠해보고, 향후 유아교육과정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중국의 3-6세 아동학습 및 발달지침이며 교육과정 구성체계, 목적 및 목표, 영역별 내용 범주와 내용, 교육과정 특징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누리과정과 발달지침의 교육과정은 각국의 독자적인 특성을 반영한 유사한 구성체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누리과정의 목적은 올바른 인성과 민주 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있으며, 발달지침의 목적은 소양 교육과 전인 발달에 강조를 두고 있다. 셋째, 누리과정과 발달지침의 영역별 내용은 각국의 5개 영역별 명칭은 다르나 의미와 내용은 영역별로 매칭되는 특성을 보였다. 넷째, 누리과정과 발달지침 교육과정 특징은 국가수준의 공통성과 다양성, 유아 중심과 놀이 중심의 가치 추구, 5개 영역별 내용이 통합적 운영,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4가지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to measur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two countrie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to measur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two countrie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the futur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in South Korea and the Guideline to the Learning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3-6 in China. The comparisons were made in the aspects of composition system, aims and objectives, content category, and specific content in various fields and education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 educational curricula have similar compositional systems that reflect each country’s own characteristics. Second, the purpose of the Nuri curriculum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per person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while the purpose of the Guideline is to emphasize quality education and the all-arou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rd, although the names and contents of the five fields in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 are different, the meanings and contents of each field are matched by fields. Fourth,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 are reflected in the following 4 aspects: commonness and diversity at the national level,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value pursuit, comprehensive operation of five fields, and joint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季湄, "3-6岁儿童学习与发展指南解读" 人民教育出版社 2013

      2 전영란, "현행 한・중・일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및 중요 내용 비교" 동아인문학회 (18) : 409-452, 2010

      3 김경철, "한중 유아교육과정 과학영역 교육목표의 비교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9-39, 2019

      4 김숙자, "한국과 프랑스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1-56, 2013

      5 Zhong, Jinghua, "한국과 중국의 유치원 교육과정기준 총론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6 Yang, Tao,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과정의 건강영역 비교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7 두안란,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과정 과학영역 비교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8 Ran, Wenjing,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비교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9 서흠,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0 (30): 540-554, 2019

      10 박기문,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유아수학 관련교육현황 및 유아수학활동운영실태 비교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91-111, 2020

      1 李季湄, "3-6岁儿童学习与发展指南解读" 人民教育出版社 2013

      2 전영란, "현행 한・중・일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및 중요 내용 비교" 동아인문학회 (18) : 409-452, 2010

      3 김경철, "한중 유아교육과정 과학영역 교육목표의 비교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9-39, 2019

      4 김숙자, "한국과 프랑스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1-56, 2013

      5 Zhong, Jinghua, "한국과 중국의 유치원 교육과정기준 총론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6 Yang, Tao,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과정의 건강영역 비교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7 두안란,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과정 과학영역 비교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8 Ran, Wenjing, "한국과 중국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비교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9 서흠,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0 (30): 540-554, 2019

      10 박기문,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유아수학 관련교육현황 및 유아수학활동운영실태 비교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91-111, 2020

      11 신명희,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2 김숙자,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2 (12): 129-148, 2002

      13 김경철, "한국과 미국의 만 5세 유아교육과정 비교 연구: 메릴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29, 2016

      14 이기숙, "한국ㆍ중국ㆍ일본ㆍ대만 유아의 일상생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9-71, 2012

      15 박은희, "한․일 유아교육과정 비교 - 사회생활영역과 인간관계영역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15-233, 2010

      16 정정희, "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교육과정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89-316, 2017

      17 정미라, "프랑스 유치원 교육과정의 비교교육학적 논의-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355-375, 2003

      18 송민서,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술통합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425-449, 2019

      19 김경철, "중국 현행 유아교육과정분석: 국가수준 정책문서 요강과 지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소 19 (19): 119-139, 2017

      20 김혜원, "주요 OECD 국가의 유아 언어교육과정 비교 분석: 뉴질랜드, 미국, 영국, 호주, 한국 5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181-211, 2015

      21 이정욱, "쟁점 중심의 유아교육과정의 이해" 양서원 2020

      22 이성한, "유치원교육과정 한․일 비교 -구성방향과 현행 유치원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23 (23): 63-82, 2018

      23 김영옥, "유아중심 관점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사유(思惟)"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35-253, 2019

      24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13

      25 이희경, "우즈베키스탄과 한국의 유치원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229-252, 2020

      26 이문정, "외국의 다문화영유아 언어교육과정 분석: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15 (15): 81-112, 2020

      27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학지사 2017

      28 류군, "동북아(韓中日台)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국가수준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 10 (10): 127-145, 2010

      29 이정욱, "누리과정 개정안의 주요 특징 및 쟁점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55-277, 2019

      30 이연선, "놀이하는 아이들의 유능한 뇌"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공교육 칼럼

      31 오수윤, "그림책에 기초한 통합적 예술경험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5 (5): 83-101, 2020

      32 이소정, "국제교육협력 측면에서의 우리나라와 몽골의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 273-274, 2012

      33 최윤정,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국제비교연구(Ⅰ): 8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31, 2005

      34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75-103, 2020

      35 양옥승,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과정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09-323, 2011

      36 최혜윤,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 및 교수방법 비교연구: 한국,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3-5세 유아교육과정을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31, 2016

      37 박창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38 이승미,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법규의 관련성 분석 ―2009개정교육과정 총론과 관련 교육법규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7) : 67-94, 2010

      39 소경희,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8

      40 王靖涵, "论幼儿教育之瓶颈—“小学化” 倾向" (2) : 53-55, 2017

      41 郭锦娜, "解读《3—6岁儿童学习与发展指南》" (5) : 15-, 2016

      42 道力亚干, "蒙古族民间游戏融入学前蒙汉双语教学的行动研究" 西南大学 2019

      43 孙蔷蔷, "新中国幼儿园课程改革的历程,特点与展望" (2) : 84-87, 2020

      44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探寻素质教育的真谛"

      45 戴翠玲, "引领家长学习运用《指南》的实践策略" 32-33, 2018

      46 日本中央教育審議会幼児教育部会, "幼児教育部会における審議の取りまとめ[EB/OL]"

      47 崔璨, "少数民族地区幼儿园音乐课程资源开发研究" 西南大学 2012

      48 齐逸翎, "基于《3-6岁儿童学习和发展指南》中学前科学教育的比较研究—以中国重庆市西南大学实验幼儿园和加拿大安大略省学校为例" (31) : 24-26, 2020

      49 阿里, "双语教育情境下乌鲁木齐4-6岁维吾尔族儿童双语词汇发展研究" 新疆师范大学 2014

      50 中华人民共和国江苏省教育厅, "关于开展幼儿园课程游戏化建设的通知"

      51 김명하, "「누리과정개정 정책연구」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한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345-367, 2020

      52 肖克, "《幼儿园教育指导纲要(试行)》与《3-6岁儿童学习与发展指南》的比较研究" 浙江师范大学 2015

      53 中华共和国教育部全国学期教育宣传司, "《3-6岁儿童学习与发展指南》家长宣传手册"

      54 Schubert, W, "Perspectives on evaluation from curricular contexts" 26 : 47-, 2018

      55 권정윤, "OECD 8개국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놀이와 학습 관점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195-226, 2019

      56 OECD, "Engaging Young Children: Lessons from Research about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tarting Strong" OECD Publishing 2018

      57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7

      58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3-6岁儿童学习与发展指南" 首都师范大学出版社 2012

      59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